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레니우스(라틴식 이름 : Irenaeus. 헬라식 이름 : Εἰρηναῖος)


이레니우스(라틴식 이름 : Irenaeus. 헬라식 이름 : Εἰρηναῖος)


Saint_Irenaeusjpg

1. 생애

 이레네우스는 2세기 말, 지금의 프랑스 남부 도시 리용(Lyon. 라틴지명: Lugdunum)의 주교였다.
‘이레네우스’라는 이름은 헬라어(=희랍어. 그리스어) ‘평화’를 의미하는 ‘에이레네’에서 파생된 단어로써 ‘화평자’를 의미한다.
최초의 기독교 역사가 유세비우스(Eusebius)는 그를 가리켜 ‘화평케 하는 자’(Εἰρηνοπιος)라 불렀다.

그는 자신이 어린시절 서머나(Smyrna. 스미르나)의 주교이며 순교자인 폴리캅(Polycarp. 폴리카르포스)에게서 배웠다고 언급했기 때문에 폴리캅의 제자로 알려져 있는데, 이 폴리캅은 사도 요한의 마지막 제자였다.

그래서 학자들은 이레네우스의 출생지를 소아시아의 서머나 혹은 그 주변 지역으로 추정하는데, 그곳은 지금 터키의 이즈미르(Izmir)이다.

그가 태어난 시기는 학자들에 따라 115-145 사이로 추정된다.

이레네우스가 무슨 이유로 동방에서 서유럽으로, 즉 프랑스 남부에 있는 골(Gaul) 지방의 리용으로 이주하게 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추정되는 이유는 두 가지로 압축한다.

첫째는 상업적인 용무 때문이었다
둘째는 선교적 열심 때문이었다

그가 리용의 주교 포티누스(Pothinus = Potheinus) 아래 그곳의 사제로 임명되어 장로가 된 것만은 분명하다.

177년에 포티누스는 당시 유행하던 이단 사상인 몬타누스주의(Montanism)에 대한 골 지역 그리스도인들의 생각을 담은 편지 한 통을 로마 주교 엘류테리우스(Eleutherius)에게 전달하기 위해 이레네우스를 로마로 파송했다.
그런데 이 시기에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 재임기간: 161-180)의 혹독하고 잔인한 박해가 리용을 덮쳤고, 결국 178년에 포티누스 주교는 90세가 넘는 고령의 나이로 순교를 당하고 말았다.

리용의 기독교 공동체는 이레네우스가 로마에서 돌아오자 순교자 포티누스를 이어 그를 리용의 새로운 감독, 즉 주교로 선출했다. 그의 주교권 구역은 리용뿐만 아니라 비엔나(Vienne)를 포함하여 리용 주변 지역에 있는 교회들에까지 확대되었다. 후대의 한 저술에 의하면 이레네우스는 단기간에 리용 전체를 기독교로 개종시킨 탁월한 감독이었던 것으로 전해지지만 대부분의 교부 연구가들은 이러한 진술을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이레네우스는 당시 교회 사이에 논란이 많았던 부활절 날짜 문제와 관련하여 로마 주교인 빅토로(Victor. 재임기간: c. 189- c. 199)에게 편지를 보내여 14일파(Quartodeciman. 유대력 니산월 14일을 부활절로 정하고 그 날을 기념하여 지키는 사람들)를 파문하지 말고 그들에게 관용을 베풀어 달라고 부탁하기도 했다.

이레네우스의 정확한 사망 연도는 알 수 없고 다만 약 200-202년경으로 추정한다. 라틴어 성경 불가타(Vulgata)를 번역한 제롬(Jerome), 즉 히에로니무스(Hieronimus)는 그가 순교했다고 전한다. 그는 리용의 성 요한 교회에 장사되었는데, 후에 이 교회는 성 이레네우스 교회로 개명되었다. 그의 무덤과 유물들은 1562년 프랑스 개신교도들인 위그노(Huguenots)에 의해 깡그리 파헤쳐지고 파괴되었는데, 위그노들이 그렇게 한 이유는 그것들이 우상으로 숭배되었기 때문이다.
 
2. 저술

독일의 교부 연구 대가인 한스 폰 캄펜하우젠(Hans von Kampenhausen)은 이레네우스가 헬라어를 사용하는 동방 출신이라는 점과 그의 모국어와 저술 언어가 헬라어라는 점을 고려하여 그를 동방교부, 즉 헬라교부로 분류한다. 사실 헬라어는 그 당시 로마 제국의 동쪽 지역에서만 사용된 것이 아니라 로마 제국에 사는 대부분의 그리스도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교회의 언어였다. 하지만 이레네우스는 로마 제국의 서쪽 지역인 골 지방의 리용에서 사역했기 때문에 모국어인 헬라어뿐만 아니라 당시 로마 언어였던 라틴어에도 능통했다.

이레네우스의 저작들 가운데 잔존해 있는 것은 두 권이다. 하나는 흔히 <이단 논박>(Adversus haereses. 영어: Against Heresies)으로 알려진 <사칭되는 ‘영지’에 대한 폭로와 반박>(Detectio et eversio falso cognominatae gnosis = Ἔλεγχος και ἀντροπη της ψευδωνυμου γνωσεως)이라는 저술이다. 이 저술을 히에로니무스가 <이단 논박>이라는 명칭으로 인용한 이후 줄곧 원제목 보다 이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5권으로 구성된 이 책의 내용은 라틴어 번역판으로는 완전본이 남아 있지만 헬라어 본문으로는 일부 단편만 남아 있다.

그의 대표적인 저술인 <이단 논박>에서 이레네우스는 ‘지식’을 뜻하는 헬라어 ‘그노시스’(gnosis. 영지)에서 노스티시즘(Gnosticism), 즉 영지주의, 특히 그 중에서도 영지주의적 이단 발렌티누스(Valentinus)의 체계를 철저하고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반박하면서 동시에 그리스도께서 그의 제자들에게 가르치신 ‘진리의 표준’(canon veritatis)과 ‘신앙의 규범’(regula fidei)을 변호한다. 또한 당시 교회의 가장 위협적이었던 마르시온(Marcion. 마르키온; 말시온) 이단뿐만 아니라 몬타누스(Montanus) 이단에 대해서도 논박한다.

잔존해 있는 다른 하나의 저술은 <에피데익시스>(Epideixis)로 알려진 <사도적 선포에 관한 논증>(Ἐπιδειξις του ἀποστολικου κηρυγματος)이라는 책인데 단지 아람어 번역본만 존재한다. 여기서 이레네우스는 구약의 예언들이 신약의 복음서에서 성취되었다는 점을 증명하고 싶어 한다.
 
3. 사상

이레네우스는 교회의 전통적인 요소들을 강조했는데, 특히 주교직과 성경과 전통을 강력하게 변호했다. 그는 로마 교회의 전통과 일치하는 교리적 전통의 권위만이 교회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로마 주교직의 수위권을 강력하게 옹호했는데, 이것은 후에 로마 교황의 수위권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모든 주교들의 의견을 듣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가장 크고 오래되었으며 사도 바울과 베드로에 의해 설립되고 교훈을 받은 로마 교회가 사도들로부터 이어받은 전통과 그들의 주교들을 통하여 지금 우리에게까지 전해져 온 신앙을 본받아야 한다. 왜냐하면 로마 교회의 강력한 권위 때문에 모든 교회, 즉 모든 지역의 그리스도인들은 로마 교회에 따르고 있으며, 로마 교회 안에서 사도들로부터 유래한 전통이 수호되고 있기 때문이다.(<이단 논박> III.3.2.)

이레네우스는 마르시온에 반대하여 구약과 신약의 밀접한 상관성을 주장했으며 마르시온이 신약 가운데 정경에서 제외시킨 4 복음서 모두를 영감된 정경임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복음서들이 네 개 이상도 이하도 될 수 없다.”(<이단 논박> III.11.8) 그는 <이단 논박>에서만 빌레몬서, 베드로후서, 요한삼서, 유다서 외의 모든 신약 성경으로부터 무려 1,075개의 성경 구절을 인용했이다. 이런 점에서 이레네우스가 오늘날 신약 성경 27권 모두를 영감된 한 권의 성경으로 간주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기독론과 관련하여 이레네우스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는 에비온주의자들(Ebionites)과 그리스도의 인성을 부인하는 발렌티누스주의(Valentianism) 모두를 반박하면서 ‘하나이며 동일한’(εἶς και αὐτος) 그리스도 안에서 신성과 인성 간의 통일성을 주장하였다.(<이단 논박> III.16.3.)
삼위일체론과 관련하여 이레네우스는 경륜적 삼위일체론자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는 그의 가장 유명한 신학 사상인 ‘총괄갱신’(recapitulatio = ἀνακεφαλαιωσις)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 총괄갱신의 핵심은 ‘그 자신 안에서 만물을 완성하시는 한 분 그리스도’라는 개념이다.
말씀은 친히 인간이 되시어 자신 안에서 만물을 완성하신다. 하늘 위의 것들과 영적이고 비가시적인 세계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최고이신 것처럼 그 말씀은 또한 가시적이고 물질적인 영역에서 으뜸이 되실 것이다.(<이단 논박> III.16.6.)

 주님은 자신의 가르침에 순종하는 사람들을 생명의 낙원으로 이끄시고 그 자신 안에서 만물, 하늘에 있는 것들이나 땅에 있는 것들을 완성하신다.(<이단 논박> III.18.1.) 


최초의 교부 위대한 조직신학자  이레나우스의 생애와 신학
최초의 교부였던 이레나우스는(Irenaeus, Born AD 130 Smyrna, Died 202 Lugdunum) 소아시아 동북 지중해안의 서머나 지방에서 출생 했다. 당시 소아시아의 안디옥은 다양한 종교, 철학, 문화의 접촉지로서 로마 제국의 중요한 도시 중의 하나였다. 이레니우스는 170년경 고울 지방의 리용에 정착하면서 177년 그곳의 장로가 되었고 당시 리용의 감독이었던 포티누스의 순교로 인해 리용의 감독으로 선출되었다.

이레나우스가 활동했던 소아시아의 팔레스틴, 안디옥에서는 이그나티우스, 폴리캅, 파피아스, 데오빌로, 유스틴 등의 신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레나우스는 이들의 영향을 받았고 이 일련의 학자들은 훗날 안디옥 학파로 불린다. 그중에서도 특히 서머나 지방의 감독 폴리캅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이레나우스의 기독론 해석에서 잘 나타나 있다. 이레나우스는 헬레니즘적인 학문과 철학적 통찰력과 실천의 지혜 및 중용의 요소가 조화된 훌륭한 목회자였고 그의 저술 또한 목회적인 입장을 많이 반영하고 있다.

‘교의학의 아버지’ 또는 ‘교회의 최초의 위대한 조직신학자’라 불리는 이레나우스는 교회의 전통, 구속사, 신구약의 권위 등 여러 분야에서 업적을 찾을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2세기 영지주의자들과 논쟁에서 중요성 때문에 기독교회사에서의 의미심장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레나우스는 일생동안 영지주의를 논박하고 하나님의 구원 역사계획을 역사 신학 내에서 진지하게 설정하였으며 신약을 구약과 같은 권위로 보면서 성경을 총체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그리스도인이었다.
이레나우스는 기독교를 진정한 철학으로 보 려는 변증가들의 견해에 반대하였으며 헬라적 사색의 도움을 동원하지 않았고 계시의 내용이 단순히 새로우면서도 보다 나은 철학에 불과하 다는 자들과도 견해를 달리했다. 그에게는 성경 적 전통만이 신앙의 유일한 근원이었다.

목회적 소질을 타고난 이레니우스는 고울에서 복음을 전파하며 이단으로부터 양들을 변호하는데 관심을 쏟았다. 다른 한편으로 이레나우스는 변방에 있는 켈트족의 복음화와 리용의 교회 평화를 위해 노력했다. 후기 자료에 의하면 이레나우스는 리용에 있는 기독교인들이 죽임을 당하던 202년에 순교하였다.

이레나우스는 사도적인 전통(가르침)은 성경에서 발견되며 교회에 보존되어 왔으며 따라서 “진리를 보기 원하는 사람은 온 세계에 분명하게 된 사도들의 전통을 어느 교회에서나 분면하게 볼 수 있다.”고 보았다. 교회의 전통에 대한 이레나우스의 호소는 정경(正經) 형성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 이레니우스는 4복음서를 의심 없이 수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4복음서가 이레니우스 시대에 교회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레나우스의 역사관을 언급해보면 이레나우스가 구속사관을 제시한 최초의 역사 신학자로 평가 받는 이유는 그가 창조와 구속을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이해함으로써 구속사(救贖史)라는 관점에서 구약과 신약을 통일시 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그의 통시적인 역사 이해는 창조주와 그리스도의 아버지는 하나이며 같은 하나님임을 확신하는데서 출발한다.

이레니우스는 수많은 저술을 기록한 것으로 보이지만 지금까지 보존되어 오는 것은 ‘소위 영지주의의 고발과 논박’과 ‘사도적 설교의 논증’이다. 전자는 영지주의자들에 대항하여 기술된 작품으로 ‘이단 논박’(Adversus haereses)으로 알려졌다. 다섯 권으로 되어있는 이단 논박은 주제에 따라 다름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권 영지주의의 해설, 2권 이성에 의거하여 논박함, 3-5권 선지서, 주의 말씀과 사도들에기초한 성경으로부터의 논박이다.

이 책에서 이레나우스는 영지주의의 대표적인 유형인 발렌티누스(Valentinus, AD100-160)의 제자인 플톨레매우스(ptolemaeus)의 제자들의 가르침을 집중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역사적 성육신에 기초한 이런 통시적인 구속사와 신구약의 연속성의 개념은 ‘에피데이키스’(Epideixis)라고 불리는 단편작품 ‘사도설교의 논증’에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 이레니우스는 창조에서 최후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구원의 역사를 제시했다.(*)

이레니우스는 170년경 고울 지방의 리용에 정착하면서 177년 그곳의 장로가 되었고, 당시 리용의 감독이었던 포티누스의 순교로 인해 리용교회의 감독으로 선출된다. 이레니우스가 활동했던 소아시아(팔레스틴, 안디옥)에서는 이그나티우스, 폴리캅, 파피아스, 데오빌로, 저스틴 등의 신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레니우스는 이들의 영향을 받았고, 이 일련의 학자들은 훗날 “안디옥 학파”로 불린다. 그중에서도 특히 서머나 지방의 감독 폴리캅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이레니우스의 기독론 해석에서 잘 나타나 있다.

이레니우스는 헬레니즘적인 학문과 철학적 통찰력과 실천의 지혜 및 중용의 요소가 조화된 훌륭한 목회자였고, 그의 저술 또한 목회적인 입장을 많이 반영한다.
이레니우스에 따르면 복음의 첫째 기초는 우주를 창조하신 한 분의 하나님이시며, 그분은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이시다. 이레니우스는 영지주의를 비판하면서 최고신과 창조신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하나님의 두 손'이라는 원리를 주장했다. 이는 '아들'과 '성령'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나님의 창조 역사에 성자와 성령이 함께 활동 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비유(알레고리)이다.

뿐만 아니라 이레니우스는 교부들 중 가장 많이 성경을 인용하여 이단들을 공박한다. 이레니우스에 있어서 성경은 그가 활동하면서 생각하고 판단하는 유일한 기준과 법칙이었다. 아울러 이레니우스는 성령의 영향으로 생산되는 것은 무오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성령으로 말미암아 주어진 성경은 성령의 영감으로 기록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그는 그의 저술에 신구약 성경 중에서 상당히 많은 구절을 인용하거나 언급하였다. 예컨대,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하, 시편, 잠언, 아가,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요나, 미가, 하박국, 스가랴, 말라기,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사도행전,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요한일서, 요한이서, 유다서, 요한계시록 등을 인용하였음을 그의 저서들 곳곳에 나타난다. 이레니우스는 “복음서는 그 수에 있어서 더하거나 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이유로 세상에는 동서남북이라는 네 개의 지역이 있고, 교회는 모든 세상에 흩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레니우스가 이렇게 말한 것은 4 복음서의 완벽성을 설명하기 위함인 것으로 보여진다.
4 복음서는 그 수에 있어서 더하거나 덜할 수 없을 정도로 완벽하고 틀림이 없고 오류가 없다는 그의 확신을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구약성경과 동일한 정경인 신약성경에 대하여 거의 명확하게 말한 첫 번째 사람이었다. 이레니우스는 “예수께서 가라사대 그러므로 천국의 제자 된 서기관마다 마치 새 것과 옛 것을 그 곳간에서 내어오는 집 주인과 같으니라”(마 13:52)는 예수님의 말씀을 해석하면서, 예수님은 옛 것과 새 것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그것들은 하나이며 동일한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해석은 구약과 신약의 저자는 동일하고 그 목적도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새 것과 옛 것은 두 언약인데, 옛 언약의 대표적인 것은 율법이고, 새 언약의 대표적인 것은 복음이라는 의미”이다. 아울러 이레니우스는 성령의 영향으로 생산되는 것은 무오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성령으로 말미암아 주어진 성경은 성령의 영감으로 기록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그를 최초의 조직신학자로 인정한다.

이레니우스 신학의 중심점은 기독론이다.
“그리스도는 창조와 구속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근거가 되신다.
그리스도는 새 아담으로서 창조의 계속이며 동시에 완성이다”.

이레니우스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새로운 인간상의 총화로서 표현한다.
이것을 가리켜서 “총괄갱신(recapitulate)”이라고 한다.
총괄갱신은 이레니우스 신학에서 가장 뛰어난 주제 중의 하나로서 그리스도의 탄생에서 부터 최후의 심판에 이르는 그리스도의 구속사역과 관련된 모든 것을 지칭하는 말이다.

즉 총괄갱신은 창조의 회복을 뜻한다.
첫 사람 아담이 상실한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회복이며, 완전 혹은 완성(perfection)을 의미하기도 한다.
예수는 새 아담이며 사탄에게 굴복하지 않은 새 인간의 시작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 그 자체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완성을 향한 새로운 역사에 동참하게 된다.
교회는 이러한 총괄갱신의 사역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고, 교회 안에서 그리스도는 세례와 성찬을 통해서 총괄갱신 사역을 진행 시키시고, 세례와 성찬은 인간을 그리스도 자신에게 연합시킨다.
즉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로서 그 머리 아래로 모인 인간의 공동체를 이룬다는 것이다.

성경에 대한 이레니우스의 접근은 터툴리안 및 오리겐과 전혀 다르다.
속사도 시대의 교부들은 성경을 비유적으로 해석하기를 아주 즐겼다.
누가복음에 나오는 '선한 사마리아의 비유'를 예로 들어보자.
선한 사마리아인을 예수로, 강도맞은 사람을 구원받은(을)자로, 강도는 사탄 내지 마귀로, 여관은 교회로, 나귀는 복음의 도구 등등. 하지만 이레니우스는 이러한 해석들을 단호히 배격한다.
그의 근본적인 관점은 역사를 통해 그의 백성을 인도하시는 하나님, 곧 목자이신 하나님의 관점에서 본다는 점이다.
즉 성경은 이스라엘이라는 특정한 백성의 역사 속에 펼쳐지는 하나님의 역사를 증거하기 때문에 그는 철저히 성서에 대한 비유적(알레고리적) 해석을 배척한다.

이레니우스가 말하는 역사는 하나님께서 인류와 관계를 맺으시는 역사를 가르쳐주는 것으로서 신적 경세(oikonomia 오이코노미아)라고 말한다.
이는 역사 내에 진보와 연속성, 구체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레네우스의 가장 큰 공헌은 교회 내부에서 일어나는 이단을 막기 위하여 싸웠다는 점이다.
그는 성경을 자유롭게 인용하면서도 신약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구약과 신약의 통일성을 보여 주었으며, 사복음과 거의 모든 서신을 말시온의 이단들을 정경(Canon)과 대조하여 논증하는데 승리했다.
그가 주로 논쟁한 주요 이단은 영지주의(Gnostcism 그노시스)였다.
이레니우스는 교회의 교리에 대한 해석자이며 또한 영지주의 이단에 대한 방어자 역할을 했다.

영지주의에 대한 이레네우스의 작품으로는 <이단 논박>(Adversus Haereses)이 가장 유명하다.
이 책은 다섯권으로 되어 있다.
제1권에서 여러 이단들을 해설하고,
제2권에서 이들에 대한 철학적 논리적 논박을 전개하고,
제3권에서 성경과 전통에 있어서의 기독교 교리의 기초를 제시하고, 또 그 본질적인 부분 즉 하나님의 통일성과 그리스도로 말미암는 구속을 해명한다.
제4권에서 두 언약(言約)의 통일성을 주장하고 마르키온을 논박한다.
제5권에서 구속론을 다시 취급하며 종말관과 내세의 소망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아쉽게도 헬라 원전은 소실되었으나 라틴어 번역이 온전이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