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가는 사람 뇌 관찰했더니… “주마등처럼 인생이 스쳐가더라”

죽어가는 사람 뇌 관찰했더니… “주마등처럼 인생이 스쳐가더라”


사람이 죽기 전 그동안 살아왔던 삶이 눈앞에 스쳐 지나가는 일이 사실일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루이빌대 연구진은 “사망한 87세 환자의 뇌 활동 기록을 통해 죽음 전후로 기억을 회상하는 뇌파 패턴이 확인됐다”라고 22일(현지 시각) 국제학술지 ‘노화신경과학 최신연구’에 밝혔다.

한 87세 남성이 낙상으로 뇌출혈이 발생해 병원 응급실에 입원했다.
연구진은 87세 환자의 간질 발작을 감지하고 치료를 위해 뇌파 검사를 진행했다.
그러던 중 환자가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우연히 죽어가는 사람의 뇌 활동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연구진은 사망 당시 측정한 뇌 활동 900초 가운데 심장박동이 멈춘 전후 30초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조사했다.
분석 결과 환자의 마지막 순간에 감마 뇌파를 비롯해 알파·베타·델타 등 다양한 유형의 뇌파가 변화했다.
여러 뇌파 간의 상호 작용이 뇌로 흐르는 혈액이 멈추고 나서도 계속됐다.

뇌파는 살아있는 인간에서 볼 수 있는 뇌의 활동 패턴이다.
감마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뇌파는 기억회상, 꿈, 명상, 정보처리 등 높은 인지 기능에 관여한다.

루이빌대 신경외과의사 아즈말 젬마 박사는 “죽음에 가까워졌을 때 중요한 삶의 마지막 기억을 회상하는 것일 수 있다”라고 추측했다. 앞서 인간이 아닌 동물 실험에서도 쥐가 죽기 전 뇌에서 감마 뇌파가 관찰된 바 있다.

이번 해외 연구에 대해 KIST 뇌과학연구소 조일주 박사는 “세포는 죽기 전 평소보다 더 활발한 신호를 보내는데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의 세포가 죽으면 기억회상, 시야를 담당하는 부분이라면 환한 빛을 보게 된다”라며 “임사(거의 죽음에 이르는 단계) 경험도 뇌가 극한에 갔을 때 발생한 뇌 신호를 통한 것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2-24-2022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이해는 그 표현에서 엿볼 수 있다.

돌아가셨습니다
떠났습니다

돌아가셨다는 표현은 어디인지는 모르지만 가야 할 곳으로 가셨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떠나셨다는 표현은 지금까지 머물던 곳을 떠났다는 의미라고 하겠다.

그런데 죽음이란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대부분의 지식은 몇 가지 경로로 얻을 수 있습니다.

첫째는 배움의 과정
둘째는 경험의 과정

배움의 과정을 학습이라고 합니다.
경험의 과정을 체험학습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죽음은 체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배우는 것도 온전한 배움이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던 사람이 내가 죽었을 때 그 현상을 설명해야 합니다.
죽었다가 살아났다는 경우 대부분 기절의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죽음을 이해하려면 특별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것은 "신앙"이라고 합니다.

셋째는 신앙
신앙의 과정을 성경에서는 죽음 후에는 심판이 있다고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독교인 죽이겠다” 6·25 공산당 학살 사실 확인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32879&code=11131100&sid1=soc

한국전쟁 당시 북한 공산당이 종교 탄압과 집단학살을 자행했다는 국가기관의 공식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50년 유엔군의 인천 상륙 당시 전세가 불리해진 북한이 각 지역에 “반동세력을 제거하고 퇴각할 것”을 명령했고, 이후 종교인을 다수 포함한 전국적인 학살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6·25전쟁 전후 기독교 탄압과 학살 연구’ 용역 보고서를 22일 발간했다.
보고서는 한국전쟁 기간 기독교인 1026명, 천주교인 119명이 북한에 의해 희생됐다고 집계했다.
연구를 맡은 서울신학대 박명수 교수팀은 문헌 자료 등을 토대로 교인들의 피해 정황을 찾아낸 뒤 해당 교회를 방문해 생존자들로부터 관련 증언을 확보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 논산의 병촌교회에서는 1950년 9월 27일과 28일 사이 신자 66명이 북한군에 의해 집단학살됐다.
사형 판결을 받고 극적으로 도망친 생존자는 당시 상황에 대해 “공산당원들이 ‘예수를 믿으면 다 죽이겠다’고 협박했다.
삽과 몽둥이, 죽창 등으로 구타하고 구덩이에 파묻었다.
젖먹이를 가슴에 안고 죽은 임산부도 있었다”고 진술했다.

좌우 갈등이 심했던 전북 군산 지역의 여러 교회에서도 피해가 컸다.
원당교회 신자 14명과 해성교회 신자 7명은 방공호에서 살해됐다.
당시 상황을 목격했던 피해자의 손자는 “‘지금이라도 예수를 모른다고 말하면 살려주겠다’고 협박받았다.
이를 거절한 교인 일부는 방공호에 매장됐다”고 진술했다.

이런 피해에도 불구하고 교인들은 가해자를 용서하고 복수하지 않는 기독교 정신을 보여줬다고 보고서는 기술했다.
66명이 희생된 병촌교회는 가해자들을 용서했고, 22명이 희생된 전북 정읍 두암교회는 가해자를 기독교 신자로 만들어 같이 신앙생활을 했다고 한다.

연구팀은 “한국전쟁 시기의 기독교인에 대한 숙청은 북한 당국의 공식적인 지시사항”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기독교인들은 각종 우익단체에서 활동했고, 공산주의자들은 기독교를 적대 세력으로 간주해 탄압했다”고 분석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