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목회


스마트 목회

http://christiantoday.us/27573

설교 내용이나 기타 콘텐츠의 변화보다는 전달하는 과정과 표현 방법 등에서 최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목회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달성하려는 목표는 ‘커뮤니케이션’이다.
교회에 와서만 들을 수 있는 내용, 체험, 정보를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만날 수 있고 누구와도 ‘소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팬데믹으로 인한 대면예배가 불편해지면서 ‘스마트 목회’는 더욱더 눈길을 끌었다. 

소위 스마트 목회용 장비로 알려진 제품들을 살펴보면, 값비싼 스마트 보드에서부터 고가의 라이브 방송 장비까지 어지간해서는 엄두를 내기 힘든 경우가 많다.

‘소통’에 중점을 둔 다섯 가지 스마트 목회법이 있다. 

첫째, 무료 이메일 마케팅을 활용하라


팬데믹 이후 소통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이 주목받고 있다.
그중에서 이메일 마케팅은 다시 한번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재택 근무자가 늘면서 이메일 마케팅은 소통을 위한 최고의 도구 중 하나다.
특히 이를 목회에 활용한다면 바쁜 현대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이메일 마케팅 서비스를 무료로 쓸 수 있는 것들도 많다.
무료 이메일 플랫폼은 여러 서비스가 있지만 그중에서 센딩 블루는 여러 장점을 갖추고 있다.
센딩 블루는 무료와 유료 두 가지 버전을 고를 수 있고, 무료 버전은 하루 최대 300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다.
또한 보낼 수 있는 구독자 수를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타 서비스 대비 장점으로 통한다. 

둘째, 컴퓨터 캠만 있다면 온라인 성경 공부 가능 


노트북을 사용한다면 컴퓨터에 내장된 캠이 있을 것이다.
이것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무료로 라이브 방송이 가능하다.
바로 온라인 회의 도구인 줌(ZOOM)을 활용하는 것이다.
줌은 무료 가입의 경우 최대 100명의 참가자를 받을 수 있다.
또한 40분 내 무제한 미팅이 가능하며, 개인 또는 그룹 모임도 할 수 있다.
여기에 줌 화이트보드라는 기능을 통해 최대 25mb 용량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하루 5분 내지, 10분 정도로 10명 내외 인원으로 구성된 성경 공부방 또는 훈련방 등을 줌을 통해 진행한다면 상당히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포토샵 할 줄 몰라도 OK. 캔바에서 무료로 편하게 


카카오톡 또는 페이스북에 올릴 말씀 배너나 온라인 전도지 등을 만들고 싶지만, 포토샵에 대한 지식과 디자인에 대한 감각도 없다면? 이런 경우 잘 만들어진 디자인 위에 글자만 바꿔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디자인 템플릿을 만나보자.

대표적으로 캔바(CANVA) 플랫폼은 다양한 플랫폼과 폰트, 사진, 동영상 지원 기능까지 갖춘 만능 디자인 서비스다. 마음에 드는 디자인을 골라 전하고 싶은 문구나 말씀을 담고 다운로드받으면, 여느 디자이너가 만든 품질 못지않은 포스터, 디자인 배너 등을 만날 수 있다. 특히 미국 거주인 경우, 선택한 디자인에 대한 인쇄 서비스까지 누릴 수 있어 도움이 크다. 

넷째, 종이 주보 대신 앱으로 대신해볼까?


목회하다 보면 적지 않게 나가는 비용이 많다.
그중에서 매주 종이 주보 인쇄도 만만치 않다.
이럴 때 종이 주보 대신 앱으로 예배 순서와 교회 소식을 전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교회 재정도 넉넉히 않은 터에 앱 개발은 엄두를 내기 힘들다.
미주 한인교회 중 이런 고민을 하고 있다면 미션21(MISSION21.COM)의 스마트굿뉴스 서비스를 만나보면 좋다.
스마트굿뉴스의 경우 주보 소식을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무료 푸시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이미지로 꾸밀 수 있어 도움이 크다. 

문의 : global.mission21.co


다섯째, 잘 쓰면 보배. 구글 무료 서비스


스마트 목회를 생각할 때 구글이 제공하는 다양한 무료 서비스를 빼놓을 수 없다.
잘 쓰면 보배 그 이상의 기능과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먼저 구글 캘린더, 구글 독스(DOCS)는 상당히 유용한 툴이다.
각종 교회 행사와 교인들의 생일, 그룹별 모임 내용을 구글 캘린더를 활용해 사용하면 스마트폰과 컴퓨터, 교회 홈페이지 등에 연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글 독스는 설문조사 기능뿐만 아니라 쉽고 빠르게 쓸 수 있는 문서 편집 기능 능도 누릴 수 있다.
또한 구글 드라이버 문서 내 자료 검색과 함께 오프라인에서도 일부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http://www.christiantoday.us/27550



"스마트기기" 목회에 이렇게 활용한다 - SLiNGstones (2014년 6월호)

이강세 목사 kangselee@gmail.com
Christ United Methodist Church, IL

https://www.resourceumc.org/ko/content/how-to-use-technology-in-ministry-slingstones-2014-6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진리를 전하는 목회자들에게 세상과의 소통은 늘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

오늘날 수많은 스마트기기가 개발이 되고 보급되는 과정에서 많은 목회자들이 스마트기기를 갖고 있지만 활용도가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목회는 잘 하고 계신데 스마트기기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목사님들이 있고, 스마트기기는 잘 사용하지만 목회의 본질적인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아직 경험과 성찰이 부족한 목사님들이 있을 수 있다. 그동안 컴퓨터나 스마트기기 등이 목회의 현장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왔는데, 모든 목회자들의 목회 현장에서의 소중한 경험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눠 지기를 바라면서 필자가 활용하고 있는 경험과 생각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1. 목적에 맞는 스마트기기를 사용한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수많은 기기들이 존재하는데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고민해 본적이 있을 것이다. 물론 그 답은 “목적에 맞는 스마트기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럼 각각의 기기들의 목적은 무엇이고, 나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이와 같은 기기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공부와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은 전화의 기능에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들이 더해진 것이다 태블릿과 노트북은 휴대성을 강조하며 진화해왔다. 그런데 적지 않은 교회지도자들이 태블릿과 노트북을 혼동한다. 그래서 태블릿을 두툼한 가죽케이스에 담아두거나 무선키보드를 장착해서 노트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될 경우 노트북이 갖고 있는 짧은 배터리 수명을 극복할 수는 있겠지만, 휴대가 용이한 태블릿의 활용도는 점점 낮아지게 될 것이다.

2. 구글을 목회에 활용한다.

전 세계가 싸이의 강남스타일로 연결되고 소통하는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는데 그 도구가 되는 것은 직접적으로 유튜브(YouTube)라고 할 수 있다. 유튜브뿐만 아니라 구글서치 엔진을 통해서 정보공유를 돕고 있는 구글회사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다양한 앱들은 오늘날 변화되어 가는 환경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목회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 Gmail: 이메일은 편리성 못지않게 스팸들을 양산해서 불편하기도 한데, 지메일은 스팸메일의 알고리즘을 분석해서 필터링해주고 있는데 100퍼센트는 불가능하지만 현존하는 각종 이메일 가운데 가장 훌륭한 필터링 시스템을 지니고 있다.
  • Google Calendar: 교회행사를 위한 계정과 유스그룹, 주일학교 그룹 계정 등 기관별로 칼렌더를 작성 운영하고, 웹사이트에 통합해서 보여준다.
  • Google Voice: 연합감리교회 목회자로서 임지에 따라 옮겨갈 때 휴대전화번호가 문제가 될 수 있는데, 구글보이스를 통해서 고유의 전화번호를 받아 사용한다. 회의중에 전화를 받을 수 없을 경우 상대방이 남겨놓은 메시지를(영어) 정해진 스마트폰으로 문자변환해서 보내주는 것도 아주 편리하다.
  • Google Docs: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피스나 한컴 오피스와 같은 정교한 문서 작성은 되지 않지만, 오히려 자주 사용하는 간편한 기능들이 일의 효용성을 높여준다. 구글문서, 스프레드쉬트, 프리젠테이션 등을 만들어서 그 링크를 예배 준비하는 팀들과 공유하며 함께 소통하며 만들어간다. 목회 마일리지 기록과 계산도 스프레드쉬트를 사용해서 만들고, 기도 요청을 받거나 특별한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의 목록을 작성해서 간단한 메모와 함께 기록해 두면 지속적인 돌봄에 도움이 된다.
  • Google Spreadsheet: 스프레드쉬트는 매주의 출석통계와 헌금통계 등을 손쉽게 기록해서 교회지도자들에게 현재 상황(Current Reality)을 보여주고, 원하는 미래(Desired Future)에 관한 그림을 함께 그리고 실행계획(Action Plan)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3.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극 활용한다.

사무실과 집, 그리고 이동 중에 사용하는 기기들이 각각 다를 때, 이전에는 휴대가 용이한 기기에 담아 가지고 다녔지만, 이제는 네트워크 서비스와 인터넷 속도의 발전으로 네트워크를 통해서 공유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DropBox, OneDrive, Google Drive등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드랍박스의 무료공간은 2기가이지만, 구글드라이브는 Gmail을 포함하여 15기가를 제공하고 있다. 복수의 구글 드라이브 계정을 오픈하고 그 파일을 폴더로 공유를 하면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4. 에버노트를 목회에 활용한다.

지난해 한국의 교회정보기술원의 조사에 따르면 80% 이상의 목회자들이 웹서핑보다 이메일 확인을 위해 컴퓨터를 사용했고, 그 다음으로 설교 작성을 위해서 사용했다고 한다. 그리고 스마트 기기로 웹서핑과 이메일 확인을 했다고 한다. 이렇게 사용한 자료들이 이메일 서버에 있지만 정작 그 자료를 필요한 때에 사용하지 못해 아쉬울 때가 많았다. 에버노트(Evernote)란 내가 읽고 경험한 모든 자료와 장면들을 노트(메모)의 형식으로 저장을 해 둘 수 있다. 이때 훗날 필요한 정보를 찾을 때 효과적인 출력을 위해 간단한 키워드로 태그를 달아둔다.

예를 들면, 목회자의 균형 있는 아이덴티티를 위해서 WORDS 에서 비롯된 Worship, Outreach, Relationship, Discipleship, Service를 태그로 사용하고, 다른 키워드와 함께 적어 두면 필요할 때 쉽게 출력해서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할 수 있는 일상의 기록들, 명함과 영수증, 심지어는 음식점 메뉴까지 사진으로 찍어 두어 저장을 할 수 있고, 이렇게 저장된 사진 파일이나 PDF문서 안의 단어를 찾아주기도 해서 매우 편리하다. 이전에 몇 가지 To Do List 앱을 사용해 보았지만 그다지 효율적이고 생산적이라고 느껴보지 못했는데, 에버노트로 매주마다 리스트를 만들어서 매일 전화와 심방의 기록 등 각종 작업의 기록을 남겨 두면, 사람과의 관계를 이어가는 목회자의 입장에서 매우 도움이 되고 있다. 오피스 문서나 구글 문서들이 작성되는 시점에는 가장 효율적이지만, 시간이 흐르면 다시 찾게 되는 일이 드물어 지지만, 에버노트의 경험되어진 메모들은 시간이 흘러서도 그 가치를 더해 줄 수 있어서 이메일 보다 더 많이 사용을 하게 된다. 이메일로 받게 되는 회의록이나 기도요청, 주일 예배의 방문자에 대한 기록들도 에버노트로 포워딩할 수 있게 이메일에 필터링을 해두면 에버노트로 열어보고 태그작업을 해서 저장해 둔다.

5.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감각 기능을 활용한다.

거의 모든 스마트기기에 있는 카메라와 오디오 기능을 적극 활용한다. 때로는 칼라 사진보다도 한 장의 흑백 사진이 더 분명한 메시지를 전해주는 것처럼, 비디오 카메라와 앱이 익숙지 않은 분은 오디오 녹음 기능을 활용해서 시설에 계신 분들이나 먼 거리에 계신 분의 음성을 녹음해서 들려주는 것도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데 유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캐너가 없다면 사진기를 활용해서 각종 문서나 자료, 영수증 들을 사진으로 찍어서 에버노트에 바로 저장해 두면 필요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필자의 경험들이 모쪼록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여러 목회자들의 소중한 목회현장에서의 경험과 성찰들이 나누어져서 동역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를 꿈꿔본다.

ⓒ Copyright 2014 General Board of Discipleship
http://www.gbod.org
 
슬링스톤즈는 목회 및 사역이야기 속에 담긴 지혜와 통찰력을 나누면서 목회사역에 필요한 전략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총회제자훈련부에서 매달 발행하는 온라인 뉴스레터이다.
편집인 김광기 목사 dkim@gbod.org

올린날: 2014년 6월 1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돈 안드는 구글 스마트목회
[편집장의 친구들] 구글 이노베이터 김정준 목사가 알려주는 작은교회를 위한 구글사용법!!

https://www.youtube.com/watch?v=qdVosBFJ8pc









내 복음(로마서 2:16, 빌레몬서 1:13)



내 복음(로마서 2:16, 빌레몬서 1:13)

로마서 2:16
곧 내 복음에 이른 바와 같이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사람들의 은밀한 것을 심판하시는 그날이라.
This will take place on the day when God will judge men's secrets through Jesus Christ, as my gospel declares.


빌레몬서 1:13
저를 내게 머물러 두어 내 복음을 위하여 갇힌 중에서 네 대신 나를 섬기게 하고자 하나.
I would have liked to keep him with me so that he could take your place in helping me while I am in chains for the gospel.


내 복음이란?
내가 믿는 것으로 내가 있어야 할 자리에 내가 머무는 것이다.
만일 내가 머물러야 할 자리에 내가 없다는 것은 곧 복음에서 떠난 것이다.
복음에서 떠난 것이 곧 죄의 자리가 된다.

유대인은 하나님으로부터 율법을 받은 백성이다.
이방인은 율법이 없는 백성이다.
참 유대인(이면적 유대인)은 하나님이 인정하는 백성으로 이방인 중에서 또한 유대인 중에서 부름을 받은 백성을 말한다.




교회론(Ecclesiology)



교회론(敎會論)

교회론(Ecclesiology)은 기독교 신학의 조직신학 분야의 연구 분야
1.  기독교의 기원
2.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
3. 구원의 역할
4. 교회의 정책, 치리
5. 리더십과 관련된 기독교 교회를 연구하는 것이다.

교회의 명칭

1.  카할 : "불러 모으다", "소집하다"

집회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회중(출애굽기 16:3,레위기 17:17,민수기 14:5,역대상 29:1), 집회(창세기 49:6, 시 26:5), 이스라엘의 총회(신명기 31:30), 여호와의 총회(민수기 16:3,20:4), 하나님의 회(느헤미야 13:1)

2. 에다 : 집회의 대상을 중심으로 회중(출애굽기 12:3, 레위기 8:3, 민수기 3:7, 여호수아 9:19, 사사기 21:13), 집회(시 7:7)

3. 수나고게 : 유대인들의 종교적 모임과 모임이 이루어진 건물로서 회당(마태복음6:2,10:17,마가복음1:21,누가복음7:4)

4. 에클레시아 : "부름을 받아 나온 사람들의 모임"이란 뜻으로 일정한 지역내에 있는 지교회(사도행전5:10~11,11:25~26,고린도전서11;18,갈라디아서1:2~3), 가정교회(로마서16:5,고린도전서16:19,골로새서4:15,빌레몬서1:2), 지교회의 총칭(사도행전9:31), 유형교회(고린도전서10:32,11:22,12:28), 무형교회(에베소서1:22~23,3:10)

5. 그리스도의 몸 : 교회의 유기적 단일성을 강조하는 교회(고린도전서12:27,에베소서1:22~23,골로새서1:18)

6. 하나님의 성전 : 교회의 거룩성을 강조하는 교회(고린도전서3:16), = "하나님의 처소"(에베소서2:21~22), "신령한 집"(베드로전서2:5), "예루살렘"(갈라디아서4:26,히브리서12:22,요한계시록21:2)

7. 진리의 기둥과 터 : 진리의 수호자임을 강조하는 교회(디모데전서3:15)

 

교회의 기원과 본질

 

구원을 위하여 선택받은 자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유기적 단일체인 "무형교회"와 구원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상에 존재하는 유형적 단일체인 "유형교회"의 기원은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안에 이미 창세전 부터 하나님 자신의 은혜를 나타내기 위하여 교회조직이 이루어졌다고 보는 "근원적 기원"(에베소서1:3~6)과 그리스도의 예언(마태복음16:18)대로 오순절 기원 성령강림사건으로 신약교회가 성립되었다고 보는 "역사적 기원"이 있습니다(사도행전2:2~4,47,4:32)  로마카톨릭은 외부적이고 유형적인 조직체에서 교회의 본질을 찾지만 기독교는 성도의 무형적, 영적 교류를 교회의 본질로 보고 있습니다

 

(3) 교회의 구별

 

로마카톨릭은 성직자로 구성된 "가르치는 교회", 성도로 이루어진 "듣는 교회", 영세받고 중생하여 하나님의 자녀된 자로 이루어진 "혼으로서의 교회", 외형적인 교인으로서 구성된 "몸으로의 교회"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기독교에서는 세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① 전투적 교회와 승리적 교회 : 흑암의 세력과 영적투쟁을 하는 전투적 교회(에베소서6:12)

② 유형교회와 무형교회 : 신앙고백, 조직, 행정, 복음사역 등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교회요소를 갖춘 "가시적 교회"와 진정한 의미에서 구원에 동참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자들로 구성된 "불가시적 교회"로 구분

③ 유기적 교회와 조직적 교회 : '유기적 교회"는 성령의 유대로 인하여 하나의 살아있는 생명체로서 연합된 성도들의 집단,  "조직적 교회"는 교회의 직분, 성례, 말씀선포, 정치 등 교회행정 조직과 관련된 조직체로서 모두 가시적교회의 구분에 속합니다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

 

성경에서 하나님의 나라는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함께 지상에 실체적으로 임재한 것, 성도의 심령(누가복음17:20~21)과 성도들의 모임인 교회(마태복음13:31,33,44.47), 그리스도께서 왕노릇하시는 천년왕국(사무엘하7:10~16,시89:3~4,20~37), 신천 신지(요한계시록21:1~4)를 말합니다  이와같이 그리스도의 영적왕권이 미치는 영역을 하나님 나라로 볼때 지상의 교회와는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하늘에 있는 승리적 교회와는 완전히 일치합니다

 

여러 시대의 교회형태

1. 가정교회 : 아담이후 모세전까지 족장시대 교회는 경건한 가정과 제사장적 가장에 의해 보존

2. 국가교회 : 출애굽 이후 이스라엘 백성은 국가를 형성했고 국가단위로 종교생활을 했습니다  상세한 의식절차에 따라 정해진 장소에서 제사장의 집전으로 수행된 이스라엘 종교는 국가로 부터 독립성을 획득하지 못했습니다

3. 신약교회 : 오순절 이후 교회는 국가와는 독립적인 조직을 가졌습니다  이때부터 교회는 범세계적으로 선교하였으며 의식적 예배에서 신령한 영적 예배를 드리는 교회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교회의 속성

1. 통일성 : 로마카톨릭은  전세계에 퍼져있는 조직체로서 교회의 통일성을 주장하지만, 기독교는 교회가 영적으로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여 성도는 각기 지체가 되어 궁극적으로 한 몸을 이룹니다

2. 거룩성 : 로마카톨릭은 교리, 교훈, 예배, 권징 등과 같은 교회외적 형식에서 거룩성을 찾으나, 기독교는 성도들이 그리스도안에서 새생명을 얻고 의롭다함을 받았으므로 원리면에서 거룩성을 교회의 성도들에게 두고 있습니다

3. 보편성 : 로마카톨릭은 유형교회의 보편성을 주장하지만, 기독교는 모든 시대 모든 성도들을 포함하는 무형교회를 보편교회로 지칭합니다

4. 사도성 : 로마카톨릭은 교황권이 베드로 사도로 부터 기원하였으며 베드로만이 천국의 열쇠를 소유한 것으로 주장하지만(마태복음16:18~19), 기독교는 교회 설립이 복음에 대한 사도들의 공헌으로 하여 교회가 사도들의 가르침에 성실함으로서 사도권을 지닌 것으로 봅니다

5. 생명성 : 교회는 생명이신(요한복음 5:26,11:25, 14:6) 그리스도의 몸이며(에베소서 1:23), 하나님께서 성도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시려는 목적(요한복음 10:10)으로 그리스도를 보내셨으며(요한복음3:16,6:39~40), 성도들은 그리스도의 영원한 참 생명을 소유하고 있으므로(요한복음 5:24,에베소서 2:1,요한일서 5:12) 교회는 생명성을 지닌 것입니다

6. 무오성 : 로마카톨릭은 교황무오설을 주장하고 교회의 무오성을 공유하지만, 기독교는 근본적으로 오류가 없는 성경에 기초함으로서 무오한 일면을 갖는 것입니다




창조(創造)


워치만 니의 바라와 아사와 야차르에 대한 해석
- 지방교회의 해석 

창세기의 첫 두장에서 창조행위를 가리키는 말로 세개의 다른 말이 사용되어 있다.

1. 바라 : 미리 존재하는 재료의 도움 없이 존재케하는 것

2. 아사 : 이것은 바라와는 매우 다르다.

바라가 아무런 재료도 없이 창조한다는 뜻을 지칭하는데 반해 "아사"는 이미 존재하는 재료로 부터 만들거나 형성하거나 작성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목수는 의자를 만들 수는 있으나 창조할 수는 없다.

창조기사의 6일 동안의 일들은 주로 아사의 차원에 속한다.

3. 야차르 : 이것은 도공이 진흙으로 하듯이 모양이나 형을 짓는 것을 의미한다.

이 낱말은 창 2:7에 사용되어 있다.

창조한은 무에서 부터 성립시킨 것을 의미하고
지었고는 일정한 형태로 이루었음을 지칭하며
만들었느니라는 앞서 존재한 재료로부터 제작했음을 나타낸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재창조설을로 맞추기위에 워치만 니는
바라는 create로
아사를 make로,
야차르를 form이 라고 제한 해서만 사용하는데
이 해석이 창세기 안에서만 봐도 충돌 됩니다.

기본형을 적습니다.

(창 1: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 바라
(창 2:4) (창 2:4) 이것이 천지가 창조될 때에 -- 바라
하늘과 땅의 내력이니 여호와 하나님이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날에 -- 아사

(창 1:21하) 날개 있는 모든 새를 그 종류대로 창조하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 새: 바라

(창 1:25) 하나님이 땅의 짐승을 그 종류대로, 가축을 그 종류대로, 땅에 기는 모든 것을 그 종류대로 만드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 짐승, 가축, 땅에 기는 것 -- 아사
(창 2:19)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지으시고 ---> 짐승.새 -- 야차르
(창 1:26)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사람 -- 아사
(창 1:27)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 사람 --- 바라
(창 2:8) 여호와 하나님이 동방의 에덴에 동산을 창설하시고 그 지으신 사람을 거기 두시니라 --> 사람 --- 야차르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가 히브리어를 모른 다는 것 이 창세기만 봐도 명백히 드러납니다.

구약성경 다른 부분도 바라와 아사와 야차르는 혼용하여 사용되는 것을 여러구절에서 보여줍니다.

그리고 이 단어는 창조뿐만 아니라 섭리에 해당하는 분에도 사용됩니다.  --> 안찾겠습니다.

벌콥 신론에 창조개요라는 부분에서 이를 설명하니 보려면 그 부분을 찾아보세요.

재창조설로 신학을 전개하니 그 구조의 틀이 무너지면 워치만 니 신학 전반이 무너지는 겁니다. 

어디 워치만 니와 위트니스 리가 정말 원문을 알았을까요?

창세기 1장과 2장부분만이라도  원어로 제대로 살폈어도 그런 전개 안했을 텐데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창세기에 나타난 다섯 가지 하나님의 사랑

첫째,  하나님의 이름(여호와)을 알려주신 사랑(창세기 2:4)

창조시 하나님은 엘로힘 하나님이었다.
엘로힘은 누구나 부를 수 있는 신의 이름이다(=신의 이름 엘).
이스라'엘', 벧'엘', 임마누'엘'의 '엘'이 바로 '신'이다. 바'알', '알'라와 같은 이방신도 '알'('엘')이다.

그런데 하나님이 자신을 자기 백성에게 알릴 때에는 여호와라고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성경에 여호와는 모두 6,823번 나타난다.
이때 여호와라는 이름은 모두 정확하게 자기 백성에게 자신을 계시할 때 쓰였다.
'엘'은 평범한 이름이다.
세상에 아버지는 많으나 아무나 나의 아버지라고 부를 수 없다.
마찬가지로 아무나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라고 부를 수 없다.
하나님은 먼저 우리를 찾아오시고 자신의 이름을 알려주셨다.
우리와 친히 관계를 맺으시는 여호와로 나타나신다.
여호와 하나님이라는 말로 처음 나타나셨다.
여호와는 거룩한 이름이다.
그래서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 이름(발음)을 제대로 부르지 못하였다.
여호와라는 명칭을 제대로 부르지도 못하였다.
괜히 송구스러워 이스라엘 사람들은 하나님을 '여호와'라고 쓰고도 제대로 부르지 못하고 하나님을 '아도나이'라고 불렀다.
우리 성경에 '주님'으로 번역된 그 말이다.
하나님은 이렇게 자신을 먼저 들어내신 분이다. 부모도 아기에게 맨 먼저 아빠, 엄마부터 말을 가르친다.

사람들은 자신과 수준이 안 맞으면 속으로 '넌 알 필요도 없어'하며 무시한다.
그런데 하나님은 자신을 먼저 오픈하셨다.
자신을 드러내셨다.
'하나님의 먼저 사랑'이 사람이 범죄 한 이후에도 하나님이 우리를 찾아오신 이유가 되었다.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셨다.

바울은 로마서 10장 9절에서 네가 네 입으로 예수를 주라 시인하라 했다.
즉 창세기 2장 4절의 '여호와 하나님'(=아도나이 하나님) 즉 '주님이 바로 예수님'이라고 말한다.
바울은 여호와 하나님과 예수님은 하나라고 분명히 못 박고 있다. '나의 주님이 바로 나의 여호와 하나님'이다!

둘째, 사람을 위해 동산을 배려하신 사랑(창세기 2:5-6)

하나님은 낙원을 주시는데 그것은 사람을 위한 준비였다.
사람이 없을 때에 동산은 아직 초목과 채소가 없었다.
사람이 있을 때에 이런 것들은 의미가 있다.
주인공이 있어야 케익이나 꽃이 의미가 있다.
주인공 없이 꽃다발을 들고 다니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하나님은 먼저 사람을 만드시고 자신이 만드신 동산으로 사람을 데려가셨다.
들의 초목이나 밭의 채소는 1장에기록된 풀과 씨 맺는 채소나 열매 맺는 과목과는 다르다.
2장의 이 말은 땅을 일구고 수고해야 먹을 수 있는 곡물이나 떨기나무, 관목을 의미한다.
즉 하나님은 에덴동산에 이런 것들을 두지 않았다.

이 말씀은 에덴동산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인간 타락 이전의 모습을 상상해보라.
일하지 않고도 얻을 수 있는 열매들은 무엇을 말하는가?
천국의 모습은 지금과 다를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천국은 상상할 수 없는 곳이다.
그저 다르다는 것만은 확인할 수 있다.
타락하여 무너진 세상에 살면서 천국을 가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저 상상으로 바라볼 뿐이다.
천국 간증은 상상이다. 즉 거짓이다. 상상은 자신 만이 간직해야 된다.
남에게 퍼뜨릴 때 문제가 발생한다.
천국을 조금이라도 상상해보고 싶다면 말씀 안에서 타락 이전의 이 에덴동산을 보고 상상해보라.
성경은 타락된 지금 세상과 조금 다른 에덴동산을 살짝 알려준다.

셋째, 창조주 하나님은 사람을 다른 피조물과 다르게 지으셨음을 알려주신 사랑(창세기 2:7)

사람은 본래 흙이었다.
흙이 가진 17가진 주요 성분이 사람 몸에도 그대로 있다.
사람도 다른 생명처럼 육체이다.
육체로는 다른 생물과 별 다를 것이 없다.
생령이 아닌 죽은 육체는 그래서 구루터기나 다름없다.
그저 썪어서 흙으로 되돌아간다. 하지만 다르다.
사람은 하나님이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셔서 생령이 되었다.

하나님은 우리 인간을 빚어 지으셨다(히브리어 '야차르').
'야차르'는 토기장이가 흙으로 무엇을 만들 때 쓰는 단어이다.
토기장이는 의미 없이 아무렇게나 질그릇이나 토기를 만들지 않는다.
분명한 목적이 있다.
특별한 목적 즉 예술가가 아무렇게나 작품을 만들지 않는다.

그 목적이란 성경에 보면 첫째 인간의 찬양을 받기 위함이요(사 43:21)
둘째 하나님은 야곱을 '야차르'하였기에 잊지 않겠다(사 44:21)
심지어 복 중에 '야차르'하기 전에 예레미야를 알았다(사랑했다) 했다.
하나님이 알면 하나님이 사랑한 것이다(렘 1:5).
하나님은 '나는 아이라 말할 줄 모른다'고 변명하는 예레미야를 안다(사랑한다)고 하였다.
하나님은 우리의 수명도 '야차르' 하였고(시 139:16), 악인도 '야차르' 하였다(왕하 19:25).
하나님이 성도를 '야차르'하였다.
가정을 '야차르'하였고, 교회를 '야차르'하였다.
선한 목적의 '야차르'였다.
하나님은 선한 것은 선한 뜻에 맞게, 악한 것은 악한 것에 맞게 '야차르' 한다.

우리를 구원하시는 데는 하나님의 특별한 선한 목적이 있다.
여러분을 구원하시고 여러분 가정 교회를 주신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것이 얼마나 큰 축복인가.
선한 '야차르'를 믿는 다면 두려움이 없어진다.

넷째, 사람의 주거지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창세기 2:8-14)

에덴동산은 '기쁨의 장소'라는 뜻이다.
즉 참기쁜 곳이라는 뜻이다.
그 위치는 정확하지 않다.
위치가 중요하지 않다.
인류가 죄 지은 이후로 에덴은 사라졌다.
이제 에덴은 지역이 아니라 예수 안에서만 회복된다.
참기쁨은 예수 안에 있다.

15 가지 지리적인 언급 가운데 14 가지가 현재시제이다(지금 거기 있다는 뜻).
과거에 있었다고 말하지 않았다. 지금거기 있는 것이다. 두 강은 지금도 있다. 따라서 에덴의 과거 위치를 일부 짐작하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무너진 실락원을 지금 굳이 찾아본 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다섯째, 하나님의 사랑은 언약 사랑임을 알리심(창세기 2:15-17)

하나님 사랑은 무절제한 사랑이 아니다. 관계된 사랑이다. 아무런 언약이 없는 하룻밤 사랑이 아니라 질서가 있는 사랑이다. 하나님은 그것을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로 표현하고 있다. 15절서 8절을 반복하신 이유는 중요하다는 의미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선악의 구별을 아는 유일한 생명체다. 그래서 인간에게만 죄라는 개념이 있다. 에덴동산에 언약의 징표를 두신 이유는 하나님과의 사랑은 무분별한 사랑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관계가 깨져버리면 생명도 깨진다. 단순 연애와 부부의 차이(무분별과 언약의 차이)를 구별하라. 쥐새끼가 고구마 훔쳐 먹고 죄책감을 가지는가? 강아지가 사람 물고 죄책감을 가지는가? 강아지는 또 문다.

행복은 믿음과 순종에서 온다!

우리를 빚으신('야차르'하신) 그분께 순종하는 것이 기쁨이요 복이요 완전한 행복, 완전한 평화, 완전한 사랑을 체험하는 길이다. 일방적 사랑이 열매를 맺으려면 그 사랑을 상대방이 받아들여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를 짝사랑하신다!

그 사랑이 맺어지려면 간단하다. 그분의 사랑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 간단한 것을 못해 방황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사랑을 만드신 하나님의 사랑보다 더 귀하고 값지고 짜릿한 사랑이 어디 있겠는가. 세상의 짜릿한 사랑은 즐기면서 하나님과별거하려는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가. 누구 때문인가? 아담과 하와를 유혹한 바로 그 존재, 사단이다! 하지만 누가 그 사랑을 끊으리요. 하나님 본체가 사랑이다. 하나님은 호세아 선지자를 통해(호 1장 23-2장 1절/14장 4절) 내가 저희의 패역을 고치고 즐거이 사랑하겠다고 했다. 그런데도 이 사랑을 외면하는 그들은 누구인가. 그렇게 세상의 쾌락이 달콤한가! 사람이 하나님을 떠나면 동물만도 못하다. 아니 못한게 아니라 추악하고 패역하다. 고릴라는 하나님을 대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마귀의 유혹으로 타락한 사람은 마귀처럼 하나님을 배반할 수 있다. 고릴라보다 더 못한 일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부모 빰을 치거나 방망이로 부모를 구타하는 자식은 극형에 처한다. 패역한 자식이기 때문이다!

원숭이보다도 고릴라보다도 못나게 살아갈 것인가?
값진 사랑을 하며 살아갈 것인가!
하나님은 창세전에 우리를 부르셨다.


에베소서 1:4
곧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로 사랑안에서 그 앞에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시려고 그 기쁘신 뜻대로 우리를 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들이 되게 하셨으니 사랑하시는 예수 안에서 거져 주셨다.

이 비밀한 사랑을 알아야 사랑은 완성 되는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성경이 말한 천지 창조와 빛과 어둠은 어떤 것인가?

빛은 하나님의 생명의 말씀이 있는 자이며 어둠은 하나님의 말씀이 없는 자를 말하고 있습니다. 빛을 내는 해달별을 창세기 37장에서는 하나님의 가족인 이스라엘을 말하였고 하늘에 있기 때문에 하나님의 소속도 되는것입니다. 그럼 데살로니가전서5장의 말씀처럼 빛의 사람이 있다면 밤(어둠)의 사람도 있게 되는것이고 초림때에는 빛이신 예수님과 그 말씀에 깨닫지 못하는 사람들을 어둠이라고 하셨습니다.


출처: https://loveismeet.tistory.com/354 [신천지 맛디아지파 공식블로그]


본문 : 창 1:1-19 (살전 5:1-8, 렘 4:23-28, 요 1:1-5, 계 21장)

● 성경이 말한 천지 창조(창1장)

하나님께서 창세기 1:1에 천지를 창조하실 것을 말씀하셨고, 이 때로부터 6천 년이 지난 계시록 성취 때(계21장)에는 "새 하늘과 새 땅을 보니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이 없어졌다."고 하셨다. 이로 보건대, 창세기 1장의 말씀은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이 부패하고 낡아서 없어져 갈 때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실 것을 말씀하신 것으로 볼 수 있다.

처음 하늘과 새 하늘, 그리고 처음 땅과 새 땅은 영적인 것인가, 육적인 것인가? 이는 육적 세계의 명칭을 빙자한 영적 세계의 멸망과 재창조를 말한 것이다.

 

하나님께서 둘째 날과 셋째 날에 하늘과 땅을 창조하기 전, 첫째 날의 2절(창1:2)에 혼돈하고 공허한 땅이 있었고 흑암한 하늘이 있었다. 그리고 수면(水面)이 있었다. 창세기 1:1의 창조 전에 있었던 이것들은 무엇인가? 첫째 날에 빛을 찾은(창1:3) 후 있게 된, 둘째 날의 하늘과 셋째 날의 땅은(창1:7-10) 재창조가 아닌가?

 

하나님이 왜 빛을 수면에서 찾으셨는가? 왜 하늘(궁창)을 물 가운데 만드셨는가? 왜 땅이 물속에서 나왔는가? 첫째 날의 땅과 셋째 날의 땅은 어떻게 다른가? 첫째 날의 땅도 물(수면)도 흑암한 하늘도 새로운 창조가 아닌, 본래부터 있었던 것이 아닌가?

넷째 날에는 물 가운데 있는 궁창에 해, 달, 별을 만들어 주야(晝夜)를 주관하게 하셨다(창1:14-18). 첫째 날의 빛과 넷째 날의 빛은 어떻게 다른가? 첫째 날의 빛이 자연계의 해이고, 이 빛(햇빛)으로 셋째 날의 초목과 채소가(창1:11-12) 났다면, 넷째 날에 창조된 해, 달, 별은 무엇이며, 하늘에 해가 두 개란 말인가? 그리고 어째서 하늘이 물속에 있는가?(창1:6) 또 넷째 날에 만든 것이 자연계의 해, 달, 별이라면, 해가 있기 전(前)인 셋째 날에 나무와 채소가 있을 수 있는가?

 

창세기 1장이 자연계 창조라면 이치에 맞지 않는다. 이 어찌 진리라 할 수 있겠는가? 이는 다른 뜻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이는 자연계를 빙자한 영적세계의 재창조를 말한 것이며, 이룰 예언이다.

 

● 성경이 말한 빛과 어둠 (살전5장)

'빛'은 하나님의 생명의 말씀이 있는 자이며, '어둠'은 하나님의 말씀이 없는 자이다(살전5:1-8). 그 이유는 말씀을 빛 또는 생명이라 하셨기(요1:1-4) 때문이다.

 

창세기 37:9-11에 이스라엘 가족을 해와 달과 별이라 하였으니, 해, 달, 별은 하나님의 가족(선민)이다. 해, 달, 별이 있는 곳이 하늘이니, 하나님의 가족이 있는 교회(장막)가 하늘이다. 이 하늘과 해, 달, 별은 창세기 1장 8절의 하늘(궁창)과 14-18절의 해, 달, 별과 다름이 없다. 그리고 하나님의 가족이 있는 교회가 하늘이니, 하나님의 가족이 없는 교회는 땅이다.

예레미야 4:23-25에서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새가 다 날아간 것은 하나님의 장막(교회)과 선민이 부패로 인하여 멸망받은 것을 알린 말씀이었다. 이는 창세기 첫째 날과 같다.(창1:2)

데살로니가전서 5장의 말씀에 낮(빛)과 밤(어둠)의 사람이 있고, 요한복음 1장에도 빛과 어둠의 사람이 있으며, 예수님은 빛으로 이 땅에 오셨다(요12:46). 그런데 빛이 어두움에 비취되 어두움이 깨닫지 못하더라고 하였다(요1:5, 9-11). 어두움의 세상에 빛이 비취었다는 것은, 무지하고 부패한 어두움(밤)의 시대가 가고 새 시대가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로 보건대 한 시대가 부패함으로 새로운 시대가 창조되는 것이었다.

 

6천 년이 지난 오늘날, 계시록에서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이 없어지고 새 하늘 새 땅이 창조된 것은(계21:1) 창세기(1장)의 예언이 성취된 것이다. 부패한 시대는 창세기 1장과 같이 빛이신 하나님이 떠난 세상이요. 이는 밤이며, 없어지는 것이고, 하나님이 함께하는 세상은 빛이요 낮이며, 새로 창조되는 것이다. 또한 생명이신 하나님이 함께하는 곳은 생명이다. 오늘날 계시록에서 증명한, 없어지는 시대는 밤과 어둠이요(살전5장), 다시 창조되는 열두 지파는 낮과 빛이며, 하나님의 세계 가족들이다. 이를 믿지 않는 자는, 요한복음 1장의 말씀같이 빛이 어둠에 비취었으나 어둠이 되어 깨닫지 못한 자들이다.

 

빛은 무지하고 부패한 밤에게 같은 빛이 되게 하고자 빛을 전하고 있다. 빛은 생명이니, 빛이 없으면 만물은 살지 못한다. 하늘의 빛과 비와 공기같이 우리는 만물에게 생명을 전하고 있다. 이 생명을 받아서 살기를 기도한다.



출처: https://heavenstroy.tistory.com/60 [Sky Story]



하나님의 형상(창세기 1:26-28) 7월 3일 주일 설교 원고 및 참고 자료


하나님의 형상(창세기 1:26-28)

26.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로 바다의 고기와 공중육축과 온 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27. 하나님이 자기 형상하나님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28.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에 충만하라, 을 정복하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Then God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in our likeness, and let them rule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the birds of the air, over the livestock, over all the earth, and over all the creatures that move along the ground."
So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him;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God blessed them and said to them, "Be fruitful and increase in number; fill the earth and subdue it. Rule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the birds of the air and over every living creature that moves on the ground."

하나님의 형상(히브리어 : צֶלֶם אֱלֹהִים, 라틴어 : Imago Dei, 하나님의 모습)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모양)으로 창조되었다고 보는 유대교, 기독교 전통적인 신학적 개념이자 교리이다.

우리의 형상,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26절에 "우리" 라는 복수 인칭 대명사가 3회 반복되어 사용되었습니다.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하나님은 단수 명사인데 우리라는 복수 명사로 표현한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첫째는 히브리 문학의 특수한 표현

예를 들면 한국에서도 "우리 마누라" 라고 말합니다.
만일 이런 표현을 수백년 후에 사람들이 문자로 읽는다면 이 시대에는 남자의 수가 매우 적어서 여자 한 사람이 여러 남자와 결혼하였구나 하고 이해할 것입니다.
우리 마누라라고 말하는 것은 한국인들의 "나의 마누라"에 대한 특별한 표현이라고 하겠습니다.

이와 같은 비슷한 표현으로 "우리 집" "우리 아들" "우리 교회" "우리 학교" 등은 복수 명사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렇지만 "우리 마누라"라는 표현은 당시 문화와 풍속을 알지 못하면 문제가 있는 줄 알 것입니다.

둘째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표현

하나님은 한 분이시지만 그 위가 성부와 성자와 성령 셋으로 구분합니다.
도저히 인간의 이성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가 어려운 용어라고 하겠습니다.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님 그리고 성령님은 삼위로 존재하면서 동시에 온전한 하나가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라는 용어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의미한다고 설명합니다.

하나님이 자기 형상하나님형상대로

 하나님의 형상(צֶלֶם אֱלֹהִים,  Imago Dei)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모양)으로 창조되었다고 보는 유대교, 기독교의 전통적인 신학적 개념이자 교리이다.

6754. 형상(形象) - 체렘(צֶלֶם)

1. 그림자,  2. 형상
발음 / 체렘(tselem)
어원 / ‘그늘지다’는 의미의 사용하지 않는 어원에서 유래
관련 성경 / 형상(창 1:26, 삼상 6:5, 시 73:20), 석상(민 33:52), 우상(왕하 11:18, 겔 7:20, 암 5:26), 그림자(시 39:6)
구약 성경 / 17회 사용


1823. 모양(模樣) - 데무트(דְּמוּת)

1. 유사,  2. 유형,  3. 형상
발음 / 데무트(demûwth)
어원 / 1819에서 유래
관련 성경 / 모양(창 1:26, 겔 1:10, 13), 형상(창 5:1, 대하 4:3, 겔 10:22), 구조(왕하 16:10), 같음(시 58:4,사 40:18, 단 10:16)
구약 성경 / 25회 사용

1819. 닮다 - 다마(דָּמָה)

1. 닮다,  2. 시편 102:7,  3. 에스겔 31:8
발음 / 다마(dâmâh)
관련 성경 / 비(比)하다(겔 31:2, 아 1:9), 생각하다(민 33:56, 시 48:9, 50:21), 모해(謀害)하다(삼하 21:5), 비교하다(사 40:25, 46:5, 애2:13), 비유를 베풀다(호 12:10), 생각하다(에 4:13)
구약 성경 / 30회 사용

각종 동물과 사람을 만들 때 사용된 재료는 "흙"입니다.
동물과 사람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피조물"이지만 동물과 사람이 다른 이유는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따라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사람에게는 그 코에 생기를 불어넣었습니다.

다시 한 번 더 강조합니다.
사람과 동물이 다른 이유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첫째는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으로 만들어진 피조물
둘째는 사람의 코에 생기를 불어넣으신 피조물

초대교회 교부들은 형상과 모양을 별개의 단어로 설명하였다.
형상이란 구체적인 닮음으로 신체와 관련 된 것
모양이란 추상적인 유사성으로 영적이고 도덕적인 본성으로 보았다.
그러나 하나님은 영이시므로 물질적인 요소가 없으시다.
따라서 형상을 신체와 관련된 것으로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성경의 용법에 따라 형상과 모양은 상호 융통성 있게 사용되는 단어로 엄밀하게 구분하는 것보다 유사한 단어를 반복하여 사용하므로 강조하는 문학적인 표현이라고 한다.

사람의 전인격적인 성품과 속성이 하나님을 닮았다.

첫째, 실제적인 관점

어거스틴, 루터, 칼빈 등 고전적인 신학자들의 견해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주신 실체적인 어떤 요소라고 하였다.
어거스틴 - 이성, 자유의지
루터, 칼빈 - 이성, 자유의지 이외에 의, 진리, 거룩함, 지식(에베소서 4:23-24, 골로새서 3:10)

에베소서 4:23-24.
오직 심령으로 새롭게 되어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

골로새서 3:10
이는 이제 교회로 말미암아 하늘에서 정사와 권세들에게 하나님의 각종 지혜를 알게 하려 하심이니.


둘째, 관계적인 관점

에밀 부르너, 칼 바르트 등
하나님의 형싱이란 사람에게 부여된 어떤 실체가 아니라 사람이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것이라고 한다.
사람이 관계하는 경험성을 하나님의 형상이라고 한다.
바르트는 하나님의 세 위격 간의 관계성을 하나님의 형상이라고 하여 사람은 이와 같은 인격적 관계성에 따라 하나님과 사람들과 곤계성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다.

셋째, 기능적인 관점

하나님의 형싱이란 관계성도 아니고, 소유하고 있는 어떤 본질이 아니라 사람이 수행하는 어떤 기능을 말한다.
모든 것을 다스리라는 말씀에 따라 대리 통치하는 행위를 하나님의 형상아라고 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관점은 서로 상충되는 견해라기 보다는 상호 보완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님의 형상이란 하나님의 성품과  속성을 닮았다는 것은 사람이 이성과 자유의지와 의와 진리와 거룩함을 갖는 존재이며,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 사이에 관계성을 갖고 살아가는 존재로 하나님께서 맡겨주신 대리 통치를 하는 존재라는 뜻이다.

사람은 하나님의 모양과 형상에 따라 지어진 피조물로서 완성된 존재가 아니라 완성을 위하여 살아가야 한다.

이제 형상이란 히브리 단어 "체렘"에서 그 배경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어느 길에 사람이 옮기기 어려운 거대한 바위가 누군가에 의해서 버려졌습니다.
그 바위를 보며 지나가는 사람들마다 누가 저런 못된 짓을 했을까?
그런데 어느 유명한 조각가는 그 바위를 인부를 동원하여 그의 작업실로 옮겨 놓았습니다.
그리고 몇날 몇일 동안 그 바위를 바라봅니다.
사람들은 조각가를 바보라고 비웃지만 조각가는 사람들의 조롱과 비난에 전혀 동요되지 않습니다.
드디어 조각가는 손에 망치와 정을 들고 그 바위를 쪼아내기 시작합니다.
거대한 바위가 점점 작아집니다.
바위 덩어리에서 떨어져 나가는 조각들을 "체렘"이라고 합니다.
모든 조각들이 떨어져 나간 후에 마지막에 유명한 작품이 드러났습니다.
그동안 비웃던 사람들이 조각품을 보는 순간 감탄하기 시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체렘)과 모양(데무트)에 따라 창조된 피조물입니다.
처음 사람 아담과 하와는 온전한 형상과 모양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죄가 아담과 하와에게 들어오면서 온전한 모양과 형상은 보이지 않고 외모만 보게 되었습니다.

이제부터는 우리 안에 들어와 있는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드러내지 못하는 죄와 같은 조각들을 말씀의 검으로 쪼개어 부숴버려야 합니다.

내가 버려야 할 조각들을 찾아내야 합니다.

현재 이민교회의 문제를 살펴봅니다.

1. 목회자의 자질 / 목회자의 지적, 도덕적, 영적 자질
2. 신앙과 삶의 불일치 / 교단, 교회 연합단체의 비윤리성, 교회 분쟁, 성직자 중심의 교회 권력 구조,  재정적 불투명
3. 외적 성장을 추구 / 기복 신앙 기복 설교,  현행법 위반(이민법, 세법),  개교회주의, 교인 빼오기, 교회들의 과잉경쟁,  교회 밖의 사회에 대한 무관심,  직분의 감투화,  교회내의 부유층,  지식층 우대,  신학교 난립,  목사 안수 과정의 비정상화
 
한국교회의 전통적인 신앙적 고질병

1. 이원론적인 신앙생활(신앙과 삶이 전혀 다르다)
- 이중구조적 신앙생활(생활신앙으로 회복하라)

2. 기복신앙(예수를 잘 믿으면 복을 받는다)
- 샤머니즘의 영향

3. 직분론의 문제
- 기능을 위한 직분이 사회신분을 위한 직분으로 타락하였다.
  예를 들면 직분을 맡으려면 돈이 있어야 한다.

첫째는 거짓 - 진실이 완전히 무너져 버린 세상

윤석열정부가 검사들로 내각을 구성하므로 검찰공화국이라고 비난하고 반대한다.
왜 검사들을 내각의 관리들로 세워야 하는가?
질서가 완전히 파괴되었기 때문에 먼저 법질서를 바르게 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불순종 - 말씀에 대한 왜곡

수많은 설교가 파고 넘치지만 홍수 때에 마실 물이 없는 것처럼 설교는 많지만 진리를 선포하는 설교를 어디에서 찾아볼 수 있는가?

김금자씨의 경우 그 해에 성경 읽기에 따라 신구약 성경을 1년에 한 번씩 통독하므로 그 주간에 읽은 말씀 중에서 본문을 선택하여 설교를 하게 됩니다.
년말이 되어 요한계시록을 본문으로 설교를 준비하는데 이 설교를 하면 분명히 김금자씨가 그 다음주부터 교회에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너무 분명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살짝 피해가야 하는가?
아니면 그대러 진행해야 하는가?
결국 베리칩은 요한계시록에 소개된 666이 아니라고 설교했더니 정말 그 다음주부터 출석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그 언니 김영애씨에게도 그런 교회에 나가지 말라고 강요하더랍니다.
그때 김영애씨의 남편이 이렇게 이야기 했다고 합니다.
"너희들이 성경을 알면 목사님보다 더 잘 알겠느냐?
그리고 성경에 없는 이상한 것을 따르지 말라"고 강조했다고 합니다.

저는 목사에게 순종하라고 하지 않습니다.
순종의 대상을 하나님 한 분입니다.
목사가 하나님의 진리를 잘못 가르칠 때는 순종하지 않는 것이 진리편에 서는 것입니다.

셋째는 어리석음(무지) - 차별금지법에 대한 무관심

거의 모든 나라들이 차별금지법을 법으로 제정하고 있습니다.
지구촌에서 유일하게 차별금지법에 대하여 반대하는 나라가 자유대한민국입니다.
성소수자들에 대해서 그들을 미워하고 증오하는 것이 기독교가 아닙니다.
그들의 잘못된 성생활에 대한 지식을 깨우쳐서 성경적으로 회복시키려는 것입니다.

남성과 여성 그리고 간성을 이야기 합니다.
더구나 지난 6월 7일 미 국무부 부장관이 한국을 방문하였을 때 미국 대사관저에 성조기와 오색기를 게양하며 바이든 정부는 성소수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갖고 저들의 인권 회복을 위해 노력한다고 선언했습니다.
이와 같은 일에 대해서 교회가 무관심하다는 것은 어리석음 때문입니다.



또 하나의 성(性), Intersex

세상에는 세 가지의 성(性)이 있다.  
남성, 여성 그리고 간성(間性)이다.
간성은 남성과 여성의 특징을 같이 가지고 있는 존재로 흔히 인터섹스(Intersex)라는 말로 더 잘 알려져있다. 

2017년 11월 9일 유럽 최초로 독일에서 남성과 여성이 아닌 제3의 성을 인정한다는 소식이 국내 언론에 보도되었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인간의 기본권에 기초하여 ‘간성(間性, intersex)’을 새로운 성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허가할 것을 결정함과 동시에 연방의회에 2018년 말까지 관련법의 개정을 요구했고 내무부 측은 헌재의 결정을 이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고 한다.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유전적 특징이 섞인 채 태어나는 Intersex는 트랜스젠더(Transgender)와 다르다.
인터섹스가 유전자 혼란으로 인해 야기되는 일종의 질병이라면 트랜스젠더는 유전적 이유, 후천적 이유등 좀 더 포괄적인 이유로 성 정체성의 혼란이 발생한 경우다.   

여자는 XX 염색체를 남자는 XY 염색체를 가지고 태어나며 또 그래야 한다.
인터섹스는 XX 염색체임에도 남자 몸을 갖고 태어나거나 반대로 XY 염색체임에도 여자 몸으로 태어나기도 하며, 심지어 남자와 여자의 두가지 생식기를 모두 갖고 태어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인터섹스는  약 30여가지의 다양한 유전적 변이의 경우를 포함하는 데, 우리 상식과 달리 2,000명중 한 명꼴로 발생하는 빈도를 가지고 있다 (미국 Centruries Society 집계 자료). 
즉, 남한 국민이 45백만이라고 치면 대략 2만명이 넘는 인터섹스가 우리 나라에 존재할 정도로 높은 발병율을 보이는 질병이지만, 우리는 마치 포르노물을 보는 사춘기 소년처럼 은밀한 주제로만 생각 할 뿐이다.        

인터섹스의 몇 가지 경우를 실제 인물과 비교해서 살펴보자.
이 아름다운 여인은 Katie라는 22살의 미국 여대생이다.

  

그녀는 XY 남성 염색체에 여성의 몸을 가지고 태어난 인터섹스다.
외모는 천상 여인이지만 그녀는 비 정상적인 여성 생식기에 남자의 고환을 가지고 있다.
법적, 사회적, 의학적으로도 여성으로 분류되는 Katie에게 있어 가장 큰 문제는 바로 XY 염색체였다고 한다.
여성 생식기의 내부 기관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점이나 비정상적인 고환의 존재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으니 차지하더라도, 성장하면서 그녀 몸안에 활발하게 분비되는 남성 호르몬 (Testosterone)은 성숙한 여인으로의 신체 발달을 막고 반대로 남성화시키는 위험한 존재였다.

6살때 맹장 수술을 하면서 처음 이 사실을 알게된 이후 Katie는 16년간 신체발달의 역주행을 막기위해 에스트로겐(estrogen)을 꾸준히 복용해야했다.
아름다운 여성의 몸에 남자의 본능을 부여한 신을 탓하는 대신 그녀는 의대생이 되서 자신과 같은 처지의 사람들을 도울 방법을 찾고 있다.
본인 스스로도 자신을 여성으로 인식하고 있는 Katie는 대부분의 인터섹스들과는 달리 외모만큼이나 아름답게 삶을 가꾸어온 성공적 케이스로 분류할 수 있다.

남성적인 매력이 물씬 느껴지는 이 사람은 Hida라는 미국 여성이다.
법적으로는 그렇다.

  

그녀는 XX 여성 염색체에 완벽한 여성의 몸을 지니고 태어났지만, 남성호르몬(Testosterone)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유전자 이상 증후군을 앓고있다.
어린 Hida는 자신의 몸이 남성처럼 변해가면서 두렵고 당황했던 시간을 보냈다.
심지어 성기 마저도 남자 생식기의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오랫동안 그녀는 혼란에 빠져있었다.
자신이 여성인지 남성인지 스스로도 판단하지 못하는 긴 터널같은 어두운 시간을 지나온 것이다.
그리고 지금도 상황에 따라 남성적, 여성적 본능이 번갈아 나타난다고 한다.
이젠 어느정도 심리적 안정을 되찾은 Hida는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해 이렇게 정의내린다.

  

 

"사회는 내게 여성과 남성중 하나만 선택하기를 강요한다.
하지만 난 이대로가 좋다.
두가지 성을 다가지고 살아가야 하지만 난 인터섹스로서의 삶에 만족한다.
그것이 내가 호르몬 치료를 거부한 이유고, 또 앞으로도 그렇게 살길 희망하는 이유다."

Hida는 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남성과 여성 모두를 끌어안고 살기로 결심한 것이다.  

대중적으로 그나마 많이 알려진 인터섹스로는 남아공 중거리 달리기 선수였던 Caster Semenya가 있다.

  

 그녀는 2009 월드 챔피언쉽 800미터 여자 달리기 시합에서 1분 55초 45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따냈다.
하지만 그녀의 탁월한 신체조건에 대한 많은 의문이 제기됬고, 정밀검사 결과 그녀는 인터섹스로 판명되 2010년 7월 6일까지 국제대회 참가가 거부되는 불운을 겪어야 했다. 

당시 18세였던 캐스터 세멘야는 신체적으로 남성 성기와 여성 성기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위 글의 Katie나 Hida처럼 여성 호르몬이 아닌 남성 호르몬이 분비되는 유전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위원회는 순수한 여성 선수들(?)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그녀의 금메달을 박탈하고 선수자격을 정지시킨 것이라는 보도자료를 내놓았다.

그간 자신을 여성으로 생각해 온 Caster semenya의 여성성을 공개적으로 부정한 이 날 결정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인 의사를 무시한 정보 공개와 그로 인해 선수가 받았을 수치심에 대한 고려, 그리고 인터섹스의 참가자격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을 구비하지 못했던 조직 위원회의 준비 부족등 많은 의문을 남기는 사건이었다.

 

 

인터섹스는 이렇듯 분명 우리 주위에 존재하고 있으며 그 숫자도 무시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그것이 자신들의 잘못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받아야 하는 따가운 주위의 시선과 심적 고통은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클 것이다.
한국사회가 질병의 한 종류인 인터섹스를 막연히 동성애자 내지는 변태로 규범지어 사회적으로 소외시키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봐 야 한다. 

남성과 여성외 다른 성을 인정할 수 없는 고리타분한 유교 문화권인 한국에서 그들은 자신을 괴롭히는 미친 염색체 뿐만 아니라 원인에 대한 접근없이 보이는 현상만 중요시 여기는 사회의 고정 관념과도 싸워야 하는 힘든 싸움을 하고 있다.


비뇨기과 전문의 임수현

독일이 제3의 성을 인정한다는 기사와 청원 내용을 보면 그 중심에 간성이라는 용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간성은 다른 용어로 ‘성분화의 이상(disorder of sexual development)’ 또는 ‘성분화의 차이(difference of sexual development)’ 라고도 하는데, ‘이상 또는 장애(disorder)’라는 용어로부터 받는 부정적인 영향 때문에 용어 선택에 있어 논란이 제기되기도 한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나 많은 의학저널은 여전히 의학 용어로서 ‘성분화의 이상’을 쓰고 있다.
또한 그 정의가 성염색체뿐 아니라 상염색체의 유전정보에서 유래하는 복합적인 과정 중에 발생한 이상에서 기인한 성분화의 장애로서 국제질병분류(ICD-10)에 ‘선천기형, 변형 및 염색체이상’ 또는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등으로 분류되는 질병이다.

성분화 이상은 문헌에 따르면 1/4,500~5,500의 확률로 드물게 발생하며 (반면, 일부 기사에 따르면 UN은 세계의 간성 인구를 0.5~1.7%로 추정한다), 그 형태와 종류, 그리고 외부생식기의 모호성 정도가 다양하고 진단이 쉽지 않기 때문에 치료의 적응증, 시기, 방법 등을 결정하기 또한 어렵다. 하지만 많은 의학 그룹에서 동의하는 것은 환자가 정상적인 신체 인식과 성정체성을 가지고 성장하며, 성인이 되어 정상적인 성생활을 가능하게 하고 생식능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남성 또는 여성의 적절한 성을 지정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성별을 결정할 때 중요 고려 인자는 환자의 나이와 외부생식기의 상태이며, 최상의 결과를 위해 환자와 가족 그리고 경험이 많은 여러 분야의 전문 의료진들이 긴밀히 협력해야만 한다. 또한 다른 동반 기형 및 동반 질환과 모호한 생식기 교정을 위한 수술, 그리고 성정체성의 혼란과 모호한 외형 때문에 받는 차별 등으로 인해 낮은 삶의 질 속에서 힘겨워하기에 전문적이고 다각적인 보살핌이 필요하고 그들이 겪는 어려움을 덜어 주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을 찾아야 함이 마땅하다. 이는 우리 사회와 구성원들이 다른 기형이나 장애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행동하고자 노력하는 것에 포함될 것이다.
하지만 독일 헌재가 제3의 성을 인정하기까지의 과정과 청와대 국민청원사이트에 등록된 글을 살펴보면, 이들이 목적하는 바는 극히 드문 선천적 장애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질병으로부터 회복하고 치유하기 위함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대신에 남성과 여성이라는 양성 사이에 다양한 젠더가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심지어는 성의 구별 자체를 해체하려는 젠더이데올로기와 이를 사회 전 영역에 적용하려는 젠더주류화의 흐름 안에서 차별과 혐오를 일으킨다고 하며 ‘성분화 이상’이라는 의학적인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그들이 말하는 젠더 관점에서 간성이라는 용어를 선택하며 이용한다는 것이다.

독일의 사회학자 가브리엘 쿠비 교수의 저서 Global Sexual Revolution에 따르면, 이러한 독일의 현방헌재의 결정 이전에 젠더 이론가들의 국제 네트워크들이 합작하여 2012년에 독일 윤리위원회로 하여금 중요한 발언을 하도록 하였다.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독일 연방정부에게 간성과 성전환증transsexual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NGO와의 대화를 촉구하며 이들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하였고 독일 연방정부의 요청에 따라 독일 윤리위원회가 다음과 같은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1. 질병illness이나 장애disorder와 같은 부정적인 결론에 이르는 것을 피하고 제3의 성이 존재하는가에 대해서는 향후 논의할 문제로 남겨놓기 위해 윤리위원회는 ‘성분화의 차이Difference of Sex Development, DSD’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2. 윤리위원회는 DSD들이 출생신고서에 남성 혹은 여성의 분류로 정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그들의 사생활권과 평등한 대우를 받을 권리를 부당하게 침해하는 행위로 간주한다. 따라서 ‘기타’라는 새로운 분류 목록을 도입해야 한다. 그러나 결정을 할 수 있는 최대의 나이가 될 때까지, 어떠한 기록도 해서는 안 되며, 그러한 기록은 어느 때고 바꿀 수 있다.

3. 윤리위원회의 대다수는 ‘다른'(‘기타’에 속한) 젠더를 가진 사람들도 과거에는 동성파트너들에게만 허용되었던 시민결합등록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믿는다. 더 나아가, 윤리위원회의 위원들 중 몇몇은 이들의 결혼에 대한 가능성까지도 열어 놓을 것을 권고한다.

4. 출생신고서에 성별을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기나 하는지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쿠비 교수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독일 윤리위원회는 생물학적 성별이 모호한 8천명의 사람들의 요구를 맞추어주기 위해 ‘제3의 성’을 만들어 내었다. 만약 연방정부가 이러한 권고를 따른다면 미래의 출생신고서 양식은 ‘남성’, ‘여성’ 그리고 ‘기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를 주게 될 것이며 심지어는 젠더 운동가들이 목표하는 데로 양성의 성정체성을 모호하고 불확실하게 만드는 수준에까지 이르게 될 것이다.”

과연 쿠비 교수의 통찰대로 독일은 제3의 성을 인정하였고 관련법들을 바꾸고 있다. 잘 조직된 소수의 젠더 운동가들은 소수의 약자를 이용하여 그들의 소원을 이루기 위해 사회의 기초인 양성의 질서를 침해하고 있다. 성별이 모호한 몇 천 명의 불행한 운명에 관한 문제의 구제책으로 남성과 여성의 정체성을 완전히 해체시키려하고 있다. 독일은 합법적으로 제3의 성이 존재하게 되었으니 성에 대한 정의로움을 이루기 위해 그들의 결혼을 허용하도록 요구하거나, 자녀를 소유할 수 있는 권리를 요구한다면, 다양한 전체 ‘퀴어’들도 똑같은 권리를 주장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독일의 상황을 보고 따르는 청와대 국민청원 등록자와 소수이지만 이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목표하는 바일 것이다.

가족들과 함께 동성애 문제에 대하여 이야기한 적이 있다. “남자끼리 또는 여자끼리 결혼하려 하고, 몸은 남자인데 마음은 여자여서 자기 몸을 여자로 바꾸는 수술을 하는 사람 또는 그 반대인 사람도 있고, 몸은 남자인데 여자로 사는 사람이나 그 반대인 경우 등등… 남자와 여자끼리만 결혼해야만 한다는 것을 부정하고 성별이 남자와 여자 두 가지만 있는 것도 아니고 몸이랑 상관없이 자기가 끌리는 대로 성을 여러 가지로 결정 할 수 있대.” 가만히 듣고 있던 3학년 아들이 골똘히 생각하더니 이렇게 말했다. “근데 아빠, 남자끼리 결혼하고 여자끼리 결혼하면 아이를 못 낳는데 그러면 인류가 없어지는 거 아냐?” 3학년 어린 아이도 걱정하는 인류 파멸의 길을 그들은 왜 보호받고 치료받아야 할 장애를 가진 약자들을 ‘제3의 성’이라 부르고 이용하면서까지 가려 하는지 다시 한번 묻지 않을 수가 없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창조의 마지막 날에 하나님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고 하셨다(창 1:26).
그러므로 하나님은 “친히 손으로” 그분의 일을 마무리하셨습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창 2:7).
따라서 인간은 하나님의 모든 피조물 가운데 물질적인 육체와 비물질적인 영/혼을 모두 지닌 유일한 존재입니다.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가졌다는 것은, 간단히 말해서, 우리들이 하나님과 닮게 지어졌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피와 살을 가지셨다는 의미에서 아담이 하나님을 닮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성경은 “하나님은 영이시라”고 합니다(요 4:24).
그러므로 하나님은 육체가 없습니다.
하지만 아담의 몸은 완전히 건강한 상태로 지음 받았고 죽음을 겪지 않는다는 점에서 하나님의 생명을 반영하였습니다.

하나님의 형상은 인간의 비물질적인 부분을 가리킵니다.
이것은 동물의 세계로부터 인간을 구별하여 주며, 인간이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대로 땅 위의 모든 것을 다스리기에 적합하게 해 줍니다(창 1:28).
또한 하나님의 형상은 인간이 창조주와 교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것은 정신적으로 도덕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하나님과 닮은 부분입니다.

정신적으로, 인간은 이성적이고 의지적인 존재로 창조되었습니다.
다른 말로 하면, 사람은 사유할 수 있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지적 능력과 자유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누군가가 기계를 발명하고, 책을 쓰고, 풍경을 그리고, 교향곡을 즐기고, 총합을 계산하고, 또는 애완 동물에게 이름을 지어 줄 때마다, 그 사람은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사실을 공표하고 있는 것입니다.

도덕적으로, 인간은 의롭고 완전한 결백 상태로 지어졌는데, 이는 하나님의 거룩함을 반영합니다.
하나님은 자신이 지으신 모든 만물(사람을 포함하여)을 보시고 “심히 좋았더라”고 하셨습니다(창 1:31).
우리의 양심이나 ‘도덕 기준’은 이런 처음 상태의 흔적입니다.
누군가 법을 만들고, 악을 멀리하고, 선한 행위를 칭찬하거나 죄책감을 느끼는 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 진 사실을 확증하여 주는 것입니다.

사회적으로, 인간은 교제를 위해 지어졌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삼위일체적인 속성과 그분의 사랑을 반영합니다.
에덴 동산에서 인간은 주로 하나님과 교제하였으며(창 3:8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시사합니다), 하나님은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기에”(창 2:18) 첫 번째 여자를 만드셨습니다.

창세기 3:8
그들이 이 서늘할 때에 동산에 거니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아담과 그 아내가 여호와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동산 나무 사이에 숨은지라.

창세기 2:18
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사람의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하시니라.


누군가 결혼하고, 친구를 사귀고, 어린이를 안아주며, 또는 교회를 다니는 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모양대로 지음 받은 사실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아담이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사실은 또한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점에서 그러합니다.
아담에게 의로운 속성이 주어졌더라도, 그는 자신의 창조주를 대적하는 악한 선택을 내렸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아담은 자신 안에 있던 하나님의 형상을 손상시켰고, 그 손상된 모양을 그의 모든 후손들에게 전가시켰습니다(롬 5:12).

로마서 5:12
이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오늘날, 우리는 여전히 하나님의 형상을 지니고 있습니다(약 3:9).
하지만 우리는 또한 죄의 상처를 지니고 있습니다.
정신적으로, 도덕적으로, 사회적으로, 육체적으로, 죄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좋은 소식은 하나님께서 한 개인을 구원하실 때 , 그 사람은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엡 4:24)이 되면서 하나님의 원래 형상으로 회복되기 시작하는 점입니다.
그 구원은, 우리를 하나님으로부터 분리시킨 죄에서 구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임하는 하나님의 은혜로서만 가능합니다(엡 2:8-9).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모양대로 새롭게 지어졌습니다(고후 5:17).

에베소서 4:22-24
너희는 유혹의 욕심을 따라 썩어져 가는 구습을 좇는 옛 사람을 벗어 버리고.
오직 심령으로 새롭게 되어.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

에베소서 2:8-9
너희가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나니 이것이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 이는 누구든지 자랑치 못하게 함이니라.

고린도후서 5:17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구약성서는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으로 창조되었다고 말씀한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들로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창 1:26-27).

하나님의 ‘형상’(첼렘)과 ‘모양’(데무트)이란 용어가 사용된다.
본래 히브리어 어법으로는 이 둘을 동의어의 반복으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고대교회 이래 ‘형상’은 인간 안의 이성과 같은 자연적인 특성을, 그리고 ‘모양’은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초자연적 특성을 가리키는 용어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인간의 타락으로 후자는 상실되었으나, 전자는 여전히 남아서 인간의 주체성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에밀 브루너(Emil Brunner, 1889-1966)는 인간 안의 하나님 형상이 내용적으로는 상실되었지만 형식적으로는 남아있다고 말했다.

브루너에 따르면, 인간에게 하나님의 형식적 형상이 남아있기 때문에 인간은 다른 피조물들과 구별되는 인간만의 사회적 규범과 국가적 질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하여 인격적 주체로서 응답할 수 있다. 브루너는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주체적 응답의 가능성을 “접촉점”(contact point)으로 표현했다. 접촉점은 형식적인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그 말의 뜻은 “죄인인 인간들도 잃어버리지 않은 것으로서, 인간은 인간이라는 사실과… 말씀을 받아들이는 능력과 책임성을 가진 인격성(Humanitas)이란 뜻이다.” 브루너는 하나님께서 하시는 말씀을 인간이 들을 수 있는(거부할 수도 있는) 형식적 가능성으로서 말씀에 대한 인간의 수용성(receptivity)을 인정했다.

성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인간의 하나님 형상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그 가운데 하나는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이 모든 피조물을 다스리는 하나님의 대리자로 세움을 받았다는 사실에 있다는 해석이다.
이러한 해석의 근거는 하나님이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하셨다는 창세기 2장 27절 바로 다음 절인 28절에 하나님이 인간에게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라고 말씀하신 사실에서 발견된다. 그런데 이 절에서 “정복하라”는 구절은 인간이 다른 피조물에 대해 강압적인 지배력을 행사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청지기적 대리자로서 다른 피조물을 돌보고 가꾸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학자들 가운데는 창세기 2장 27절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에서 하나님이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하셨다는 구절 바로 다음에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다는 구절이 뒤따르는 것에 주목하여, 하나님의 형상이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신 것과 관계가 있다고 보는 사람들이 다수 있다. 구약학자인 클라우스 베스터만(Claus Westermann, 1909-2000)은 창세기 본문에서 여자의 창조가 단지 인간의 성적 분화를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성 안에 있는 인간의 공동체성을 의미한다고 이해한다. 바르트도 인간 안의 하나님 형상의 의미가 인간이 남자와 여자로 지음을 받은 사실에서 발견된다고 주장했다. 즉 바르트는 인간이 남자와 여자로 창조된 것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가 세 위격의 관계성으로 구성되는 것처럼 인간이 관계적 존재로 창조되었음을 지시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을 관계유비라고 불렀다.

일반적으로 고대 교부들은 인간의 하나님 형상이 육체가 아닌 이성적 영혼에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각은 오늘날 그리 큰 호응을 얻지 못한다. 창세기 2장 27절에 기초해서 인간의 하나님 형상을 관계성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견해는 특히 오늘날 큰 공감을 얻고 있다. 왜냐하면 오늘날 우리는 관계론적 세계관을 가지고 살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과학(특히 양자 물리학)은 실재를 구성하는 근본적 요소 또는 구조를 서로 고립된 자기충족적인 실체(입자)로가 아니라 장(場, field)과 같은 관계의 그물망으로 파악한다. 생활세계(Lebenswelt)라는 장으로부터 분리된 근대의 초월적 자아(transcendental ego) 개념은 오늘날 허구임이 드러났다. 인간은 이웃과 타자와 세계와의 관계성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구현한다. 이웃과 타자와 세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나 자신의 정체성도 존재하지 않는다.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McGrath, 1953~)는 인간 안의 하나님 형상을 “인간의 본성에 내재한 본능적 충동”으로서 “하나님을 향한 귀소 본능”으로 이해한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자기가 나온 물질적 질서 속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으려고 위쪽을 지향하는데, 이러한 인간의 자기 초월 욕구는 하나님을 향한 숨겨진 갈망을 나타낸다. 다른 피조물과 구별되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하나님의 형상의 핵심은, 인간만이 하나님을 갈망하며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 안에서 하나님과 대화하고 교제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인간이 다른 피조물과 공유하는 육체적 실존과 구별되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영적 실존의 본질은, 인간이 육체와 구별되는 영이란 불멸의 실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인간만이 하나님과 상호적인 인격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받았다는 사실에 있다.

인간 안의 하나님 형상의 원형이 되시는 삼위일체 하나님 자신이 삼위일체적 관계성 안에 존재한다.
즉 삼위일체 하나님의 세 위격은 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 안에서 친교적 연합(communion)을 이룬다.
페리코레시스는 상호 내주, 상호 침투, 상호 의존, 상호 순환을 의미한다.
아버지의 아버지 됨은 아들과 성령과의 관계성 안에서만 가능하고 아들의 아들 됨과 성령의 성령 됨도 각기 다른 두 위격과의 관계성 안에서만 가능하다.
페리코레시스는 “자기초월적 개방성 안에서의 공감적 사랑”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하나님은 세 위격 사이의 “자기초월적 개방성 안에서의 공감적 사랑” 안에서 친교적 연합을 이루신다.

이 하나님의 공감적 사랑이 참된 하나님의 형상인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십자가의 죽음에서 결정적으로 계시되었다.
성서는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하게 완전한 하나님의 형상이라고 말씀한다.
“그는 보이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형상이시요,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나신 이시니…”(골 1:15).
우리 인간은 이 그리스도 안의 하나님 형상을 닮아가야 하며 이 형상으로 변해가야 한다(롬 8:29; 고전 15:49; 고후 3:18).
아담 안에서 하나님의 형상은 인간에게 주어진 선물이며,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형상은 인간의 최종적 운명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종말론적 운명으로 인간에게 주어진 완전한 하나님 형상의 역사적 현현으로서, 죄로 인해 손상된 인간의 하나님 형상을 회복시키고 완성으로 이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 안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의 공감적 사랑이 죄악된 인간을 구원하고 인간 안의 하나님 형상을 새롭게 하고 완성하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1926~)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이 하나님의 내적 구조 안에 닫혀있지 않고 본유적으로 세계를 향해 열려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몰트만에게 있어서 삼위일체 하나님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부터만 인식 가능하다.
따라서 경세적 삼위일체와 분리되거나 그것으로부터 동떨어진 내재적 삼위일체란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 안의 하나님 형상은 이와 같은 관계성 안에 계신 하나님의 삼위일체적 존재를 반영한다.
다시 말하면, 세 위격 사이의 페리코레시스 즉 자기초월적 개방성 안에서의 공감적 사랑 안에서 친교적 연합을 이루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으로부터 인간 안의 하나님 형상이 이해되어야 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美, 49년 만에 ‘낙태 합법화 판례’ 뒤집었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낙태 합법화를 가져온 1973년 ‘로 대 웨이드’ 판결을 49년 만에 폐기했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에 따르면, 연방대법원은 24일 ‘토마스 돕스 대 잭슨여성보건기구’ 사건에서 찬성 6, 반대 3으로 미시시피주의 ‘임신 15주 후 낙태금지법’에 손을 들어 줬다.

다수 의견서는 새뮤얼 앨리토 대법관이 작성했으며, 클래런스 토마스, 에이미 코니 배럿, 브렛 캐버노, 닐 고서치 대법관과 존 로버츠 대법원장이 의견을 같이했다.

앨리토 대법관은 “헌법은 낙태에 관해 권리를 부여하지 않는다. ‘로(대 웨이드)’ 및 ‘(가족계획연맹 대) 케이시’ 판결은 기각된다”라며 “낙태를 규제할 권한은 국민과 그들이 선출한 대표들에게 반환된다”고 명시했다.

또한 “‘로’는 처음부터 터무니없이 잘못됐다.
논리는 터무니없이 약했고, 그 결정은 해로운 결과를 초래했다”며 “낙태 문제에 국가적 해결을 가져오는 대신, 논쟁과 분열을 심화시켰다.
헌법에 귀 기울여야 하고, 낙태 문제는 국민이 선출한 대표에게 돌려줄 때”라고 밝혔다.

1973년 대법원은 ‘로 대 웨이드’ 판결에서 여성의 낙태권을 헌법에 기초한 사생활 권리에 포함시켰고, 이로 인해 주정부의 낙태 제한 권한은 약화됐다.
또 법원은 1992년 ‘가족계획연맹 대 케이시’ 사건에서 태아의 생존 가능성이 있기 전의 낙태를 허용하며 다시 한 번 낙태 권리를 강화했다.

진보 성향의 대법관인 스티븐 브레이어, 소니아 소토마요르, 엘레나 케이건 판사는 즉각 반대 의견을 냈다.
이들은 의견서에서 기존 판례를 옹호하며 “‘로’와 ‘케이시’는 낙태 허용과 이를 규제하는 법 허용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했다.
오늘 법원은 그 균형을 폐기한 것”이라며 “수정하는 그 순간부터, 여성은 말할 권리가 없다고 (판결은) 말한다. 주(정부)가 한 개인 및 가족이 막대한 비용을 치르더라도, 임신하도록 강제할 수 있게 됐다”고 지적했다.

또 “여기서 문제가 되는 미시시피 법은 임신 15주 후 낙태를 금지한다.
그러나 대다수 판결에 따르면 다른 주의 법은 10주 후, 또는 5주, 3주나 1주 후, 심지어 수정하는 시점부터 금지할 수 있다”며 “주들은 이미 오늘 판결을 예상하고 그러한 법률을 통과시켰다.
더 많은 주가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26개 주에서 낙태를 금지할 것으로 보인다.
AP통신은 남부와 중부의 13개 주가 즉시 시행 가능한 낙태 금지 법안을 마련해 놨다고 보도했다.

2018년 미시시피주는 낙태 금지 기준을 기존 ‘임신 20주 후’에서 ‘임신 15주 후’로 변경하는 하원법안 1510호(HB 1510)를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낙태 가능 조건에 산모의 생명을 위협하는 의료 응급 상황 또는 심각한 태아 기형은 포함시켰으나, 강간 또는 근친상간은 제외했다.

그러자 이 법안은 낙태를 합법화했던 ‘로’ 판례에 대한 도전의 서막이 되었다. 법안 통과 후, 미시시피주 낙태시술업체인 잭슨여성보건기구는 주정부 보건책임자인 토마스 돕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2019년 12월 연방 제5항소법원은 하급심을 지지하며 미시시피주 법에 영구 금지 명령을 내렸다. 돕스는 이 사건을 연방대법원에 항소했고, 2021년 5월 법원은 심리에 합의해 12월 양측의 구두 변론을 심리했다.

지난달 2일에는 사무엘 엘리토 대법관이 쓴 소송 판결문 초안이 유출돼, 정치 보도전문 매체 ‘폴리티코’를 통해 보도됨으로써 논란의 불씨를 당겼다.

당시 의견서는 대법관 찬성 5, 반대 4로 49년 만에 ’로 대 웨이드’ 판례를 폐기할 것을 제안했고, 낙태 금지 여부는 주정부에 결정 권한을 주는 것을 골자로 했다.

이는 낙태 권리를 요구하는 운동가들의 시위와, 교회와 친생명단체 사무실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졌다.
지난달 7일 새벽 뉴욕주의 한 임신출산지원센터 사무실에는 화염병이 날아들어 화재가 발생했다.
8일 위스콘신주 소재 친생명단체 사무실에도 화염병 테러가 발생했다.

이달 8일 새벽 메릴랜드주 체비 체이스에 있는 브렛 캐버노 연방 대법관 자택 인근에서는 총과 흉기를 소지한 남성이 배회하다 경찰에 체포됐다.
이 20대 남성은 낙태권 결정 초안에 분노해 대법관을 살해할 목적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엿새 동안 세상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께서는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피조물인 인간을 창조하셨다.

인간은 하나님의 대리인으로 창조 세계를 관리하고 다스리며 번성 시켜야 할 존재이므로 다른 어떤 피조물보다 중요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은 특히 다론 존재와는 달리 흙으로 자신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만드시고 그 코에 생기를 붙어 넣으므로 생령이 되게 하셨다.
이로써 인간은 특별히 하나님과 직접적이고 인격적인 관계를 맺는 유일한 피조물이 되었던 것이다.

인간 창조에 관한 이야기는 모든 신화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고대 수메르 신화에서는 어머니 신인 닌투가 자신의 육체와 피틀 흙에 섞어서 인간을 창조했다고 말한다. 

이집트의 신화에서는 크눔신이 나일 강변의 진흙으로 인간을 만들고 하토르 여신이 생명을 불어 넣었다고 설명한다. 

그리스 신화에는 프로메테우스가 흙과 물로 인간을 만들었다고 말하며 중국의 여와 설화나 우리나라의 생굿에도 흙으로 인간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각 민족마다 인간 창조의 설화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 형식에 있어서 매우 유사함을 지니고 있다.
이것을 근거로 해서 어떤 학자들은 성경의 창조 기사가 고대 근동의 인간 창조 설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형식을 떠나 성경의 인간 창조 기사는 그 내용과 목적에 있어서 큰 차이를 지니고 있다.

첫째, 다른 신화는 바벨론 신화에서와 같이 인간을 신들을 섬기고 그들 대신 잡일들을 시키 기 위한 부속물로 창조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신과 인간 사이에 인격적인 관계가 없고 대립적인 관계만 있을 뿐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인간을 자신의 형상을 닮은 자로 만드시고 사랑의 대상으로 인정하셨으며 인격적인 관로 창조하셨다는 점에서 비교할 수 없는 진리와 소망의 메세지를 담고 있다.

본문은 인간 존재의 기원에 대해 분명한 선언을 하고 있다. 즉 인간은 하나님의 창조물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이 하나님 안에서만 생명의 근거를 찾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다른 신이나 인간적인 사상 속에서는 구원의 길을 발견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런 인간 존재의 출발에 대한 기사는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자만이 구원을 얻을 것이라는 성경의 주제가 영원한 진리임을 증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라고들 말합니다.
그 말은 일반적으로 모든 동물들 중에서 인간이 가랑 뛰어남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성경은 인간 존재에 대하여 독특한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그것은 인간이 창조주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것입니다.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인간 존재의 존엄성과 그 역할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상에서는 인간을 다른 동물들과 동일한 존재로 파악하는 진화론을 신봉하고 있는데 비하여 성경은 사람과 다른 동돌들과의 근본적인 차이를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우연하게 만들어진 존재가 아니라 창조주의 계획과 섭리 하에서 피조 되어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자로 서있다는 것은 우리의 존재 목적과 가치를 분명하게 해 줍니다.

본문의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의 존재성과 그 존엄성을 교훈 받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는 성도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1.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

하나님께서 세상의 모든 식물과 동물을 창조하신 후에 자신의 형상을 따라 인간을 지으셨습니다.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은 비슷한 말인데.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따라 지음 받았다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가시화하여 나타낼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따라 지음받은 인간은 외적인 모습이 하나님과 닮은 것이 아니라 육체를 지닌 몸을 통하여 하나님의 성품과 속성을 밝히 드러내는 존재인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자신의 형상대로 지으심으로써 자신의 영광을 밝히 드러내기를 원하셨던 것입니다.
그래서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영적인 존재로 지음을 받았고 하나님과 공유하는 인격성을 지니게 만들어졌습니다.

오늘날 인간이 하나님의 거록하심과 영광을 드러내지 못하는 것은 타락으로 하나님의 형상에 큰 파괴를 가져왔기 때문입니다.

성도는 그리스도 안에서 중생함으로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습니다(고후 5:17)
이는 죄로 인하여 상실하게 되었던 하나님의 형상을 그리스도 안에서 다시 회복하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존재답게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의를 쫓아 순종 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완전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우리에게 모범을 보여주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를 통하여 보이신 하나님께 대한 순종과 인간에 대한 사랑을 본받아 살아갈 때에 비로소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피조물로서의 사명을 다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께서는 사랑의 새 계명을 주시면서 그 세계명을 지킬 것을 제자들에게 명하셨습니다(참조. 요 13:34).

2. 사람에게 부여된 세상에 대한 통치권

하나님께서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으심은 목적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지으신 모든 피조물의 왕 노릇 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세상 만물의 궁극적인 왕 은 하나님이시지만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지으시고 그에게 모든 세상을 다스릴 권한을 부여하셨습니다.
여기서의 다 스림은 자연을 잘 관리하고 보살피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즉 사람은 다른 것들과 함께 하나님의 피조풀이면서도 독특한 권세를 부여받은 피조물의 왕으로서 하나님과 피조물 간의 중보적 역할을 감당하여야 했던 것입니다.
사람이 지혜를 가지고 세상을 다스릴 때에 하나님의 지혜와 능력을 드러낼 수가 있었습니다.
아담이 모든 동물의 이름을 친히 지어준 것은 이러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사역을 감당한 최초의 일이었습니다.
자녀의 이름을 그 부모 가 지어주듯이 동물들의 이름을 지어줌으로써 아담은 모든 동물의 주인이요 통치자가 되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인류가 죄로 인하여 타락하게 되었을 때에 하나님의 영광을 피조물의 형상으로 바꾸는 질서 파괴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즉 인간은 자신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자연을 다스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을 두려워하고 도리어 그 자연으로 하나님의 형상을 만들어 그 앞에서 절하며 섬김으로써 우상 숭배의 죄를 범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십계명을 주시면서 자연으로 아무런 형상을 만들지도 말고 그 앞에서 섬기지 말 것을 명하셨습니다(참조. 출20: 4).

세상 사람둘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존재의식을 망각하고 헛된 세상의 것들을 섬기고 있지만 성도는 세상을 다스리며 살아가야 합니다.

오늘날에는 나무나 돌 앞에 가 서 절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지만 대부분 세상의 재물을 하나님으로 섬기고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재물은 하나님께서 인간의 필요를 위하여 주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재물은 사람이 사용하고 다스릴 대상이지 승배할 대상은 아닌 것입니다.
그러나 어리석은 세상 사람들은 배금주의 사상에 물들 어 재물을 사랑하고 섬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수께서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음을 말씀하시면서 인간이 섬겨야 할 대상이 세상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심을 교훈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하나님을 섬김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바로 다스릴 줄 아는 지혜를 소유하여야겠습니다.

3. 사랑의 존재로 지음 받은 인간

하나님께서 자기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지으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어 한 가정을 이루게 하셨습니다.
이는 가정이라는 제도 속에서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가치를 발휘하여야 함을 의미합니다.
아담이 홀로 있을 때에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치 않았음을 성경은 증거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은 홀로가 아니라 서로 간의 사랑의 관계 속에서 하나님의 형상을 완성시켜 나가야 했던 것입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여 주신 남자와 여자가 서로 하나 되어 협력 하여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준행하여 나아감으로써 하나님의 영광을 밝히 드러내어야 했습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심을 인간 사회의 가장 근본적이고 기초가 되는 가정 속에서 증거 하여야 됐던 것입니다.

사단은 사랑으로 이루어져야 할 인간관계를 파괴함으로써 온갖 성범죄와 가정 파탄이 일어나도록 역사하였습니다.

그래서 성도의 생활은 먼저 가정에서부터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여야 합니다. 가정에서 부부 간에 서로 사랑 하고 하나님의 사랑으로 자녀를 양육함으로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의 획복을 이를 수 있는 것입니다. 결혼은 그런 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일인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사랑 은 사회로 확대되어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삶을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들려야 합니다.
이러한 사랑으로 인한 하나님의 형상의 완전한 회복이 이루어지는 곳이 완성된 하나님 나라인 것입니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의 존재 가치와 사명에 대하여 교훈을 받았습니다.
성도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된 자로서 하나님을 바로 섬기고 세상을 다스림으로써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역할을 잘 감당하여야 하겠습니다.
또한 모든 삶 가운데서 하나님의 본성을 닮아감으로 하나님의 백성으로 서의 복된 살을 살아가야 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엿새 동안 세상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께서는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피조물인 인간을 창조하셨다.
인간은 하나님의 대리인으로 창조 세계를 관리하고 다스리며 번성 시켜야 할 존재이므로 다른 어떤 피조물보다 중요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은 특히 다론 존재와는 달리 흙으로 자신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만드시고 그 코에 생기를 붙어 넣으므로 생령이 되게 하셨다.
이로써 인간은 특별히 하나님과 직접적이고 인격적인 관계를 맺는 유일한 피조물이 되었던 것이다.

인간 창조에 관한 이야기는 모든 신화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고대 수메르 신화에서는 어머니 신인 닌투가 자신의 육체와 피틀 흙에 섞어서 인간을 창조했다고 말한다.

이집트의 신화에서는 크눔신이 나일 강변의 진흙으로 인간을 만들고 하토르 여신이 생명을 불어 넣었다고 설명한다.

그리스 신화에는 프로메테우스가 흙과 물로 인간을 만들었다고 말하며 중국의 여와 설화나 우리나라의 생굿에도 흙으로 인간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각 민족마다 인간 창조의 설화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 형식에 있어서 매우 유사함을 지니고 있다.
이것을 근거로 해서 어떤 학자들은 성경의 창조 기사가 고대 근동의 인간 창조 설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형식을 떠나 성경의 인간 창조 기사는 그 내용과 목적에 있어서 큰 차이를 지니고 있다.

첫째, 다른 신화는 바벨론 신화에서와 같이 인간을 신들을 섬기고 그들 대신 잡일들을 시키 기 위한 부속물로 창조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신과 인간 사이에 인격적인 관계가 없고 대립적인 관계만 있을 뿐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인간을 자신의 형상을 닮은 자로 만드시고 사랑의 대상으로 인정하셨으며 인격적인 관로 창조하셨다는 점에 서 비교할 수 없는 진리와 소망의 메세지를 담고 있다.

본문은 인간 존재의 기원에 대해 분명한 선언을 하고 있다.
즉 인간은 하나님의 창조물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이 하나님 안에서만 생명의 근거를 찾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다른 신이나 인간적인 사상 속에서는 구원의 길을 발견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런 인간 존재의 출발에 대한 기사는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자만이 구원을 얻을 것이라는 성경의 주제가 영원한 진리임을 증명하고 있다.

* 설명

일반적으로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라고들 말합니다.
그 말은 일반적으로 모든 동물들 중에서 인간이 가랑 뛰어남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성경은 인간 존재에 대하여 독특한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그것은 인간이 창조주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것입니다.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인간 존재의 존엄성과 그 역할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상에서는 인간을 다른 동물들과 동일한 존재로 파악하는 진화론을 신봉하고 있는데 비하여 성경은 사람과 다른 동돌들과의 근본적인 차이를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우연하게 만들어진 존재가 아니라 창조주의 계획과 섭리 하에서 피조 되어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자로 서있다는 것은 우리의 존재 목적과 가치를 분명하게 해 줍니다.

본문의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의 존재성과 그 존엄성을 교훈 받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는 성도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1.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

하나님께서 세상의 모든 식물과 동물을 창조하신 후에 자신의 형상을 따라 인간을 지으셨습니다.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은 비슷한 말인데.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따라 지음 받았다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가시화하여 나타낼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을 따라 지음받은 인간은 외적인 모습이 하나님과 닮은 것이 아니라 육체를 지닌 몸을 통하여 하나님의 성품과 속성을 밝히 드러내는 존재인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자신의 형상대로 지으심으로써 자신의 영광을 밝히 드러내기를 원하셨던 것입니다. 그래서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영적인 존재로 지음을 받았고 하나님과 공유하는 인격성을 지니게 만들어졌습니다.

오늘날 인간이 하나님의 거록하심과 영광을 드러내지 못하는 것은 타락으로 하나님의 형상에 큰 파괴를 가져왔기 때문입니다.

성도는 그리스도 안에서 중생함으로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습니다(고후 5:17).
이는 죄로 인하여 상실하게 되었던 하나님의 형상을 그리스도 안에서 다시 회복하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존재답게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의를 쫓아 순종 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완전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우리에게 모범을 보여주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를 통하여 보이신 하나님께 대한 순종과 인간에 대한 사랑을 본받아 살아갈 때에 비로소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피조물로서의 사명을 다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께서는 사랑의 새 계명을 주시면서 그 세계명을 지킬 것을 제자들에게 명하셨습니다(참조. 요 13:34).

2. 사람에게 부여된 세상에 대한 통치권

하나님께서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으심은 목적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지으신 모든 피조물의 왕 노릇 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세상 만물의 궁극적인 왕은 하나님이시지만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지으시고 그에게 모든 세상을 다스릴 권한을 부여하셨습니다.
여기서 다스림은 자연을 잘 관리하고 보살피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즉 사람은 다른 것들과 함께 하나님의 피조풀이면서도 독특한 권세를 부여받은 피조물의 왕으로서 하나님과 피조물 간의 중보적 역할을 감당하여야 했던 것입니다.
사람이 지혜를 가지고 세상을 다스릴 때에 하나님의 지혜와 능력을 드러낼 수가 있었습니다.
아담이 모든 동물의 이름을 친히 지어준 것은 이러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사역을 감당한 최초의 일이었습니다.
자녀의 이름을 그 부모 가 지어주듯이 동물들의 이름을 지어줌으로써 아담은 모든 동물의 주인이요 통치자가 되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인류가 죄로 인하여 타락하게 되었을 때에 하나님의 영광을 피조물의 형상으로 바꾸는 질서 파괴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즉 인간은 자신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자연을 다스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을 두려워하고 도리어 그 자연으로 하나님의 형상을 만들어 그 앞에서 절하며 섬김으로써 우상 숭배의 죄를 범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십계명을 주시면서 자연으로 아무런 형상을 만들지도 말고 그 앞에서 섬기지 말 것을 명하셨습니다(참조. 출20: 4).

세상 사람둘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존재의식을 망각하고 헛된 세상의 것들을 섬기고 있지만 성도는 세상을 다스리며 살아가야 합니다.
오늘날에는 나무나 돌앞에 가서 절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지만 대부분 세상의 재물을 하나님으로 섬기고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재물은 하나님께서 인간의 필요를 위하여 주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재물은 사람이 사용하고 다스릴 대상이지 승배할 대상은 아닌 것입니다.
그러나 어리석은 세상 사람들은 배금주의 사상에 물들 어 재물을 사랑하고 섬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수께서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음을 말씀하시면서 인간이 섬겨야 할 대상이 세상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심을 교훈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하나님을 섬김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바로 다스릴 줄 아는 지혜를 소유하여야겠습니다.

3. 사랑의 존재로 지음 받은 인간

하나님께서 자기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지으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어 한 가정을 이루게 하셨습니다.
이는 가정이라는 제도 속에서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가치를 발휘하여야 함을 의미합니다.
아담이 홀로 있을 때에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치 않았음을 성경은 증거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은 홀로가 아니라 서로 간의 사랑의 관계 속에서 하나님의 형상을 완성시켜 나가야 했던 것입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여 주신 남자와 여자가 서로 하나 되어 협력 하여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준행하여 나아감으로써 하나님의 영광을 밝히 드러내어야 했습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심을 인간 사회의 가장 근본적이고 기초가 되는 가정 속에서 증거 하여야 됐던 것입니다.

사단은 사랑으로 이루어져야 할 인간관계를 파괴함으로써 온갖 성범죄와 가정 파탄이 일어나도록 역사하였습니다.

그래서 성도의 생활은 먼저 가정에서부터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여야 합니다.
가정에서 부부 간에 서로 사랑 하고 하나님의 사랑으로 자녀를 양육함으로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의 획복을 이를 수 있는 것입니다.
결혼은 그런 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일인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사랑 은 사회로 확대되어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삶을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들려야 합니다.
이러한 사랑으로 인한 하나님의 형상의 완전한 회복이 이루어지는 곳이 완성된 하나님 나라인 것입니다.

결론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의 존재 가치와 사명에 대하여 교훈을 받았습니다.
성도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된 자로서 하나님을 바로 섬기고 세상을 다스림으로써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역할을 잘 감당하여야 하겠습니다.
또한 모든 삶 가운데서 하나님의 본성을 닮아감으로 하나님의 백성으로 서의 복된 살을 살아가야 하겠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월 6일(월) 오늘의 묵상 주제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비밀은 예수 그리스도라고 하셨습니다.
기독교 신앙의 대상이신 예수님은 하나님의 비밀입니다.
우리들은 하나님의 비밀을 믿습니다.
그렇가면 하나님의 비밀을 정확하고 알고 믿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비밀(골로새서 2:2)


이는 저희로 마음에 위안을 받고 사랑 안에서 연합하여 원만한 이해의 모든 부요에 이르러 하나님의 비밀인 그리스도를 깨닫게 하려 함이라.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년/1225년? ~ 1274년 3월 7일)
“나는 믿기 위해 이해한다”

어거스틴(St. Augustine, 354. 11. 13 ~ 430. 8. 28)
“나는 이해하기 위해 믿는다”


살아있는 교회와 죽어가는 교회
- 스피노스 조디아티 목사

미국에서 풀빛(Pulpit)이라는 잡지를 만드는 스피노스 조디아티 목사는 ‘살아있는 교회와 죽은 교회’와의 차이를 설명했다.

살아 있는 교회는 항상 변화 한다.
죽어 가는 교회는 늘 똑 같다.

살아있는 교회는 아이들의 소리로 늘 시끄럽다.
죽어가는 교회는 죽은 듯이 조용하다.

살아있는 교회는 예산을 초과해서 쓴다.
죽어가는 교회는 은행에 잔고가 많다.

살아있는 교회는 새 얼굴, 이름 알기가 어려워 애를 먹는다.
죽어 가는 교회는 해를 거듭해도 그 얼굴이 그 얼굴이다.

살아있는 교회는 선교 사업이 활발하다.
죽어가는 교회는 교회 안에서만 움직인다.

살아있는 교회는 주는 자로 가득 차고
죽어가는 교회는 티내는 자로 차있다.

살아있는 교회는 배우고 봉사하기 바쁘고
죽어가는 교회는 편안하고 느긋하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지 사업체가 아닙니다.
그것은 생명체이지 조직이 아닙니다.
교회는 생명입니다.
살아있다는 것은 성장을 뜻합니다.
때문에 생명이 있었던 교회는 성장을 계속했습니다.
그런데 교회의 부흥은 숫자가 아니라 사랑의 부흥이고 용서의 부흥입니다.
고여 있는 물이 썩는 것처럼, 변화되지 않는 교회는 병에 걸려 시들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교리적으로 완벽하다 할지라도 가슴은 식어갈 수 있습니다.


살아있는 교회는 믿음 위에 운행되고,
죽어가는 교회는 인간적 판단(sight) 위에 운행된다.

 

파스칼(Blaise Pascal, 1623. 6. 19~1662. 8. 19)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세 종류로 구분합니다.

‘신과 무관한 인생’,
‘신을 탐구하는 인생’,
‘신을 신뢰하는 인생’

신과 무관한 인생을 ‘어리석은 자’라고 하였고,
신을 탐구하는 인생을 ‘불행한 자’,라고 하였으며
신을 신뢰하는 인생을 ‘행복한 자’라고 하였다.

이 시간 나는 어떤 인생인가를 함께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나는 어리석은 자가 아니었는가?
나는 불행한 자가 아니었는가?
나는 행복한 자인가?

행복한 사람은 하나님의 비밀을 하는 사람이라고 하겠습니다.


(도입 이야기)
어느 시골 교회의 터가 넓어서 여러 가지 과실수를 심어 놓았는데, 이른 가을철만 되면 채 익지도 않은 감, 사과들을 몰래 따먹으러 오는 동네 개구쟁이들 때문에 목사님이 크게 골치를 앓았다.  

24시간 내내 지킬 수도 없고 그렇다고 채 익지도 않은 것을 그냥 따먹게 내버려둘 수도 없고 해서, 그 개구쟁이들의 양심에 호소하기로 마음을 먹은 교회목사님이 하루는 다음과 같은 팻말을 만들어 꽂아 놓았다.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다 보고 계십니다."
 
그리고는 그 다음날 목사님이 "이젠 별일 없겠지!" 하고 그곳에 가보았더니 과일은 과일대로 없어졌을 뿐 아니라, 그 팻말 아래 다음과 같은 글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하나님은 비밀을 지켜 주십니다.“

사람마다 자기 중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합니다.

어느 교수가 믿음이 좋다는 학생을 지목하여 질문했다.

"정말 하나님이 모든 것을 창조하셨는가?"

지목을 받은 학생은 확신에 찬 음성으로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교수님"

그러자 교수가 말했다.

"만약 하나님이 모든 것을 창조하셨다면 
악(evil, 惡)도 존재하므로 하나님은 악도 창조하셨겠네! 
그렇다면 우리의 성과가 우리가 누군지를 규정 짓는다는 원리에 근거한다면
하나님은 악이 아닌가?"

교수는 빙그레 웃으며 스스로에게 대단히 만족해하며 자신이 학생들에게
하나님을 믿는 신앙은 미신임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며 으쓱해 했다.
그러자 다른 학생이 손을 들고 말했다.

"교수님께서 질문을 해도 되겠습니까?"

교수는 웃으며 대답했다.

"물론이지."

그 학생이 일어서서 물었다.

"교수님. 추위가 존재합니까?"
교수는 엉뚱하다는 표정으로 되물었다.

"무슨 질문이 그런가? 당연히 추위가 존재하지. 자넨 추운 적 없는가?"

다른 학생들은 이 학생의 뜬금없는 질문에 모두 낄낄거렸다.
학생은 게념치 않고 다시 교수에게 말했다.
"사실은..... 교수님. 추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물리학 법칙에 의하면 우리가 추위라고 간주하는 것은 실상은 '열의 부재'입니다.
누구나 그리고 무엇이든 에너지를 전달할 때 연구 가능한 것입니다.
절대 0도(섭씨 -2730도)는 '열의 완전한 부재' 입니다.
그 온도에서는 모든 것이 반응할 수 없거나 쓸모가 없어지는 것이므로 
추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추위라는 이 단어는 열이 없을 때 
우리가 어떻게 느끼는지를 묘사하기 위해서 인간인 만든 단어인 것입니다." 
학생은 계속해서 말했다.
"교수님. 어두움이 존재합니까?"
웃음기가 사라진 교수는 대답했다.
"물론 존재하지."
학생은 다시 말했다.
" 다시 한번 교수님이 틀렸습니다. '어두움' 역시 존재하지 않습니다.
어두움은 사실상 '빛의 부재'입니다.
우리는 빛을 연구할 수 있지만 어두움은 그렇지 못합니다.
사실 뉴턴이 프리즘을 이용항여 흰 불빛을 여러색으로 나누고, 
각 빛깔의 다양한 파장을 연구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누구도 어두움을 측정할 수는 없습니다.
조그마한 한 줄기 빛으로도 어두움을 깨고 빛을 발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장소가 얼마나 어두운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우리는 빛의 양만을 측정합니다. 이것이 옳지 않습니까?
어두움은 빛의 부재를 묘사하기 위해 인간이 사용하는 용어일 뿐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 학생은 교수에게 마지막으로 물었다.
"교수님. 악이 존재합니까?"
이제 교수는 확신하지 못한채 대답했다.
"물론이지. 이미 말한대로야. 우리는 매일 뉴스를 통해서 보지 않는가?
매일 일상에서 보는 인간의 잔인함이 존재하며
세상 곳곳의 각종 범죄와 폭력에도 존재한다네.
이러한 현상들을 악 이외에 무엇이라 하겠는가?"
이에 학생이 대답했다.
"교수님. 악은 존재하지 않거나 적어도 스스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악은 단순히 '하나님의 부재입니다.
마치 어두움과 추위와 같이 '하나님의 부재'를 묘사하기 위해 인간이 만들어낸
단어일 뿐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악을 창조하지 않으셨습니다.
빛, 열과 같은 믿음, 사랑과 악은 다릅니다.
악은 인간의 마음에 하나님의 사랑이 없을 때 벌어지는 결과입니다.
이것은 마치 열이 없을 때 추위가 오고, 빛이 없을 때 어두움이 오는 것과
같습니다. 교수님이 말씀하신 악이란 하나님의 사랑이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그러므로 하나님은 결코 악을 창조하지 않으셨으며 지고지순한 선하신 하나님이십니다."
이 학생의 하나님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정확한 말에 
교수는 자신의 무지를 깨닫고 흐느끼며 주저 앉고 말았다.
이 당돌한 학생의 이름은....
알버트 아인슈타인이었다.
+
인간의 언어로 어찌 하나님을 규정하고 증명하겠습니까?
하나님은 인간의 증명을 넘어서는 곳에 
존재를 존재케 하는 존재 그 자체이십니다.
피조물은 창조주를 증명하려고 드는 것이 아니라
존재할 수 있음을 찬양할 따름입니다.




장님 다섯 명이 처음으로 코끼리 구경을 갔습니다.
첫째 사람은 코끼리의 배를 만져 보고 ‘코끼리는 바람벽같이 생겼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둘째 사람은 코끼리의 코를 만져 보고 ‘코끼리는 구렁이같이 생겼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셋째 사람은 코끼리의 다리를 안아 보고는 ‘코끼리는 나무통같이 생겼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넷째 사람은 코끼리의 귀를 한참 만져 보고는 ‘코끼리는 부채 같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섯째 사람은 코끼리의 꼬리를 만져 보고는 ‘코끼리는 밧줄과 같이 생겼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도대체 기독교인의 생활이 무엇입니까? 왜 예수를 믿습니까?’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어떻게 대답할 수 있겠습니까?
어떤 사람은 ‘성경을 읽고 믿는 것이지요’라고 할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일 주일에 한 번 교회에 가는 것, 열심히 기도하는 생활 등을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근원적인 것은 우리의 신앙의 근거가 되시는 예수님을 만나고, 예수님을 만남과 동시에 우리의 삶에 근원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입니다.
즉 새로운 눈이 열려서 그리스도의 빛 가운데서, 신앙의 능력 가운데서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세계를 보는 것입니다.




* 기도: 하나님의 비밀한 것을 깨닫게 하소서


조이스 럽이 쓴 ‘느긋하게 걸어라’는 책이 있다.
프랑스 서부에서 스페인까지 가는 산티아고 순례의 길을 적은 책이다.
예순을 앞둔 노 수녀가 오랜 친구 목사와 함께 산티아고 순례길을 걸어가며 
건져 올린 인생의 교훈과 깨달음을 25개의 주제로 정리한 글을 모아 엮은 책이다. 
럽은 800킬로미터의 먼 길을 36일간 걸으며, 
그 길에서 겪은 신산고초의 경험과 그 길에서 만난 
다양한 사람들을 통해 삶의 의미를 돌아보고 재발견한다.
이 책에는 순례자들의 삶과 자세가 드러나고 있다.
순례자들은 걸으며 ‘프리메로 디오스’(Primero Dios)를 늘 생각한다고 한다.
‘하나님을 첫 자리에’라는 뜻이다.
순례자들이 그 힘든 순례의 길을 가는 것은 
하나님을 첫 자리에 두기 위해서라고 한다..

+
사실은 우리가 매일의 삶이 곧 순례요 모험입니다.-
하나님을 첫 자리에 두는 연습입니다.
하나님 제일주의가 우리가 사는 목적입니다.
그것을 잊어버리면 길을 잃고 맙니다.
오늘도 '프리메로 디오스'의 자세로 길을 떠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