아리랑


아리랑 신학

한국인의 전통 민요 "아리랑"에 관한 신학적 고찰을 위한 소연구 논문 발표를 위한 자료를 수집합니다.
2023년 전반기 6월에 발표 예정


미국 찬송가에 실려있는 아리랑 찬송 / 이정면박사

'세계 속 아리랑' 주제로 영문서 낸 이정면 유타大 명예교수
 
아리랑 가락을 편곡해 영국 작곡가가 가사를 붙인 자장가, 미국 개신교 찬송가에 수록된 아리랑…. 원로 지리학자 이정면(84) 미국 유타대 명예교수가 아리랑의 유래와 세계로 퍼져 나간 아리랑 이야기를 담은 영문서 《Arirang: Song of Korea》(이지출판사)를 펴냈다.

서울대 사범대 지리교육과를 나와 미국 미시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 교수는 1972년부터 유타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다 2002년 정년퇴직했다.

이 교수는 "아리랑 책을 쓰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다가 아리랑이 미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 많이 전파돼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한다.

이 교수가 보여준 자장가 악보에는 어머니가 병든 아이를 달래는 노래라는 설명과 함께 한국 전통 민요(Korean Folk Song)라고 소개돼 있다.

이 노래를 편곡하고 가사를 쓴 이는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자이자 작곡가였던 말콤 사전트(Sargent· 1895~1967). 이 교수는 "사전트가 1960년대 동북아지역을 여행하면서 한국을 방문했거나, 아리랑을 들은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 교수는 또 1990년 미국 연합장로교회에서 발간한 찬송가집에 아리랑이 〈Christ, You Are the Fullness〉라는 제목 아래 수록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작사자는 미국 미시간주 칼빈 칼리지 음악 교수인 버트 폴만(Polman). 이 교수가 아리랑이 미국 찬송가에 들어가게 된 경위를 묻자 폴만 교수는 "멜로디가 너무 아름다워 아리랑을 찬송가에 포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는 것.

이 교수는 헐버트, 알렌, 비숍 여사를 서구에 아리랑을 알린 선구자로 꼽는다.

이어 6·25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참전한 병사들을 통해 아리랑이 세계로 퍼져 나갔다고 설명한다.

미국 포크음악계의 대부이자 반전가수였던 피터 시거(Seeger)는 1964년 첫 라이브 앨범에 〈아리랑〉을 반전음악으로 수록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2007년 아리랑의 고향 정선, 진도, 밀양 등을 찾아 《한 지리학자의 아리랑기행》을 펴냈다. 이 책을 출간한 뒤, 아리랑을 세계인들에게 소개하는 작업을 위해 영문서 출간에 매달려왔다.

이 교수의 전공은 토지 이용계획과 인구이동이다. 유타대 도서관 고문서실에서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유타주의 케네커트 주석 광산에서 일하던 한인 광부 411명의 명단을 찾아내는 등 미국 중서부 지역 한인 광산노동자의 역사를 발굴하기도 했다. 하와이에서 일자리를 찾아 미국 본토로 건너온 이들은 고된 광산일과 언어 문제 때문에 대개 며칠 만에 달아나버리기 일쑤였다.

이 교수는 "광산을 떠난 한인들의 다음 행로가 어땠는지 아직 찾아내지 못해서 아쉽다"고 했다.

이 교수는 "외국에서 오래 살다 보니 고국이 그립거나 외로울 때 마음을 위로해주는 노래가 아리랑"이라면서 "한국 전통문화의 정수인 아리랑을 연구하는 것은 인문 지리학의 영역"이라고 말했다.

서용순 이지출판사 대표는 "아마존 사이트를 통해 해외에 책을 보급하겠다"고 했다.

 

 

<오소운 목사의 추기>

아래 악보는 위에서 언급한 미국 북장로회 찬송가(The Presbyterian Hymnal, 1990) 346 장에 실린 아리랑 곡조의 찬송이다. 곡명(Tune Name)은 ARIRANG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 1절만 영어로 적어 소개한다.

 

Christ, You are the Fullness

 

Christ, You are the Fullness of God,

First born of everything.

For by You all things were made;

You hold them up.

You are head of the Church,

Which is Your body.

First born from the dead,

You in all things are supreme

 

아래에 미국 찬송가에서 스캔한 악보를 싣는다. 가사는 버트 폴만 (Bert Polman, b. 1945) 이 캐나다의 그리스도교개혁교회의 <시편찬송>(Psalter Hymnal, 1987)을 위해 1986년에 작사한 것이다. 그는 캐나다 온타리오에 있는 리디머칼레지(Redeemer College) 교수다. 또한 그는 미국과 캐나다 찬송가위원회의 실행위원이다. ARIRANG의 편곡자는 데일 그로텐후이스(Dale Grotenhuis, b.1931)인데  <시편찬송>(Psalter Hymnal, 1987)을 위해서 1986년에 편곡한 것이다. (source : Presbyterian Hymnal Companion, 1991, by LindaJo H. MaKim; p. 244)


Christ you are the fullness / 그리스도찬양의기쁨 CCM악보 [북미찬송가 가사, 한국 민요 아리랑 곡]

 

1.
Christ, You are the fullness of God, first born of everything.
For by You all things were made; You hold them up.
You are head of the church, which is your body.
First born from the dead. You in all things are supreme!

2. 
Since we have been raised with You, Lord, help keep our heart and minds.
Pure and set on things that build Your rule over all the earth.
All our life is now hidden with You in God.
When You come again we will share Your glory.

3.
Help us live in peace as true members of Your body.
Let Your word dwell richly in us as we teach and sing.
Thanks and praise be to God through You, Lord Jesus.
In whatever we do let Your name receive the praise!

** 한국의 민요 아리랑에 가사를 붙인 북미 찬송가 악보 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아리랑 곡에 담긴 신앙고백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intel007&logNo=50181124916








"아리라앙 아리라앙 아라아리이요오 아리라앙 고오개에로오 넘어간다..."

아무리 타국 만리에서 반세기 넘게 살았다고 해도, 어쩌면, 처녀로 성장할 때까지 근 스무 해를 써오던 우리말을 잊을 수가 있단 말인가? 정신대(挺身隊)로 끌려갔다가 전쟁이 끝난 다음에도 돌아오지 못하고 먼 이국 땅에서 50여 년을 보내고 최근에 극적으로 돌아 온 어느 할머니가 부르는 노랫가락이다.
우리말은 한 마디도 못하면서 '아리랑'은 구슬프게 부를 줄 안다.
말은 잊었는데 노래는 기억 속에서 지워지지 않고 살아난다.
그런데, 그것이 '아리랑'이다.

미국연합장로교회의 찬송가 346장을 보면, "주님은 하나님의 충만하심"이라는 찬송이 있다.
영어 제목은 "Christ, You Are the Fullness"라고 되어 있고, 그 밑에 ARIRANG(아리랑)이라고 영어로 쓰여있다.
미국연합장로교회 찬송가에 우리의 한국 민요 아리랑 곡이 들어 있는 것이다! 우리도 감히 우리의 아리랑 곡에다가 우리의 하나님 찬양을 싣지 못하고 있는데, 미국연합장로교회가 이런 일을 하였기에 한 편으로는 신기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이런 세속적인 노랫가락을 찬송에 도입해도 되는 것인지 하는 의구심도 생긴다.

영어가사는 "그는 보이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이요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니..."라고 하는 골로새서 1장 15절 이하의 말씀을 근거로 하여 작사한 것이다. 미국연합장로교회 찬송가의 그 가사는 다음과 같다.

Christ, You are the fullness of God, first born of everything.
For by You all things were made; You hold them up.
You are head of the church, which is your body.
First born from the dead. You in all things are supreme!

Since we have been raised with You, Lord, help keep our heart and minds.
Pure and set on things that build Your rule over all the earth.
All our life is now hidden with You in God.
When You come again we will share Your glory.  

Help us live in peace as true members of Your body.
Let Your word dwell richly in us as we teach and sing.
Thanks and praise be to God through You, Lord Jesus.
In whatever we do let Your name receive the praise!

위 가사를 다음과 같이 우리말로 번안(飜案)하여 '아리랑'에 실어 본다. 곡조의 세속성은 친밀감으로 바뀌고 가사의 장중(莊重)함은 가락의 흥겨움과 조화를 이루어, 흥겨운 신앙고백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주님은 하나님 형상이시오
    만물 중에 으뜸이신 창조주시라
    부활하시어 다스리시니
    주님은 교회의 머리이시라
    
    주님과 더불어 새로 태어나
    성령 님 모시는 새 생활이라
    성령 열매를 풍성히 맺어
    주님 다시 오실 때 반겨 맞으리

    주님의 지체된 우리 몸이
    생명의 말씀을 먹고사니
    감사합니다 찬양합니다.
    주님 이름 높이며 살렵니다

골로새서 1장 15절에 "그는 보이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이요 모든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니"라고 번역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예수님을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라고 표현한 것을 두고서 이것이 예수님의 피조성(被造性)을 말하는 것이라고 억지를 부리는 이들이 있다. 원어인 그리스어 표현 "프로토토코스 파세스 크티세오스"는 "모든 피조물의 첫 탄생(first born of all creation: RSV)"이라는 압축된 표현이다. 번역에 따라서는 "모든 피조물 위에 으뜸이신 맏아들(the first born Son, superior to all created things: GNB)"이라고 번역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 본문의 전체 문맥을 읽지 않고, 다만, '나셨다 (born)'라고 하는 낱말 하나에만 집착하는 쪽에서는 그리스도도 피조물 중에 속한다는 주장을 한다. 문맥을 보면 바로 다음절에 "(16) 만물이 그에게서 창조되되 하늘과 땅에서 보이는 것들과 보이지 않는 것들과 혹은 왕권들이나 주권들이나 통치자들이나 권세들이나 만물이 다 그로 말미암고 그를 위하여 창조되었고 (17) 또한 그가 만물보다 먼저 계시고 만물이 그 안에 함께 섰느니라"고 하여 그리스도는 창조자이지 피조물이 아님을 분명히 말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말 번역에서 '먼저 나셨다'고 할 때 그 '먼저'는 '으뜸'을 뜻하는 것이고, '나셨다'는 것은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관계가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가 아니라,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독특한 관계를 부모 자식의 관계로 표현하려고 한 것이다. 그래서 이 노랫말 번역에서는 '창조물보다 먼저 나신 자'를 '만물 중에 으뜸이신 창조주시라'라고 불러보았다.

[출처: 뉴스앤조이] 아리랑 곡에 담긴 신앙고백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요사이 지구촌이 들썩들썩하는 '싸이 현상'은 다시 한 번 세계의 이목을 한국으로 집중시켰다. 그동안 '한류' 열풍이 동남아와 전 세계로 퍼져서 한민족의 위상을 떨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기저에는 한국민족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있다고 본다. 필자는 이 독특한 심성의 특징으로 한(韓), 고(苦), 한(恨), 복(福), 정(情), 신명  등을 들었다.( <아리랑신학> 정행업 저. 대한기독교서회. 1996.)  그리고 한국인의 정서는 ‘아리랑’이라는 민요에 포괄적으로 표현돼 있다. 한국인은 ‘아리랑’이라는 민요를 통해 독특한 정서를 발산한다.
 
언제나 어디서나 아리랑을 부를 때 우리는 한(韓)민족의 고유한 동질성을 자각하게 되고 한민족의 뜨거운 정감에 사로잡히며 한국인의 얼과 힘이 꿈틀거림을 느끼게 된다. 한국인에게 있어 아리랑은 제2의 애국가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아리랑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된 것은 한국인에게 매우 뜻 깊고 자랑스러운 쾌거라 할 수 있다. 모든 인류의 가시적 유형문화재는 비가시적 무형문화의 외적 표현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무형문화재는 한 민족을 이해하는 열쇠다.
 
필자는 이미 한국적 신학을 '아리랑 신학'으로 표현하자고 제안한 바가 있다. '아리랑 신학'은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의 접목된 주체적인 신앙고백과 신학을 말한다. '아리랑 신학'은 한국인의 종교심성에서 형성된 신학을 말한다. 한민족은 어느 민족보다도 종교심이 강하다. 
 
오랫동안 고난의 역사를 경험했고 그래서 맺혀진 한이 있고 이 한을 풀기 위해 신을 찾았고 그에게 복을 빌고 노래하고 춤추며 신바람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모든 종교 행위가 '아리랑'이라고 하는 민요를 통해서 발산되었다.
 
이 아리랑이라고 하는 민요에 담긴 한국인의 심성이 이 땅에 기독교가 전래된 후에 그리스도인의 신앙양태와 한국교회 신학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가를 진지하게 탐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심성을 긍정적으로 활용하여 그리스도교 선교에 활력소로 삼고, 아울러 그리스도교 문화 창달에 기여할 수 있기 위해 한국적 신학(아리랑 신학)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할 때라고 본다.
 
정행업목사/대전신대 명예학장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크리스챤투데이 2005-11-07 07:54<또 하나의 선민 알이랑 민족> 저자 유석근 목사 인터뷰



▲<또 하나의 선민 알이랑 민족> 저자 유석근 목사 ⓒ 류정희 기자

“아리랑은 원래 ‘알이랑’이다.
그리고 ‘알이랑’은 ‘알’과 ‘이랑’으로 구분되는데, ‘알’은 ‘하느님’을 뜻하는 말이다.
‘하느님’이라는 신명(神名)은 본래 ‘알’이었는데 ‘알’ 앞에 ‘한’이라는 관형사를 붙이고, ‘알’ 뒤에는 ‘님’이라는 존칭명사를 붙여 ‘한알님’이라고 했다.
이 ‘한알님’이 “한알님 → 하날님 → 하늘님 → 하느님”으로 변했다.
그래서 ‘알이랑’의 ‘알’은 성경의 ‘엘(EL)’처럼 ‘하느님’을 뜻하는 말이고 ‘이랑’은 ‘~와 함께’라는 뜻으로서 영어의 ‘With’에 해당한다.
즉, ‘알이랑’은 ‘하느님과 함께(With God)’라는 말이다”

최근 민요 ‘아리랑’을 화두로 삼아 선민 한국인의 정체성을 강조한 책 <또 하나의 선민 알이랑 민족>을 펴낸 저자 유석근 목사의 말이다.

유 목사는 ‘아리랑’은 현존하는 인류 최고(最古)의 찬송가로서, ‘알이랑’이라는 말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한마디로 알려주는 선민 한국인의 키워드(Key word)라고 주장한다.
즉, 우리 겨레는 민족사를 ‘알이랑’ 곧 ‘하느님과 함께(With God)’라는 유일신 신앙으로 시작한 욕단계 천손민족(天孫民族)이라는 사실이 민요 ‘알이랑’으로 말미암아 입증되고 있다는 것.

“이 책은 아리랑이 어떤 노래인지를 바로 해석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인은 신자나 불신자를 막론하고 누구나 일독할만한 가치가 있다. 지금까지 아리랑의 뜻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놓고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었으나 수긍할만한 해석은 없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아리랑이 현존하는 인류 최고(最古)의 찬송가라는 놀라운 사실을 알 수 있다”

유 목사에 따르면 ‘아리랑’에서 “알이랑 알이랑 알 알이요 알이랑 고개를 넘어 간다”라고 부르는 노랫말의 의미는 “하느님과 함께, 하느님과 함께, 하느님과 함께, 하느님이요, 하느님과 함께 고개를 넘어 간다”라는 것.

또한 유 목사는 “아리랑은 우리 겨레의 직계조상인 셈의 현손(玄孫) 욕단 족속(창 10:21~30)이 대홍수 후 동방으로 천동(遷動)할 때 파미르고원에서 천산산맥으로, 천산산맥에서 알타이산맥을 넘어오면서 불렀던 찬송가였다. 홍수 후 산을 넘어 가장 먼저 동방으로 천동한 족속은 ‘욕단’이었으며, 창세기 10장 21절과 25절에 의하면 욕단은 선택받은 종족인 에벨의 후손이었다”라고 주장한다.

아울러 “본인은 이 책의 메시지가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서 반세기 이상 고난받고 있는 조국의 동포들에게 참된 소망과 위로를 안겨주는 매개체가 되기를 희망한다. 뿐만 아니라 전세계로 흩어진 디아스포라 564만 해외동포들과, 160여 나라에서 활동 중인 1만여 한국인 해외 선교사들에게도 격려와 용기를 북돋아주는 하늘의 소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책의 내용 중 일부는 지난해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월간 <신앙계>에 연재되어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유석근 목사는 현재 1992년에 개척한 상동중앙교회(예장합동 소속)을 담임하고 있으며 총신대학 신학대학원에서 구약신학을 전공했다.



아리랑은 우리 겨레의 시원과 그 기원을 함께 한 민족의 역사노래인 동시에 현존하는 인류 最古의 찬송가다!

필자는 저서 <알이랑민족>에서 아리랑은 현존하는 인류 최고(最古)의 찬송가라고 설명했다. 그것은 근거 없는 자의적 해석이 아니었다. 어디까지나 객관적인 인문과학적 논거들을 다양하게 제시했다. 그러므로 아리랑 찬송가론을 부정하려면 그러한 결론을 도출한 논증에 오류가 있는지 조사해야 할 것이다. 그게 바른 순서다. 아리랑을 찬송가로 해석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아리랑의 어원

①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논하려면 종교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배달 동이겨레는 하나님을 섬기던 제천민족(祭天民族)으로서 단순한 정치세력(민족, 국가)이 아닌 ‘종교적’ 집단이었기 때문이다. 우리 겨레는 다신숭배가 만연한 고대 세계에서 제천신앙으로 유일신 하나님을 숭배하던 독특한 민족이었다. (제천신앙에서 숭배의 대상이 된 ‘하느님’이 성경의 하나님과 동일한 신이셨다는 것은 책에서 자세히 근거를 제시했다.)

단군조선시대에는 제천의식이 북으로는 백두산에서, 남으로는 강화도 마리산 산정의 참성단에서 행하여졌다. 이 제천행사야말로 동이문화의 정수(精髓)이며, 우리 문화의 본성(本性)이다. 그러므로 동이의 후예인 우리가 부르는 ‘아리랑’도 종교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그 비밀이 드러날 것이다.

② 먼저 기억해야 할 사실은 아리랑은 한자말이 아니라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아리랑’이라는 한자가 기록된 책이 어디선가 고서(古書) 가운데 한 권이라도 발견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도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아리랑은 입에서 입으로 구전으로만 전래되어 온 순 우리말의 민요이기 때문이다.

③ ‘아리랑’의 어원은 ‘알이랑’이다(알이랑 => 아리랑).

알이랑 알이랑 알 알이요 알이랑 고개를 넘어 간다

그런데 오랜 세월동안 글자가 없을 때 구전으로만 전승되다 보니,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로 부르게 되었고 결국 ‘알이랑’이 ‘아리랑’으로 고착되고 만 것이다. 따라서 아리랑이 진정 어떤 노래인지를 알려면 ‘알이랑 알이랑 알 알이요’로 잃어버린 원래의 노랫말을 되찾아야 한다. 그게 기본조건이다.

④ 아리랑의 비밀을 푸는 열쇠 ‘연음법칙’

왜 본래 “알이랑 알이랑 알 알이요”라는 가사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로 부르게 되었을까? 우리말의 발음에는 ‘연음법칙’이라는 음절의 연결규칙이 있기 때문이다.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음절이 이어질 때 앞 음절의 끝소리가 뒤 음절의 첫소리가 되는 음운 규칙을 말한다.

예:

“깊이→기피” “옷을→오슬” “책이→채기” “낮에→나제” “벗이랑→버시랑” “가물어→가무러”

“하늘이→하느리”

알이랑 → 아리랑

알알이요 → 아라리요

(☞이제야 비로소 우리가 왜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가 아닌 “아라리요”라고 노래하고 있는지 그 의문이 해소되었다. 거기에는 문법적 이유가 있었다. 지금까지 어떤 아리랑 연구가도 이 문제를 문법적으로 설명하여 규명한 적이 없다.)

⑤ ‘알이랑’은 ‘알’과 ‘이랑’으로 구분된다. ‘알이랑’은 ‘알’이라는 이름씨(명사)와 ‘이랑’이라는 도움씨(조사)가 붙어서 된 말이다(알+이랑 = 알이랑). 그러므로 ‘알’과 ‘이랑’을 각각 따로 분리해서 그 의미를 찾아야 한다.

⑥ ‘알’은 ‘하느님’(하나님)을 의미한다. 우리 겨레는 잡신과 구별되는 유일신의 이름을 ‘하느님’이라고 불렀다. 이 ‘하느님’이라는 신명(神名)은 처음에 ‘알’이었다. 그런데 ‘알’ 앞에 ‘한’이라는 관형사를 붙이고, ‘알’ 뒤에 ‘님’이라는 존칭어미를 붙여서 ‘한알님’이라고 했다.

그것이 [한ᄋᆞᆯ님→하ᄂᆞᆯ님→하늘님→하느님]으로 바뀐 것이다(우리말 어원사전). 그래서 ‘알’은 ‘하느님’이다. 창조주 하느님 곧 유일신을 뜻하는 원시 언어가 ‘알’이었다.

⑦ 유대인의 ‘엘(EL)’, 아랍인의 ‘알아(알라)’는 바로 이 ‘알’에서 유래된 말이다(‘알라’는 아랍어로 '하나님'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렇기에 아랍 기독교도들은 성경의 유일신 하나님을 '알라'라고 아랍어 성경책에 표기했다). 구약성경에 나오는 하나님의 이름인 ‘엘로힘’(단수는 Eloah)은 ‘알라(alah)’라는 말에서 유래했다(벌코프 조직신학 239쪽 * 크리스천 다이제스트 간). 즉 창조주 하나님을 뜻하는 인류 최초의 신명(神名)이 ‘알’이었다. 이 ‘알’이 ‘엘(EL)’의 어원인데, 노아에 의해 홍수 이후의 세대로 전해졌다.

⑧ ‘이랑’은 ‘~와 함께’라는 토씨로서(언어학자들은 ‘~가’ ‘~이’ ‘~는’ ‘~이랑’ 등과 같은 ‘토씨’는 뜻과 소리가 바뀌지 않으면서 6천년 이상 간다고 한다) 영어의 ‘With’이다(예, 갑돌이랑 = 갑돌이와 함께, 갑순이랑 = 갑순이와 함께, 벗이랑 = 벗과 함께). 그러므로 ‘알이랑’은 “하나님과 함께”(with God)라는 말이다. 바로 이것이 우리 겨레가 잃어버린 아리랑의 원의(原意)이다. 아주 숭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⑨ 왜 ‘알’이 유일신 하나님을 뜻하는 말이었을까? ‘알’이 수많은 생명을 낳기 때문이다. 쌀도 볏알(볍씨)에서, 과실도 씨알에서 생기고, 하늘과 땅과 바다의 허다한 생물들이 또한 ‘알’에서 탄생한다. 그래서 ‘알’은 ‘모체(母體)’요, ‘근원(根源)’이요, ‘시작(始作)’과 같은 뜻을 갖는다. 따라서 창조주 하느님(하나님)도 ‘알’이었다. 왜냐하면 그 분은 만물의 모체이시고 근원이시며 시작이시기 때문이다.

⑩ 다만 우리 겨레는 그 ‘알’이 ‘큰 모체’이시고 ‘큰 근원’이시며 ‘커다란 시원(始原)’이시기에 ‘알’ 앞에 ‘한’이라는 관형사를 붙였다. 또한 그 ‘알’이 인격적 존재이심으로 ‘알’ 뒤에 ‘님’이라는 존칭어미를 붙였다. 그래서 창조주 유일신을 ‘한알님’이라고 부른 것이다. 이 ‘한알님’이 [한ᄋᆞᆯ님→하ᄂᆞᆯ님→하늘님→하느님]으로 소리가 변했다.

그러므로 ‘알’은 ‘엘(EL)’과 동의어로서 하나님을 뜻하는 말이다. ‘알’은 우주만물의 根源(근원)이며 始終(시종)이신 主宰主(주재주), 곧 유일신 하나님(God)을 의미하는 우리 배달겨레의 옛 말이다.

⑪ 고구려, 신라 그리고 가야의 지도자들이 모두 ‘알’에서 탄생했다는 이른바 ‘난생설화’(卵生說話)가 있다. 박혁거세가 큰 알에서 나왔다는 것, 주몽이 알의 껍질을 깨고 나왔다는 것, 김수로왕이 알에서 뛰쳐나왔다는 것은 모두 그들이 ‘한ᄋᆞᆯ님’의 자손 곧 천손(天孫)이라는 말이다. 다시 말하면 하느님(하나님)께로부터 보내심을 받아 태어난 사람이란 뜻이다. 바로 이것이 난생설화의 진정한 의미이다.

난생설화의 주인공들이 말 그대로 알에서 태어났다고 이해한다면 그것은 대단히 유치한 소견이다. 실제로 알에서 태어날 수는 없다. 그렇게 파악하기보다는 하늘에서 내려온 자손 즉 천손(天孫)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난생설화는 시조의 탄생에 신적권위를 부여하기 위한 이야기인 것이다.

⑫ 더욱이 ‘하늘’은 둥글어서 ‘알’인데, ‘하늘’이라는 말도 처음에는 ‘한ᄋᆞᆯ’, 즉 ‘큰 알(大卵)’이었다. 한ᄋᆞᆯ→하날→하늘로 변한 것이다. 만물을 내신 한알님(하느님)은 한알(하늘)에 계신다. ‘큰 알(大卵)’, ‘큰 모체(母體)’, ‘큰 근원(根源)’ 같은 뜻으로서의 ‘한ᄋᆞᆯ’에 ‘하늘’이라는 말의 기원이 있다. ‘하늘’이란 단어의 어원도 ‘한알’이다.

⑬ ‘알’이라는 것은 우리 조상들에게 있어서 사물(事物)의 핵심이었다. 그리고 ‘시작’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커다란 시원(始原)’으로서의 ‘알’이 곧 한알→하날→하늘로 된 것이다. 그러한 하늘(한알)이었기에 삼라만상(森羅萬象)은 곧 당신의 것이었다. 당신이 낳으시고, 당신이 기르시고, 또 당신이 주재하시는 것이었다. 홍수 전 사람들이 창조주 유일신을 ‘알’이라고 불렀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⑭ 하나님을 뜻하는 성경 원어 ‘엘(EL)’은 바로 이 ‘알’에서 변음이 되어 나온 말이다. ‘엘’은 ‘다스리는 이’, ‘강하신 분’이란 뜻을 가진 신명(神名)으로 셈어(Shemitic)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된 ‘하나님’ 또는 ‘신성(Divinty)’에 관한 호칭이다. 이 ‘엘’은 바로 ‘알’의 변음이다. 이 ‘알’이라는 단어는 창조주 하느님(하나님)을 뜻하는 일종의 원형언어로서 노아에 의해 홍수 이후의 세대로 구전되었다.

저명한 조직신학자 벌코프는 다음과 같이 썼다: “구약성경에 나오는 하나님의 이름인 ‘엘로힘’(단수는 Eloah)은 ‘알라(alah)’라는 말에서 유래했다.”(벌코프 조직신학 239쪽 * 크리스천다이제스트 간). 즉 ‘엘’보다 ‘알’이 먼저였다. ‘엘’은 ‘알’의 변음이다.

⑮ 종교철학자 오강남 교수(캐나다 리자이나 대학)는 그의 저서 ‘길벗들의 대화’에서 ‘알다’는 동사가 ‘알’에서 나왔음을 가르쳤다. 알은 천지창조의 모태였다. 또 알의 열림 혹은 깨어짐은 밝음의 시작이었다. 실로 ‘알’(하나님)을 ‘앎’(지식)이 가장 큰 ‘앎’이다! 하나님(알)을 아는 지식(앎)이 가장 큰 지식이다.

16) 한국인의 무덤은 동그란 모양의 봉분인데 그것은 ‘큰 알’(大卵=한알)을 뜻한다. 셈의 후손으로서 ‘한알님’께 제사지내며 삶을 영위했던 한국인의 선조들은 스스로 천손민족(天孫民族) 즉 ‘한알님’의 백성이라고 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에게 죽음이란 ‘한알’의 품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한국인은 누군가 죽었을 때 ‘돌아가셨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어디로 돌아가신 것인가? ‘한알님’(하느님)이 계신 한알(하늘) 나라로! 그리하여 무덤이 동그란 모양의 ‘알’인 것이다. 그들은 ‘한알님’의 백성으로서 ‘알’에서 왔으니 ‘알’로 돌아가고자 했다. 실로 한국인은 ‘알이랑 정신’으로 살고 죽는 ‘알이랑민족’이 아닐 수 없다.

필자는 이상과 같이 인문과학적 논거들을 충분히 제시하면서 아리랑의 어원은 ‘알이랑’이며, 그 의미는 “하나님과 함께”(with God)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자, 여기에 논리적 비약이 있나? 논거가 빈약한 아전인수격 주장인가? 유석근 목사는 터무니없는 소리를 했나? 아리랑의 어원과 의미에 관한 <알이랑신학>의 학문적 견해에 이의가 있다면 근거를 제시하고 반박하라.

그대가 어떤 학자가 발견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부정하고 비판할 수 있다. 하지만 반론을 제기할 때에는 갖추어야 할 조건이 있다. 먼저 그러한 결과를 도출한 이론적 근거들이 오류가 있는지 찾아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이 왜 오류인지를 객관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즉 반론과 비평도 근거와 더불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냥 ‘아니다’ ‘틀렸다’ 하면 설득력이 없다. 그것은 억지다.

그런데 일부 아리랑 찬송가론을 비방하는 자들이 글을 읽어보면 누구도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논박 없는 반론인 것이다. 그러한 비평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 모 대학 B교수의 글도 예외가 아니다. B교수는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필자가 논리를 비약했다고 썼다. 실로 억지 주장이며, 일종의 횡포다. 나는 B교수의 국어 독해력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그렇게 판단할 수밖에 없다. 왜? 논증 과정에서 논리적 비약은 조금도 없었기 때문이다.

B교수의 비판대로 과연 알이랑 찬송가론에 논리의 비약이 있는지 서울대 입학을 목표로 논술고사를 준비하는 똑똑한 고3 수험생들에게 확인 검증을 요청해 보았다. 필자의 저서를 정독한 학생들은 "논리가 정연하고 치밀해서" 알이랑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부정할 수 없다고 했다. 문장 이해력이 고3 수준만 되어도 논리 비약이라는 억지 주장은 안 할 것이다. 그러나 간혹 국어도 독해가 안 되는 사람이 있다. 이런 자들과는 대화가 안 되며 소통이 불가능하다.

이 정도는 그래도 양호한 편이다. 유석근 목사를 위험한 사상가로 교묘하게 날조하여 ‘이단’으로 조작한 인물들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는 조금도 요동하지 않을 것이다.

알이랑이 찬송가인 이유

앞서 설명한 바처럼 아리랑의 어원은 ‘알이랑’으로서 그 의미는 “하나님과 함께”(with God)라는 뜻이다. 그리하여 필자는 “알이랑 알이랑 알 알이요”는 “하나님과 함께, 하나님과 함께, 하나님(과 함께), 하나님이요”라는 뜻이고(with God, with God, with God, just God), “알이랑 고개를 넘어 간다”는 가사는 “하나님과 함께 고개를 넘어 간다”라는 뜻이라고 해석했다(accompany with God, I will cross over the mountains).

그리고 “알이랑 고개를 넘어 간다”는 가사에 나오는 그 ‘고개’란 우리의 먼 조상들이 대홍수 후 동방으로 천동(遷動)할 때 넘어 온 고개들 곧 “파미르고원~천산산맥~알타이산맥”이라고 설명했다.

이것은 유석근 목사가 소설을 쓴 것이 아니다. 우리 민족이 알타이에서 왔다는 것은 역사학자들도 인정하는 것이다. 더욱이 필자는 그것이 역사적 사실임을 입증해주는 일종의 물증으로서 다음과 같은 ‘언어유물’도 제시했다:

“파미르고원을 지나(支那) 사람들은 총령(蔥嶺: 파총, 재령)이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어 파(蔥) 마루(嶺) 그대로 파마루(파미르)이다. 지리학에서도 역시 파미르고원(蔥嶺)에서는 파(蔥)가 많이 야생한다고 한다.

파미르고원은 ‘파마루’로서 파(蔥)가 많이 자생하는 산마루(嶺)이기에 파마루(파머루) 고원인 것이다. ‘파미르’의 어원이 한국어 ‘파마루’이다.”

“한국인은 남자를 사내라고 한다. 사내는 ‘산아이’가 [산아이→사나이→사내]로 변한 것이다. 우리 선조들이 고대에 산지, 파미르고원→천산산맥→알타이산맥을 넘어 동방으로 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언어적 연관성은 한국인이 참으로 아득한 옛날 ‘파미르고원’을 넘고 ‘천산산맥’과 ‘알타이산맥’을 넘어서 동방으로 이동해 왔음을 가르쳐 주는 하나의 고고학적 증거인 것이다. 그것은 ‘언어유물’로서 일종의 ‘물증’과 같다.

그렇다! 우리 배달겨레는 아득한 옛날 광명의 본원지를 찾아 수많은 고개, 파미르고원~천산산맥~알타이산맥을 넘어서 동방으로 왔다. 알타이산맥을 넘어 가면 시베리아 벌판이 펼쳐진다. 시베리아는 만주 벌판이 연장된 땅으로서 우리 민족의 역사의 고향이다. 역사학자들은 한민족은 70% 이상이 시베리아 바이칼 호수에서 내려온 북방계 아시아인이라고 말한다.

한국인은 고대에 알타이산맥과 바이칼 호수 주변의 시베리아에 넓게 퍼져 살면서 극동으로 이주해 왔다. 우리 한민족의 뿌리는 단군이며 그 정신적 고향은 북방, 특히 백두산과 바이칼(밝알)호에 있다. 한국인의 주류는 시베리아 바이칼호에서 이동해 온 북방계 아시아족이다.

우리 조상들은 빛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공경했다. 그리하여 광명의 본원지를 찾아 가는 것이 꿈이었다. 그래서 아침에 뜨는 해를 따라 알이랑(하나님과 함께) 고개(파미르고원~천산산맥~알타이산맥)를 넘어 동쪽으로 쉬지 않고 이동하다가 마침내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땅 끝에 도달하였다. 그리하여 유라시아 대륙 가운데 가장 먼저 해가 뜨는 밝은 땅에 정착해 살게 된 백성이 우리 한국인이다.

그래서 우리 겨레가 사는 땅을 ‘밝달’이라고 했고, 이 밝은 땅에 사는 우리 겨레를 “밝달겨레”라 했다. “밝달겨레”의 이두문 음이 곧 “배달겨레”인 것이다. “밝달”과 “배달”을 어원적으로 살펴보면 밝달의 ‘달’은 땅(地)이란 말인데, 그것은 곧 양달(陽達)이 양지요, 응달(陰達)이 음지요, 빗달(傾斜地)이 비스듬한 땅인 것이다. 그런고로 “배달겨레”란 “밝은 땅에 사는 겨레”라는 뜻이다.

이렇게 우리 겨레는 밝고 환한 것을 지극히 선호하여 의복도 밝고 환한 흰옷을 입고 살아 온 백의민족인 것이다. 우리 겨레의 백의 착용의 동기와 백의 숭상의 유래는 무엇인가?

우리 민족의 흰옷 선호는 민족형성 과정에서부터 시작된 원초적인 것이다. 배달겨레는 민족사를 알이랑 곧 '하나님과 함께'라는 일신 신앙으로 시작했다. 그런데 하나님은 밝고 환한 천국에 빛 가운데 계시는 빛의 근원이신 분이다.

고대 한국인은 천지만물의 주재자가 되시는 분이 빛 가운데 계시는 창조주 한알님(하나님)이시라고 알고 자기네들은 그 하나님의 자손 곧 '천손민족'이라고 믿었는데, 빛의 근원이신 ‘하나님의 광명’을 표시하는 의미로 흰 빛을 신성하게 알아서 밝고 환한 흰옷을 자랑삼아 입다가 온 민족의 풍속을 이루고 만 것이다.

하나님은 빛이시다(요일 1:5). 그래서 하나님 백성인 우리 겨레는 빛의 옷인 흰옷을 즐겨 입은 '백의민족'인 것이며, 사는 땅도 빛이 시작되는 동방의 땅 끝 ‘밝달’에 자리 잡은 '배달민족'인 것이다.

“하나님은 빛이시라 그에게는 어두움이 조금도 없으시니라”(요일 1:5). 흰 색은 어두움이 조금도 없는 가장 밝은 색이다. 그렇기에 스스로를 하늘의 자손이라 믿었던 우리 민족은 흰옷을 숭상해서 일상복은 물론이고 상복으로도 밝고 환한 흰옷을 널리 입었던 것이다. 성경에 의하면 흰옷은 하늘백성의 표지이다(계 7:9,14; 계 19:7~8; 전 9:8). 지혜 있는 자는 열매로 나무를 알 것이다.

그리하여 필자는 ‘아리랑’은 대홍수 후 빛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섬기던 고대 한국인이 광명의 본원지(밝달)를 찾아 이 땅에 오기까지 수많은 산과 언덕과 고원들을 넘어 오면서 부른 ‘찬송가’였다고 해석했다. 즉 아리랑은 우리 겨레의 영아기 때의 집단적 체험을 간직하고 있는 민족의 역사노래인 동시에 현존하는 인류 최고(最古)의 찬송가인 것이다. 바로 이것이 아리랑의 비밀이다.

알이랑 알이랑 알 알이요

= 하느님과 함께 하느님과 함께 하느님(과 함께) 하느님이요

(with God, with God, with God)

 

알이랑 고개를 넘어 간다

= 하느님과 함께 고개를 넘어 간다

(accompany with God, I will cross over the mountains.)

‘아리랑’은 창조주 하나님을 숭배하던 우리네 조상들이 동방의 새 땅을 찿아 이동할 때 수많은 산과 언덕과 고원들을 넘어 가면서 부른 ‘찬송가’였던 것이다. 바로 이것이 우리가 상실한 아리랑의 始原(시원)과 原意(원의)이다.

‘아리랑’이 우리 겨레의 마음속에 그토록 크게 자리 잡고 있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그것은 실로 인류 최고(最古)의 찬송가로서 겨레의 역사와 가장 오랫동안 함께 해온 민족의 숨결이며 역사의 맥박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리랑은 당연히 ‘세계무형인류문화유산’인 것이다.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만이 아닌 지구촌 문화유산이다. 아리랑은 7천만 한민족의 노래만이 아니라 70억 세계인이 함께 보존하고 같이 불러야 할 인류의 노래인 것이다. 아리랑은 현존하는 인류 最古의 찬송가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아리랑의 세계화에 힘써야 할 당위성 및 근본적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아리랑이 찬송가라는 이러한 해석은 성경의 본질적 진리를 훼손했는가? 그래서 위험천만한 사상인가? 이단 수준인가? 양심 있는 목사와 성도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알이랑신학>의 핵심 주제인 ‘아리랑 찬송가론’은 시원한 답이 없던 아리랑의 근원과 원의에 관해 명확히 해답을 제시한 인문과학적 이론이다. 이제 우리는 잃어버린 아리랑의 始原(시원)과 原意(원의)를 바로 알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알이랑 찬송가론’을 ‘유해물질’과 같다고 매도한 목사가 있다. <알이랑신학>을 사설로 날조, 왜곡한 음해성 문서를 유포한 인물이다. 그렇게도 존재감을 과시하고 싶을까. 알고 보니 돈키호테 같은 이런 위인들이 서너 명 더 있다.

기가 막힌다. 유해물질이라... 아리랑을 찬송가라 했으니 찬불가를 부르는 불교 승려라면 모를까 기독교 목사가 지나친 표현인 것 같다. 오, 가련한 자여! 유해물질은 그대가 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제발 독서도 공부도 좀 더 하고 사고의 폭을 넓히기 바란다.

지금까지 18판이 리프린트된 필자의 저서 '알이랑민족'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성경으로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해석한 책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기독교 토착화와 민족복음화를 위해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실로 그것은 조로 현상을 보이며 성장이 멈춘 한국교회의 시급한 숙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성경의 본질적 진리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음을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에 맞게 어떻게 수용할지 연구해야 한다. 그래야만 기독교가 한국에서 뿌리를 내리고 많은 열매를 부단히 맺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한국교회의 미래가 달려 있는 문제다. 여기에 실패하면 한국교회는 작금의 조로 현상을 극복할 수 없을 것이다. <알이랑신학>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한국적 토착화 신학이다. 우리는 언제까지 서구신학만 카피해서 가르쳐야 하나? 예수원 설립자 대천덕 신부님(성공회)은 한국교회를 향해 이렇게 도전한 바 있다:

“우리가 선교사들에게서 전수받은 성경 해석은 서양의 입장에서 해석한 것이다... 지금이야말로 한국사람 자신의 내부로부터 우러나오는 복음과 한국과의 새로운 대결을 통해서만 기독교가 한국에서 뿌리를 내리고 많은 열매를 내릴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생각해볼 때이다. 오직 이런 대결을 통해서만 예배가 진정 한국인 자신의 예배가 될 것이며, 성경이 진정 한국인 자신의 성경이 될 것이다. 이것은 한국 문화와의 진지한 대화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한국의 참된 주체성을 발견하는 문제인 것이다.” (대천덕, 「대천덕 신부와의 대화」, 생명의 샘터, 1987, pp.71~72 ) (대천덕, 「우리와 하나님」, 도서출판 예수원, 1988, p.161)

<알이랑신학>은 대천덕 신부님의 지적에 잘 부합한다. 문화평론가 안준배 목사(기독교문화예술원장)는 <알이랑신학>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향후 한국교회의 두 가지 어젠다를 집약하면 기독교의 토착화를 통해 민족문화형성과 분단조국의 통일에의 접근이다. 유석근 목사의 저서 '알이랑민족'은 한국교회의 과제를 풀어주고 있다.

한민족이 살고 있는 지역마다 아리랑은 민족의 뿌리임을 증거 하는 바 ‘아리랑은 찬송가’라는 신학적 해석은 기독교가 가졌던 타종교에 대해 문화적 콤플렉스를 근원적으로 해소한 것이다.

더욱이 남북의 동질감형성의 주제가인 아리랑에 대한 신학적 성과는 통일신학을 배양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알이랑신학>을 사설로 매도하는 인물들이 있다. 그들은 우리의 전통문화는 죄다 이교도적이고 악마적인 것이라는 그릇된 편견을 갖고 있다. 민요 아리랑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문화이다. 아리랑의 어원은 '알이랑'이며, 그 의미는 "하나님과 함께"(with God)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전혀 이교도적이지 않다. 오히려 '알이랑'은 기독교적이다. "하나님과 함께"(with God)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이 한국신학인 <알이랑신학>의 핵심 사상이다.

서울신대 전 총장 강근환 박사(역사신학, 사진)는 “한국교회가 지향해야 할 회개운동의 하나”라는 소논문에서 토착화 신학의 필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역설했다.

“우리는 기독교가 서양에서 발전한 종교이지만, 그 실질인 복음을 ‘서양문화적’ 형식과 동일시 할 수 없음에도 이를 절대화함으로서 선교가 일종의 ‘문화제국주의’로 전락해 버린 것을 비판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토착신학적’인 관점에서 한국교회의 문화적인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기독교가 전해지기 이전의 한국문화를 온통 악마적인 것으로 또는 이교도적인 것으로 심판해버린 것은 확실히 자학행위요, 서구역사주의 신학에 세뇌된 자들의 오만한 태도이다. 그러기에 한국문화가 지니고 있는 일반 계시적 의미와 존재론적 자연신학의 가치를 인정하고 계시의 빛 가운데 이를 뚜렷이 밝혀 주어야 할 과제가 성립된다.

우리의 회개운동의 하나는 한국문화를 온통 악마적인 것으로 또는 이교도적인 것으로 매몰차게 심판하였던 지난날의 ‘왜곡된 회개’의 잘못을 바로 잡는 ”토착화 신학 지향적인 회개”여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전통문화’에 대한 무비판적 배타성에 대한 성찰이 요청된다. 한국교회가 가져온 기독교 복음이 서구적 포장지에 싸인 채 들어와서 우리 문화까지를 서구화 시켜버린 현상을 치유해야 한다. 더 이상 우리 전통문화를 죄다 악마적인 것으로 정죄하지 말라!”

한국적 토착화 신학인 <알이랑신학>을 사설로 매도하는 일부 사고가 경직된 신학자들이 경청해야 할 충고이다. 서구 문화와 신학에는 박사 급의 지식이 있으나 우리의 역사와 전통문화에 대해서는 무지몽매한 자들이 적지 않다. 그러니 평생 오직 서구신학만 카피해서 가르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더 이상 서구신학이 전부일 수는 없다. 이제 한국교회는 세계교회 앞에 한국의 신학을 소개할 수 있어야 한다. 윤사무엘(미주장로회신학대학 교수, 올리벳신학교 총장) 박사는 최근 출간한 그의 저서 "한국교회와 신학"(쿰란출판사刊)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한국교회가 서구 기독교 선교를 받은 지 130년이 지났다. 이제 한국교회는 세계 앞에 한국적 신학을 내놓아야 한다.”

성민 코리아의 키워드 ‘알이랑’

앞서 고찰했듯이 아리랑의 어원은 ‘알이랑’이며 그 의미는 “하나님과 함께”(with God)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알이랑’은 “하나님중심사상”이며 “신본주의정신”이다. 이 숭고한 ‘알이랑 정신’이 바로 한국인의 ‘근본 사상’이요 ‘뿌리 정신’인 것이다. ‘알이랑’은 우리 한민족의 원형과 정체성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우리 겨레는 민족사를 ‘알이랑’ 즉 “하나님과 함께”라는 유일신 신앙으로 시작한 존귀한 백성이다. 그러나 한국인은 자신의 참 모습에 대한 기억을 잃어버렸다. 그리하여 마치 기억상실증 환자와 같은 상태에 있다.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지금 우리 한국교회는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필자가 단언컨대 한국 백성이 스스로를 자각하지 못하는 한 한국교회의 성장과 부흥은 한계가 있을 것이다. 이미 한국교회는 그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50여 년 전 강원도 태백의 오지에 예수원을 설립하고 일생을 기도와 말씀으로 한국교회를 섬기신 대천덕(Reuben Archer Torrey 3세 / 1918~2002) 신부(성공회)는 일찍이 이렇게 역설한 바 있다:

“교회의 우선적 과제가 그리스도를 한국에 소개하는데 있다는 것은 두 말 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한국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이 무엇인지, 한국의 진정한 사명이 무엇인지, 그리고 세계무대에서 한국이 담당할 역할이 무엇인지 깨닫지 못하는 한 -다시 말해서 스스로를 자각하지 못하는 한- 그런 한국에 그리스도를 소개한다는 것은 무익한 일이다.

내가 보기엔 한국은 자신의 참모습에 대한 기억을 잃어버린, 흡사 기억상실증 환자와 같은 인상을 준다. 만일 우리가 진정 하나님을 믿는다면 하나님께서 한국 백성에게 공동의 선(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어떤 특별한 역할을 부여하셨다는 사실을 모를 리 없다. 그러니만큼 한국으로서의 가장 긴급한 과제는 스스로를 재발견하고 본연의 모습을 회복하는 일이다.” (대천덕, ‘기독교는 오늘을 위한 것’, 「생명의 샘터」, 1987, 70쪽)

그렇다! 우리 겨레는 안타깝게도 자신의 참모습에 대한 기억을 잃어버린 집단적 기억상실증에 걸려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토레이 신부의 지적과 같이 스스로를 재발견하고 민족 본연의 모습을 회복해야 한다. 그것은 실로 긴급을 요하는 한국인의 최우선적 과제이다.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민족사를 ‘알이랑’ 곧 “하나님과 함께”(with God)라는 유일신 신앙으로 시작한 동방의 聖民 “알이랑민족”이다.

성경상으로는 셈의 셋째 아들 아르박삿의 손자 에벨의 둘째 아들 욕단의 가계가 알이랑민족 우리 한국인의 조상이다(창 10:21~30). 그들은 대홍수 후 가장 먼저 산악지대를 넘어서 동방의 새벌(스발, 새발)로 천동했다. 욕단이 아라비아 남단에 정착해 아랍 부족의 선조가 되었다는 서구 주석가들의 이론은 틀린 것이다.

트리니티 칼리지의 구약학 교수인 고든 웬함(Gordon Wenham)은 창세기 10장30절을 해석하면서 욕단의 영토가 아리비아 남부에 위치한다는 대다수 주석가들의 견해는 "추측"으로서 확실한 것이 아니라고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 “그들이”는 앞 구절에 논의된 욕단의 아들들 모두를 가리킨다. 불행하게도 이 구절은 대단히 모호하다. ‘메사’와 ‘스발’과 ‘동편 산’은 모두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스발은 아라비아 남부의 차파르(saphar)라는 해안 도시일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첫머리의 치찰음 때문에 이 제안은 의심스럽다.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메사는 욕단족의 서쪽 경계를, 스발은 동쪽 경계를 나타내며 그 영토는 아라비아 남부에 위치한다고 추측하지만 확실하지 않다. 』(고든 웬함 지음, 박영호 옮김, 「WBC성경주석 창세기 상」, 서울: 솔로몬, 2006, p.425)

고든 웬함 박사가 바로 설명했다. 한국교회 성도들은 추측에 불과한 서구 신학의 낡은 이론을 더 이상 맹종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욕단의 가계는 아라비아 남부로 가지 않았다. 그들은 동양으로 천동(遷動)하여 우리 배달민족의 조상이 되었다.

어떤 새로운 이론에 반대를 표명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지적했듯이 반론과 비평도 근거와 더불어 제시되어야 한다. 그런데 아리랑의 어원이 ‘알이랑’이며, 그 뜻은 "하나님과 함께"라는 <알이랑신학>의 핵심 내용을 매도하는 일부 글들을 확인해보면 논박 없는 비평들뿐이다. 학문적 가치가 없는 편협한 주장인 것이다.

어떤 글은 유치할 정도로 작문 수준이 떨어지는 함량 미달의 글도 있다. 앞서 언급한 유해물질 운운한 음해성 날조 기사가 그런 문서다. 그렇게 엉성한 글을 반론이라고 작성해 포털사이트에 올리는 인물도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돈키호테가 연상되는 이유다. 애석하게도 듣는 귀가 둔한 사람은 언제나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생각을 늘 견지하고 있다: “들을 귀 있는 자만 들어라!”

출처 : 새한일보(http://www.shilbo.k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아리랑

무형문화유산(無形文化遺産, 문화어: 비물질문화유산(非物質文化遺産), 영어: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은 유네스코의 사업 중 하나이다. 유네스코 사업인 세계유산이 건축물 등 유형 문화재의 보호와 계승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반면, 민속, 전통 등 무형 (무형문화재)을 보호 대상으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아랑전설(阿娘傳說)은 억울하게 죽은 아랑이 원령이 되어 자신의 원한을 푼 뒤 변고가 없어졌다는 이야기이다. 아랑은 경상도 밀양부사의 딸로, 이름은 윤동옥(尹東玉)이다.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고 유모에게서 자랐는데, 어느 날 밤 통인(通引)과 작당한 유모의 꼬임에 빠져 달구경을 나갔다. 통인 주기가 아랑을 겁간하려 했고, 아랑은 끝까지 항거하다가 끝내는 칼에 맞아 죽고, 대숲에 버려졌다. 부사는 아랑이 외간 남자와 내통하다 함께 달아난 것으로 알고 벼슬을 사직하였다. 이 일이 있은 후부터 밀양에 오는 신임 부사마다 부임하는 첫날 밤 의문의 주검으로 발견되어 모두 그 자리를 꺼리게 되었다. 이때 이상사(李上舍)라는 담이 큰 사람이 밀양부사를 자원하여 왔다. 부임 첫날밤에 나타난 아랑의 원혼에게서 억울한 죽음을 들은 그는 원한을 풀어주기로 약속하였다. 이상사는 곧 주기를 잡아 처형하고 아랑의 주검을 찾아 장사를 지내주니 그 뒤로는 원혼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도 영남루 밑에는 아랑의 혼백에게 제사지낸 아랑각(阿娘閣)이 있고, 《밀양아리랑》도 이 영남루 비화(悲話)에서 발생하였다 한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277

정의
구전으로 전승되고 재창조되어 온 한국의 전통 민요.
요약문
아리랑은 구전으로 전승되고 재창조되어 온 한국의 전통 민요이다. ‘아리랑~’ 또는 ‘아라리~’ 및 이들의 변이를 여음(후렴 또는 앞소리)으로 지니고 있는 일군의 민요를 통칭하는 말이다. 정선·밀양·진도 아리랑을 3대 아리랑으로 부르지만 장단·박자·가사가 서로 다른 수많은 아리랑이 한국은 물론 우리 민족이 사는 세계 곳곳에 존재한다. 다양한 가락과 넋두리 같은 2행시 표현 속에 사회와 시대의 변화를 증언하면서 주제사적인 문제까지 제기하는 아리랑은 한국의 문학사와 예술사에서 질기고 굵은 맥을 전승해오고 있는 유일무이한 사례이다.
개설
아리랑은 ‘아리랑……’ 또는 ‘아라리……’ 및 이들의 변이를 여음(후렴 또는 앞소리)으로 지니고 있는 일군(一群)의 민요로, 아리랑이라는 명칭은 이들 여음에서 비롯하고 있다.
아리랑은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널리 퍼져 있어서 이른바 「독립군아리랑」을 비롯하여 「연변아리랑」 등의 이름이 쓰이고 있을 정도이며, 멀리 소련의 카자흐스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교포들의 아리랑도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확인할 수 있는 가요들을 토대로 하여 주로 강원도 일대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정선아리랑」, 호남지역의 「진도아리랑」, 그리고 경상남도 일원의 「밀양아리랑」을 묶어서 삼대아리랑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은 이들 세 가지 아리랑이 각 지역 민요의 기본적 음악언어를 간직하고 있는, 지역 내의 자생적인 전통민요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경우, 이른바 「경기아리랑」 또는 「서울아리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특정인의 창의적인 윤색을 거쳐 인위적으로 변이되었다는 뜻에서 ‘신민요아리랑’으로 분류함으로써 삼대 ‘전통아리랑’과 구별된다.
역사
  1. 1. 지역적 분포
    「정선아리랑」은 원래 「아라리」로 일컬어지던 노래이다. 정선을 비롯해서 이웃 영월과 평창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아라리」는 이 지역의 민요적 음악언어를 가장 충실하게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태백산맥의 동서를 따라 길게 설정될 수 있는 이른바 메나리토리권에서 민요 「메나리」(또는 메노리)의 음악언어와 가장 밀착된 노래로 「정선아라리」가 평가될 때, 메나리야말로 가장 전통성 짙은 민요이면서 동시에 주어진 지역의 민요적 음악언어의 기층성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물론 메나리→어산영(경상도지역)→산아지(호남지방)의 연계를 고려한다면 「정선아라리」의 전통성은 보다 더 넓은 지역에 걸쳐 논란될 수 있을 것이다. 아리랑 가운데 「정선아라리」가 유일하게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유는 바로 이 점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강원도 영동·영서일대에서는 「정선아라리」 외에 「강원아리랑」 또는 「자진아리」로 일컬어지고 있는 또 다른 아리랑이 있다.
    「정선아라리」에 비해 훨씬 장단이 빠르고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고개로 넘어간다.”라는 여음을 지닌 이 「자진아리」는 영서·인제 지방의 「뗏목아리랑」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뗏목아리랑」이 그렇듯이 일노래로서의 쓰임새를 진하게 지니고 있다.
    학산과 같은 강릉 교외 일대에서는 논노래 또는 들노래로 쓰이고 있지만, ‘어루리’며 ‘아라성’이라는 특수한 여음을 지닌 횡성·원주·여주·이천 일대의 아리랑과 충주지역의 아리랑도 기본적으로는 이 「자진아리」에 속하여 있다고 보이는 들과 논의 일노래들이다.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정선아라리」는 놀이노래라는 성격이 강하다.
    「정선아라리」에서는 엮음 아라리라는 특수한 형식의 아라리를 지적할 수 있다. 이것은 노랫말이 일반 아라리보다 훨씬 길어서, 노래의 첫머리에서 중간 정도까지 상당한 부분이 빠른 말투로 사설을 엮어가는 노래이다. 그래서 일반 아라리에 엮음 아라리를 대비시킬 경우,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대비를 연상하게 된다.
    호남 일대는 국악학계에서 육자배기토리권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것은 이 지방 민요들이 육자배기를 기층적인 음악언어로 삼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지만 「진도아리랑」은 육자배기토리에 속하면서도 그 음악언어의 특색이 육자배기와는 다소간의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그것은 후대에 약간의 윤색이 가하여졌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해석되고 있다.
    「진도아리랑」은 호남지역, 충청남도 일부, 경상남도 서부지역, 그리고 제주도 등지에 분포되어 있으나, 밀집 분포지역은 진도이다.
    한편 정자소리토리권인 영남을 배경으로 삼고 있는 「밀양아리랑」의 경우에도 그 음악언어의 특성이 정자소리의 음악언어에 대하여 다소간의 차이를 보여 주고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밀양아리랑」의 분포는 밀양을 중심으로 하여 경상남도 동북지방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다른 두 지역 아리랑에 비하여 그 분포가 비교적 제한되어 있는 셈이다.
  1. 2. 역사와 변화
    정선과 진도 그리고 밀양 등 3대 아리랑을 전통민요 아리랑으로 잡을 경우 그 가운데서도 「정선아리랑」은 메나리조의 밀착성이 짙어, 주어진 지역 민요의 음악적 문법의 기층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그것은 「정선아리랑」이 민요적 지역성과 전통성을 으뜸으로 간직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달리 말하면 「정선아리랑」은 짙은 민요적 원형성을 간직하고 있다.
    오늘날 정선의 현지 주민들에게서 그 기원이 고려 말에까지 소급될 것으로 믿을 만큼, 오랜 역사를 지닌 아리랑의 정통을 이은 계승자로서의 긍지를 실감할 수가 있다. 그들은 아리랑의 남상이 그들의 생활공간인 태백산맥의 중허리일 것으로 믿고 있다.
    「정선아리랑」이 지닌 민요적 원형성과 그리고 현지 주민의 믿음 및 그 전승태도 등을 묶어서 생각할 때 아리랑을 산간의 ‘흙의 노래’로서 비교적 쉽게 규정지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흙의 노래’는 ① 지역적으로나 역사적으로 토착성이 강할 것, ② 지역적인 일상생활성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을 것, ③ 민간 전승다운 전통성을 지니고 있을 것, ④ 주어진 지역사람들의 보편성이 큰 노래 또는 소리일 것 등, 네 가지 속성을 갖추고 있음을 뜻하고 있다.
    그러나 네 속성을 통틀어서 단일한 명제를 엮어낸다면, 오래 전부터 전하여진 것으로 믿고 지역주민 대다수가 그들의 지역 내 일상생활을 실어서 노래하고 있는 소리가 곧 ‘흙의 소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흙의 소리’로서 아리랑은 그 기층구조가 메나리나 정자소리와 마찬가지로 밭과 논, 그리고 물이며 산에서 부른 ‘일노래’라는 성격을 갖추고 있다. 이 경우 산과 들을 통틀어서 흙이라는 말로 포괄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흙의 소리인 아리랑은 산과 들·밭에서 부르는, 혹은 집안에서 부르는 ‘놀이노래’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흙의 소리’로서 아리랑은 애원성·탄성(嘆聲) 등이 실린 개인적인 소리라는 속성을 강하게 갖추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소박한 주관적인 서정이 흙의 소리로서 아리랑이 지녔던 시정신이라고 생각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신세타령과 팔자한탄 등이 우세한 넋두리나 푸념에 견줌직한 소리였다고 생각된다. 그런가 하면 개인생활 주변 일상성의 묘사를 ‘흙의 소리’로서 아리랑이 갖추었을 또 다른 속성으로 생각하여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아리랑의 기원설과 전설들은 대원군의 경복궁 공사와 관련된 아리랑에서 말하여 주고 있다. 『매천야록 梅泉野錄』에 고종이 궁중에서 아리랑을 즐겼다고 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대원군·고종 때 당시 서울에도 이미 아리랑이 전해져 있었음을 헤아릴 수 있다.
    경복궁 공사를 위한 징용의 가혹함과 이 공사 경비조달을 위한 가렴주구가 아리랑에 얽혀서 전해지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적어도 대한제국 말기의 가혹한 정치와 사회현상을 타고 아리랑은 ‘흙의 소리’에서 ‘역사와 사회의 소리’로 탈바꿈해 나갈 결정적 단서 내지 동기를 잡은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이다.
    이것은 대원군 시대를 계기로 해서 비로소 아리랑이 역사성·사회성를 갖추게 되었다는 것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아리랑의 기원을 고려 말 유신들의 망국의 한에서 찾고 있는 아리랑의 기원설 내지 전설이, 이미 아리랑이 원천적으로 지니고 있을 역사·사회성에 대하여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리랑의 흙다움과 역사·사회다움은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비중의 우세를 지적할 때 제기될 수 있는 개념들이다. 그것은 아리랑이 원천적으로 지니고 있었던 역사·사회성이 대원군 시대와 같이 역사적 충격을 받아 상대적으로 흙다움보다 훨씬 목소리를 높였음을 뜻하는 것이다.
    아리랑이 사회화하고 역사화하는 제2의 충격은 일제의 침략에 의하여 촉발된 것이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표현이 나운규(羅雲奎)가 제작한 영화 「아리랑」이었다고 더불어 가정해 볼 수 있다. 그와 같은 아리랑의 사회화와 역사화는 8·15광복과 6·25전쟁을 거치면서 중첩되어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리랑의 자체 변화는 민간전승이 역사적 변화에 적응한 결과라고만 설명될 이상의 또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것은 민간전승이 민간전승으로서, 다른 차원으로 옮겨 갔음을 의미하면서 동시에 민간전승이 민간전승의 테두리를 떠나 다른 문화영역으로 옮겨 갔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아리랑은 농어촌 전통사회의 민간전승에서 좁게는 도시 민간전승, 넓게는 사회 민간전승으로 탈바꿈해간 것이다. 이와 같은 일은 다른 민간전승에서 그 유사한 사례를 찾기 힘든 것이다. 이 경우, 사회 민간전승이란 동시대의 한국사회 전체가 공유한 민간전승임을 뜻한다.
    그런 한편, 아리랑은 그 사회화와 역사화를 통하여 대중문화·상업소비문화, 그리고 창조적인 예술문화에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 간 것이다.
    이 같이 ‘흙의 소리’ 아리랑이 역사화·사회화해 간 사실은 제2차세계대전을 전후해서, 이른바 제3세계들에 걸쳐 광범위하게 일어난 민족주의적 문화운동으로서 일어난 민요운동과 동궤의 것으로 평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기도 한 것이다.
  1. 3. 신민요아리랑의 파장
    아리랑은 앞서 언급한 삼대 전통 아리랑이 그 원류라고 보여진다. 그러나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에서 비롯하였을 것으로 짐작되는 「경기아리랑」 또는 「서울아리랑」은 신아리랑 또는 신민요아리랑이 잇따라 발생할 수 있는 동기 구실을 다한 것으로 생각된다.
    신아리랑 또는 신민요아리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대중가요화한 아리랑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민요아리랑 또는 전통아리랑으로 하여금 새로운 시대, 말하자면 상업시대 및 산업사회의 대중들의 노래로서 살아남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이다.
    가령 「아리랑삼천리」(박시춘 곡)를 효시로 삼아서, 일제강점기에 창작된 다섯 편 가량의 대중가요 아리랑에서 오늘날의 「영암아리랑」(하춘화 노래)에 이르기까지 ‘대중가요 아리랑’의 맥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노래로서 아리랑은 전통민요→신민요→대중가요의 길을 걸어갔으며, 한편 ‘가곡 아리랑’의 흐름도 있다. 노래로서 아리랑은 그만큼 다양한 장르들을 포괄하게 된 것이다.
    신민요아리랑의 효시라고 보아도 무관한 「경기아리랑」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
    라는 노랫말로 유명하지만, 음악언어의 원류는 대체로 「정선아라리」에서 찾을 수 있다.
    1930년대 이후 숱한 신민요아리랑이 잇따라 창작되었을 때, 「경기아리랑」은 달리 「본조아리랑」으로도 호칭되었거니와 그것은 「경기아리랑」이 신민요아리랑의 본조, 곧 본류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경기아리랑」 이 외의 나머지 신민요아리랑들은 「별조아리랑」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삼대 아리랑을 중심으로 일어난 아리랑의 물살은 시대의 차이, 갈래의 차이를 넘어서서 우리의 근대사회에 널리 또는 깊게 파장을 미쳐간 것이지만, 「종두(種痘)아리랑」이나 「한글아리랑」으로 이름지을 만한 특수한 아리랑의 파생을 보기도 하였던 것이다.
    「종두아리랑」은 천연두 예방주사를 널리 보급시키기 위하여, 「한글아리랑」은 문명퇴치교육의 보급을 위하여 각기 창안된 것들이다.
    이들 두 가지 보기들은 아리랑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창조되기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나, 「독립군아리랑」이라는 또 다른 보기와 함께 이들은 아리랑이 민요의 텃밭인 민간전승 밖으로 벗어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가령, 이와 같은 아리랑의 탈민요 내지 탈민간전승을 크게 보아 아리랑의 원심력 방향 확산이라고 부르게 된다면, 앞에서 이미 언급한 대중가요화나 가곡화도 그 같은 확산의 일례로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아리랑의 탈민간전승운동이 굳이 한 방향, 한 범주로 묶여서 제약받을 수는 없다. 가령 상업화하는 경향, 예술(문학·음악 등)사에 편입되는 성향, 실용성 높게 사회화하는 경향 등을 지적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립군아리랑」의 경우는, 가령 그것이 집단적 의지에 의하여 자연발생적으로 자체 내에서 창작되어 집단의식의 독자성을 강하게 향유하고 있었다면, 전통민속이 아닌 새로운 시대의 민속으로 평가하여도 좋을 것이다.
    원심적 확산의 다양화는 민요아리랑의 사회화 내지 역사화로 표현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아리랑이 원형 지향적 전통성(구심성) 이외에, 시대변화에 적응하는 높은 정도의 가변성을 향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심성과 원심성의 극대화된 사례를 다른 전통민요에서 찾아보기 힘들다는 사실을 지적한다면, 다른 민요와 상대적으로 아리랑이 가지게 되는 개성이 그만큼 크게 두드러져 보이게 될 것이다.
    결국 신민요아리랑의 파장은 급기야 천파만파를 불러 일으켜,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또 다른 파장이 일어나게 한 것이다.
아리랑의 어원 및 구조
  1. 1. 여러가지 후렴과 그 어원론
    여음의 대표적 어휘인 ‘아리랑’의 어원에 대해서는 ‘아리랑(我離郎)’을 비롯해서 신라의 ‘알영비(閼英妃)’, 밀양 전설의 인물인 ‘아랑(阿娘)’ 등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의미 없는 사설(nonsence verse)로 흥을 돕고 음조를 메워 나가는 구실을 할 뿐이다.
    즉, 아리랑의 여음은 여러 가지이며 그 쓰임새 또한 다양하다. 노래의 머리에서 앞소리 또는 내드름소리로 쓰이는가 하면, 노래의 꼬리에서 뒷소리 또는 받음소리로도 쓰이고 있다. 또는 앞사람의 노랫말이 끝난 뒤, 다른 사람이 그 뒤를 이어 다른 노랫말로 넘겨받는 넘김소리로도 쓰인다.
    쓰임새의 다양성은 당연히 여음이 노랫말에서 차지할 자리의 다양성에 대하여 말해 주는 것이다. 다른 민요의 여음은 대체로 일정한 마디(節) 구성을 지니고 있고, 또 그 쓰임새며 노랫말에서 차지하게 될 자리가 일정하다. 그러나 아리랑의 경우 여음은 다른 면의 다양성과 더불어 마디 구성상의 다양성을 아주 특이하게 드러내 보이고 있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정선)
    아리 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낫네. 아리랑 어절시구 날 넘겨 주소. (밀양)
    아리 당다중 쓰리 당다중 아라리가 낫네. 아리랑 어절시구 잘 넘어간다. (밀양)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낫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낫네. (진도)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고개로 넘어간다. (강원도)
    아라리요 아라리요 아리랑 어헐사 아라성아. (여주)
    이와 같이 다양한 여음은 ‘아·이’, ‘아이·으이’, ‘ㄹ·ㅇ’, ‘ㄹ·ㅅ’ 등의 대립적 내지 대조적 음운교체의 엮어짐이 주류를 이루고 있거니와, 그것은 그와 같은 대립·대조적 음운교체가 한국인의 시적(詩的)인 ‘쾌감있는 음상(音相)’을 자극하면서 동시에 아리랑이 지닌 지배적 정서에 호응하는 것이라고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아리랑 여음의 어원론적 설명은 그 같은 음운들의 엮어짐이 뜻이 있는 실사(實辭)로 간주됨으로써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고, 또 그 시도에 따라 이설이 분분한 아리랑 기원론이 제시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가령, ‘我離郎’·‘啞而聾’·‘我難離’ 같은 보기는 아리랑의 여러 가지 여음을 각기 실사로 보고 한자로 옮겨놓은 것들이다.
    여음 해설을 계기로 삼은 여러 가지 아리랑 기원론은 아리랑이라는 전승 자체 및 일부 노래말에 얽혀서 전하여져 있는 전설(설명 전설)과 함께, 크게 본 아리랑 전승을 이루고 있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즉 아리랑 전승은 아리랑이 노래말로만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노래말이 주축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주축을 세워서 각종 기원론과 전설도 의젓한 아리랑 전승의 일부를 이룩하고 있는 것이다.
    다양한 기원론은 진지한 노력이나 부분적인 상당한 설득력에도 불구하고 민간어원설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원론의 언어학적인 타당성과는 별도로 정서론 내지 주제론적인 타당성은 상당한 정도로 함유하고 있다.
    그것은 크게는 어원설을 제기하는 사람들의 주관적인 감정이 투사된 결과이기는 하지만, 아리랑 전승 내부에 몸과 삶을 담고 살아온 사람으로서 경험론적인 실감이 거기에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아리랑의 기원설은 대체로 보아 아리랑을 오랜 역사적 유래를 가진 노래로, 그러면서 아리랑을 비창감이 진하게 서린 노래로 부각시키려는 두 가지 경향성을 보여 주고 있다.
    전자를 아리랑 기원설의 역사주의, 후자는 비창지향성이라고 부를 수 있다. 물론, 예외는 있으나 그 두 가지 경향성을 함께 고려할 때 아리랑 기원설에는 민족의 역사성 짙은 상흔이 간직되어 있다고 말하여도 좋을 것이다.
    그것을 아리랑 기원론이 간직하고 있는 민족의 역사적 원상의식(原傷意識)이라고 바꾸어 말하여도 무방할 듯하다. 아리랑을 푸념·넋두리라고 부를 수 있을 때 아리랑이 역사적 원상을 풀어나가는 양식상의 특색에 대하여 말하게 된다.
    아울러, 서러움·애달픔·원한을 말하게 되며 아리랑이 지닌 역사적 원상이 불러일으킬 감정 및 정조를 지적하는 것이 되며, 애원성이라고 하게 되면 역사적 원상의 노래인 아리랑이 지닌 소리로서의 특색을 지적하는 것이 될 것이다.
  1. 2. 시형식과 수사
    아리랑의 시형식은 기본적으로 2행시, 곧 두 줄 시라고 볼 수 있으며, 가장 간결한 시형식이다. 따라서 아리랑의 시형식은 민요형식의 단순성 매력을 갖추고 있다. 이 경우 여음은 따로 계산하고 뜻 있는 실사로 엮어진 시행만 문제 삼고 있는 것이다.
    두 줄 시로서 한 줄이 대체로 3∼5음보 정도로 엮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모두 10음보를 넘지 않는 짧고 간결한 시형식을 갖추고 있다. 당연히 예상되는 중문과 복문 이 외에 단문으로만 된 두 줄이 있다는 것을 지적하면 아리랑의 단순성은 더욱 강조될 수 있을 것이다.
    두 줄 시는 「캐지량」이나 「강강술래」의 한 줄 시에 비하면 양식의 안정도 크다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그런가 하면 세 줄 시와 네 줄 시에 견주어서 기억하기 좋고 즉흥성을 가미하기 쉽다는 양식상의 특색을 지적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민요 두 줄 시는 속담이나 속신 등 이른바 ‘민중의 신념’ 또는 ‘민중의 판단’이라고 총칭할 수 있는 ‘문장 구술 전승’과 한 범주에 들거나 아니면 서로 이웃할 수 있는 서술형식상의 속성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팥 심은 데 팥나고 콩심은 데 콩난다.”고 하는 속담이나 “아침 까치가 울면 손님이 오고 저녁 까치가 울면 사람이 죽는다.” 라는 속신 따위는 아리랑의 두 줄 구성과 구별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속신과 속담은 ‘민간 수사’라고 부를 만한 것의 최소 단위이다. 사물을 인지하고 판단하고 하는 데 쓰일 수 있는 민간 수사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아리랑의 두 줄 구성은 실제로 민간 수사를 총망라하고 있기도 한 것이다.
    이 점이 아리랑이 지닌 형식상 또는 수사상의 큰 장점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아리랑의 배후에 속신과 속담 등에 견줄 수 있는 민간 수사가 있다고 하는 것은 아리랑이 각종 민간 수사의 보고임을 의미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리랑은 그 양식이 단순하여 강한 암기성과 즉흥성을 촉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음과 함께, 속담이나 속신에 견줄 수 있는 민간 수사의 보고라는 사실이 어울려서 무수한 아리랑 노래말을 만들어낸 것이다. 그것은 다양한 노래말의 문체적 원천 내지 동기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아리랑 노래말이 오늘날 많게는 한 지방의 경우 400∼500가지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노래말의 가짓수가 많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 요는 그렇게 다양하게 계속 지어지고 있는 바탕, 큰 시문법이나 초구조가 제시되어야 하는 것이다.
    아리랑의 두 줄 구성에서 대구법이 가장 우세한 것으로 지적될 수 있다. 그것을 ‘대구적 두 줄 구성’이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대구는 대조와 대비의 대구로 크게 양분될 수 있다. 두 가지 사물 또는 존재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강조된 것이 대조의 대구법이라면, 이와는 달리 큰 것들 사이의 공질성이 강조된 것이 대비의 대구법이다.
    “앞남산의 실안개는 산허리를 감고요 정든님 두 팔은 내허리를 감는다.”가 전자의 보기라면, “오릉촉단(吳綾蜀緞) 능라조(綾羅調)로 날 감지 말고 대장부 긴긴팔로 날 감아 주게.”는 후자의 보기로 알맞을 것이다.
    두 가지 노랫말에서 다 같이 ‘임에 의한 허리감기’는 사람이 충족된 상태를 뜻하고 있다. 이미 충족되어 있는 사람은 ‘임에 의한 허리감기’와 동형동질의 것을 찾아 짝을 맞추고 있고, 이와는 달리 충족되어 있지 않은 사람은 동행이질의 것을 찾아서 짝맞추기를 하고 있음을 쉽게 찾아낼 수가 있다.
    이것을 아리랑의 짝맞추기, 정확하게는 아리랑 두 줄 대구의 짝맞추기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 짝맞추기에 의해 아리랑은 ‘도시(부)·농어촌(가난)’, 사회계층과 신분계층의 ‘위·아래’, ‘가짐·안 가짐’, ‘밝음·어둠’, ‘잘남·못남’ 등 종횡무진으로 노래부르는 것이다. 그 짝 맞추기에 따라 아리랑은 때로는 밝은 양지의 노래가 되고 때로는 어두운 음지의 노래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짝맞추기 대구법을 기본으로 삼고, 거기에 반복법·말놀음·쌍소리·문답법·독백체 등이 간간이 활용되면서 무수한 변이를 낳게 되고, 오늘날 3,000여 가지가 넘는 노래말이 수집, 보고되기에 이른 것이다. 그 결과 아리랑은 한국인이 말할 수 있는 온갖 말투와 말씨를 총동원한 소리의 소리, 노래의 노래가 될 수 있었다.
  1. 3. 장단과 가락
    민요·신민요 유행가에 ‘아리랑’이라는 제목이 붙거나 뒷소리에 아리랑이라는 말이 붙는 노래는 매우 많다.
    그러나 오늘날 세상에 널리 불리는 민요 가운데 아리랑은 「강원도아리랑」·「정선아리랑」·「밀양아리랑」·「진도아리랑」이라 할 수 있으며, 「서울긴아리랑」·「남도긴아리랑」·「해주아리랑」은 부르는 일이 극히 드물다. 「어랑타령(신고산타령)」·「긴아리」·「자진아리」는 오늘날 아리랑으로 꼽지 않고 있다.
    「강원도아리랑」은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모내기소리로 불려지는 아라리에서 나온 것으로 강원도자진아라리이다. 이 아리랑은 8분의 10박자로 엇모리장단에 맞으며 엇모리 4장단에 메기고, 엇모리 4장단에 “아리아리 스리스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고개로 넘어간다.”하고 뒷소리를 받는다.
    선율은 구성음이 미·솔·라·도·레로 되어 있고, 미나 라로 종지하며 미는 작게 떨고 레에서 도로 꺾는 목을 쓰는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다. 「강원도아리랑」은 소박하고 구슬픈 느낌을 주어 서울에서 불리는 것보다 강원도 영동지방에서 불리는 것이 훨씬 향토적인 맛이 난다.
    「정선아리랑」은 강원도 영서지방에서 모내기소리로 불려지는 강원도 긴아라리를, 촘촘히 엮어 엮음 아라리로 불려지던 것이 세상에 퍼진 것이다.
    메기는 소리는 자유리듬으로 촘촘히 노랫말을 엮어가다가 세마치 8장단으로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고개로 날 넘겨주소.”하고 받는다.
    선율은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다. 엮지 않는 것은 매우 처량한 느낌을 주며 엮는 것은 노랫말을 빠르게 촘촘히 엮어나가며 감정을 고조시키다가 끝에 높은 소리로 길게 질러내어 감정을 퍼버리며 뒷소리로 느리게 흐느끼는 느낌을 준다.
    아리랑은 세상에서 가장 널리 불리던 것으로 서울의 「구조아리랑」에서 나온 것이며, 장단은 세마치로 되어 있으나 흔히 4분의 3박자로 불러 신민요의 리듬으로 부른다. 세마치 8장단을 메기고 8장단을 받는다. 선율은 구성음이 솔·라·도·레·미로 되어 있고 솔이나 도로 마치는 경토리로 되어 있으며, 유창하고 명랑한 느낌을 준다.
    조선 말기에 성창하던 「구조아리랑」은 이 아리랑과 장단과 토리가 같으며 곡조가 약간 다를 뿐이다. 「긴아리랑」은 「구조아리랑」과 장단과 토리는 같으나 훨씬 느리고 곡조가 약간 변동되어 있다. 「아롱타령」은 장단과 토리는 「구조아리랑」과 같지만 곡조가 높은 음역에서 부르도록 바뀌어 있다.
    「밀양아리랑」은 서울의 「아롱타령」에서 파생된 것이다. 장단은 8분의 9박자 세마치 장단으로 되어 있고 8장단을 메기며 8장단을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아리랑 어헐시구 아라리가 났네.” 하고 뒷소리를 받는다. 선율은 경토리와 메나리토리가 뒤섞여 있으며, 매우 경쾌하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진도아리랑」은 「남도긴아리랑」을 변창한 것이다. 8분의 9박자 세마치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8장단을 메기고 8장단을 뒷소리로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하고 받는다.
    선율은 구성음이 미·라·시·도로 되어 있고 라로 마치며 미에서 세게 떨고, 도에서 시로 꺾고 레보다 낮은 음에서 도·시로 흘러내리는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 이 아리랑은 구슬프고 구성진 느낌을 준다. 「남도긴아리랑」은 서울 「구조아리랑」을 육자배기토리로 바꾼 것으로 장단은 세마치장단으로 되어 있다.
  1. 4. 다양성과 초역사성
    아리랑은 말할 것도 없이 일차적으로 전통민요이다. 따라서 구술과 암기에 의한 전승, 자연적 습득 등과 같은 민속성 외에 지역공동체집단의 소산이라는 민속성을 가지게 되고, 그 집단성은 시대성과 사회성을 내포하게 된다.
    “쓰라린 가슴을 움켜 쥐고 백두산 고개로 넘어 간다.”, “감발을 하고서 백두산 넘어 북간도 벌판을 헤매인다.”, “이천만 동포야 어데 있느냐 삼천리 강산만 살아 있네.”, “지금은 압록강 건너는 유랑객이요 삼천리 강산도 잃었구나.”, “36년간 피지 못하던 무궁화꽃은 을유년 8월 15일에 만발하였네.”, “사발그릇 깨어지면 두세 쪽이 나는데 삼팔선이 깨어지면 한덩어리로 뭉친다.”
    이와 같이 몇 가지의 노랫말을 나열해 놓는 것만으로도 「아리랑」이 근세의 민족사를 반영하고 있음이 일목에 드러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뗏목꾼은 뗏목꾼대로, 광부들은 광부들대로, 심메마니는 또 그들대로 각기 그들 생활의 애환의 순간순간을 아리랑에 담고 있다. 직업공동체나 사회공동체의 문화적 독자성이 강하게 아리랑에 담기게 되는 것이다. 민족이 위기에 처한 시대에 아리랑은 민족적 동질성을 지탱하는 소리였다.
    아리랑은 거시적으로 민족의 독자성에 이바지하였으나, 그보다 좀 작은 규모의 지역공동체이며 이익공동체의 독자성에도 상당한 기여를 한 것이다.
    그런 뜻에서 아리랑은 분명히 공동체의 휘장(徽章) 내지 민중의 휘장 노릇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럴 경우 애원성(哀願聲)이나 한탄의 소리인가 하면, 항거요 비판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체념의 하소연인가 하면 강한 삶의 의지의 표백이었고, 모가 난 말싸움인가 하면 익살떨기의 넉살부림이기도 하였다. 구시렁거리는 불만인가 하면 지독한 악담이요 욕이요 쌍소리이기도 하였다.
    한마디로 집단과 민중의 휘장이라고 하지만, 아리랑은 이 같은 다양한 목청과 소리투로 그 휘장을 노래한 것이다. 그러나 아리랑은 바로 그것이 지녔던 집단 내지 민중의 휘장이라는 성격으로 말미암아 사회문화인 민요운동을 우리 민요사에서 유일하게 도맡을 수 있었던 것이다.
    흙의 민속성에서 사회와 역사의 민속성을 향하여 아리랑은 자신을 확대할 것이다. 아리랑이 근대사를 살게 된 한국인의 사랑을 받은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아리랑의 집단성은 앞소리와 뒷소리, 매김소리와 받음소리 등으로 나뉘어 부르는 형식에도 곧잘 드러나 있다. 한데 어울려 일하고 놀이하는 사람들이 그 소리의 가름을 따라 제창이나 윤창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아리랑에서 그 집단성만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옳은 일이 못 된다. 그것은 동시에 매우 강한 개인성을 갖추고도 있었기 때문이다. 아리랑은 주관성 높은 감정을 자연스럽게 토로하는 서정시이면서 원한과 아픔을 풀이하는 넋두리나 푸념이기도 하였다.
    유사 대화체나 독백체가 이 속성을 강하게 뒷받침할 수 있었다. 아리랑은 ‘떼소리’ 또는 ‘무리소리’이면서도 ‘혼자소리’이기도 하다.
    절로 한숨 짓듯이, 더운 숨결을 토하듯이, 혹은 매인 중치를 터놓듯이 혼자소리로 부르는 것이 아리랑이다. 소리꾼은 그 혼자소리로 삶을 달래고 애간장을 삭이면서 목숨 부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혼자 소리 아리랑은 삭임의 소리, 푸는 소리 구실을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집단성과 개인성은 아리랑이 지닌 또 다른 원심력과 구심력이지만, 그 양면성을 갖추고 있는 데에, 아리랑이 지닌 복합성을 읽게 되는 단서의 하나를 얻게 된다.
    아리랑은 결코 단일한 장르의 민요가 아니다. 아리랑은 그 다양한 복합성 때문에 역사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 속에서도 살아남는 강한 적응력을 향유할 수 있었다. 그냥 단순히 과거의 화석으로 전해지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근대의 흐름 속에서 그때그때 새로이 새 삶을 얻으며 살아남은 것이다.
    한국의 문학사와 예술사에서 단일한 민요의 소재를 들자면 아리랑만큼 질기고 굵은 맥을 지켜온 보기를 구할 수 없다. 그것도 사회와 시대의 변화를 증언하면서 주제사적인 문제까지 더불어 제기하는 소재사의 맥을 구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내일의 한국의 시대, 그리고 사회에서 아리랑의 소재사가 어떻게 될 것인지를 예언하기는 힘들다. 다만 소재사의 맥이 더욱 굵어지고 더욱 길게 이어지기를 바랄 뿐이다.
  참고문헌
  • 「한국 음악민요의 유형적 고찰」(김진균,『동서문화』 4,계명대학교 동서문화연구소,1970)

  • 아리랑  (김연갑 편, 현대문예사, 1986)

  • 아리랑역사여 겨레여 소리여  (김열규, 조선일보사, 1987)

  • 「아리랑에 관한 음악적 고찰」(이보형,『민학회보』 15,198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아리랑)]

정의

2003년 제32회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제2조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은 관습, 묘사, 표현, 지식 및 기술 및 이와 관련된 기구, 물품, 가공품 및 문화 공간이며, 사회 집단 및 경우에 따라서는 개인이 자기의 문화 유산의 일부로 인정

동 협약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네스코에 설치된 무형 문화 유산 보호에 관한 정부 간 위원회에 의해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을 작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16조). 또한 조약 채택 전에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으로 선언된 것은 표에 기재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31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