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창세기 1:1
태초하나님천지창조하시니라.
בְּרֵאשִׁית בָּרָא אֱלֹהִים אֵת הַשָּׁמַיִם וְאֵת הָאָרֶץ

베레쉬트 바라 엘로힘 엩 핫솨마임 웨엩 하아레츠


태초에(בְּרֵאשִׁית - 베레쉬트)

‘베레쉬트’는 '베'와 ‘레쉬트’의 합성어이다.
'베'는 명사들과 결합하여 그 명사와 관련된 특정한 때를 가리키는 불분리 전치사로서 영어의 ‘IN’에 해당한다.
그리고 레쉬트는 '근원'(2:10), '머리'(3:15), '꼭대기'(왕상 18:42) 등의 의미를 가진 어근 '로쉬'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시작'(10:10),
'근본'(시 111:10),
‘으뜸’(욥 40: 19) 등의 의미를 갖는다.

이처럼 ‘베’ 와 ‘레쉬트’의 합성어인 ‘베레쉬트’는 직역하면 시간이 막 흐르기 시작한,
시간의 시작인 '시초에'라는 뜻이며 인간 역사의 시작을 의미한다. 

'태초에'는 시간의 시작 뿐만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주 공간 자체와 우주 만물의 구성 재료가 될 모든 기본 물질들을
'무'에서 '유'로 한 순간에 생겨나게 하신 ‘때’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요한복음 1:1에도 '태초에'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는 헬라어 '엔 아르케'를 번역한 말로 '영원부터'라는 뜻이다.
요한복음 1:1의 '태초에'인 '엔 아르케'는 시간이 시작되기 이전의 영원한 때를 가리킨다.
창세기 1:1의  '태초에'인 '베레쉬트'는 시간이 시작되었던 때, 즉 영원과 시간의 시작이 접촉되는 때를 가리킨다.   

따라서 두 단어 모두 한글로는 '태초에'로 번역되었지만 그것이 가리키는 근본적인 의미는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정리하면 '태초에'는 하나님이 천지 창조를 개시함으로 시작된 '역사적 시간의 출발점'을 가리킨다.
이는 창세기가 영원 전 사건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우주 및 인류가 탄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시작되는 역사에 관한 서술임을 보여준다.

하나님이(אֱלֹהִים - 엘로힘)

'태초에'는 천지가 언제 창조되었는지를 밝힌 것
'하나님'은 천지를 누가 창조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엘로힘은 ‘권세 있다’, ‘강하다’란 뜻을 가진 '울'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권세 있고 힘 있는 뛰어난'이란 뜻을 가진 '엘로아흐'의 복수형이다.
즉, 엘로힘은 '두려워해야 할 강하고 능력있는 자', '경외해야 할 최고의 존재'라는 의미이다. 

'여호와'란 명칭이 '언약을 지키시는 자', '택한 백성을 구속하는 자'란 의미로 쓰였다면(출 6:3),
'엘로힘'이란 명칭은 성경에서 주로 하나님의 주권과 능력을 강조할 때 쓰였다(출 20:1; 신 6:4; 삼하 22:32).

한편 일부 학자는 '엘로힘'이 '엘로아흐'의 복수형인 점을 들어 이를 다신론적 사상의 반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엘로힘'이라는 단어는 비록 형태는 복수형이나 실질적으로는 단수로 사용되었다.
왜냐하면 이 '엘로힘' 뒤에 나오는 '창조하시니라'란 동사가 단수 형태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님을 '엘로힘'으로 표현한 것은 삼위이시나 일체이신 하나님의 존재 양식에 대한 암시로 볼 수 있다(26절).
그리고 존귀하거나 장엄한 것을 표현할 때 복수형을 쓰는 히브리인의 독특한 관습에 따라 이를 장엄의 복수형으로도 볼 수 있다.

천지를(אֵת הַשָּׁמַיִם וְאֵת הָאָרֶץ - 엩 핫솨마임 웨엩 하아레츠)

창조의 대상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힌다.
히브리어 '엩'는 우리말 '~을', '~를'이고 '핫솨마임'은 복수로 '그 하늘들'이라는 뜻이다.
'그리고'에 해당하는 접속사 '웨'와 '엩'가 결합하여 '웨엩'가 되었고 '하아레츠'는 '그 땅'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이 문장을 직역하면 '그 하늘들을 그리고 그 땅을'이다.

하늘이 복수형으로 표기된 것은 고대 히브리인들의 하늘 개념이 반영된 것이다.
고대 히브리인들은 하늘을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새들이 날아다니는 우리 눈에 보이는 공중인 첫째 하늘
우리들이 살고 있는 땅을 반원형으로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해, 달, 별 등이 붙어 있는 궁창(Firmament)과 그 위에 보관된 엄청난 양의 물로 구성된 둘째 하늘
그 너머의 순수한 영적 존재들인 천사들이 하나님의 영광의 현현을 매일 보며 거하는 셋째 하늘.

이렇게 히브리인들은 하늘이 모두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하늘을 표현할 때에 복수로 표현했다. 

'땅’을 표현하는 ‘아레츠’도 하늘과 대조된 의미에서의 ‘온 땅’ 곧 우리들이 발붙이고 사는 이 '지구' 뿐만 아니라
넓게는 땅 아래의 ‘지하 세계(the Underworld)’까지 가리킨다. 

천지를 만드셨다는 뜻은 문자적으로 하늘과 땅만 만드신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다 만드셨다는 의미이다.
성경에는 ‘해 돋는 데서부터 해 지는 데까지'(시 113:3), ‘단에서 브엘세바까지’(삼하 17 :11) 등과 같이 양 극단을 사용하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것은 그 양극단 뿐만 아니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다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님께서 천지를 만드셨다는 표현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다 창조하셨다는 뜻이다. 


히브리인들의 하늘 개념(그랜드종합주석 p.194)

창조하시니라(בָּרָא - 바라)

창세기 1장 1절에서 '태초에'는 '언제(when)'를, '하나님이'는 '누가(who)' 를, ‘천지를’은 ‘무엇(what)'을, 끝으로 ‘창조하시니라’는 ‘어떻게(how)'를 보여 준다. 

‘창조하시니라’에 해당하는 히브리 원어는 ‘바라’인데 이 단어의 어원은 불명확하다.
그러나 용례상 대략 '자르다(cut)', '새기다 (carve)' 그리고 '낳다' 또는 '출생하다(bear or be born)', 그리고 '먹다(eat)', '양육하다(bring up)', '살이 오르다(get weight)' 등의 뜻으로 쓰였다.

그런데 이 '바라'가 '만들다', '지어 내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에는 오직 하나님과만 관련되어 쓰였다.
그리하여 그 이전과는 자르듯이 완전히 단절된 상태에서 전혀 새로운 것을 만드시고 또 있게 하시는 하나님만의 절대 주권적 행위를 나타낸다(신 4:32; 시 89:12; 사 43:1; 렘 31:22).
따라서 '바라'는 이전에는 전혀 없었던 일을, 이전의  그 어떤 것과도 상관없이 새로이 있게 하는 절대적 창조 행위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창조 활동은 그분의 자유로운 의지에서 기인한 단독 사역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창조 능력은 제한적이거나 부차적이지 않고 완전한 무에서 유에로의 창조를 가능케 하는 새롭고 신비한 성격의 것이다. 또한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존재인 하나님은 모든 피조물의 주인으로서 그 모든 것을 자신의 기쁘신 뜻에 따라 말씀으로 만드셨다(시33:6-9; 렘10:12).

절대적 창조 행위는 만물을 초월하여 자존하시는 절대 주권자이신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인 우리 인간도 우리의 능력을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는 있으나 그것은 과거와의 연속성 안에서, 이미 있는 것을 활용해서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바라'는 '만들다', '지어내다'라는 뜻으로 구약에서 총 44회 쓰였는데, 이 때에는 오직 ‘하나님’을 가리키는 단어와만 짝을 이루어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는 절대적 창조 행위를 가리키고 있다.

창세기 1장 1절의 '창조하시니라' 곧 '바라'는 무에서 유로 광대한 우주 공간은 물론 그 안의 천하 만물을 구성할 재료가 될 모든 기본 물질들을 동시에 존재하게 하신 하나님의 절대적 창조 행위를 가리킨다.



미국 공휴일 및 축제(할로윈 데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5평 원룸 크기 공간서 300명 깔려... 사망자 여기서 다 나왔다

폭 3.2m 좁은 내리막길 골목
넘어지며 수백명 6~7겹 쌓여

20대 이모씨는 “사람들 사이에 뒤엉킨 채 모르는 사람 손을 붙잡고 ‘우리 살아 나가자’라고 말하며 30분을 버텼다”면서 “신고를 할 수도 없을 만큼 팔 하나도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라, 계속 살려달라고 소리를 쳤다”고 했다.
또 다른 이모(25)씨도 “바로 옆에서 몸집이 작고 숨 쉬기가 어렵다며 우는 20대 초반 여성을 봤고, 실신하는 외국인 여성도 있었다”고 했다.

김모(28)씨는 “나는 키가 크니까 숨을 쉴 수 있었는데 키가 작은 여성들은 가슴 부분이 끼어서 숨쉬기가 더 힘들어 보였다”면서 ”끼어 있어서 손을 못 쓰니까 숨 막혀 죽을까 봐 서로 옆 사람의 마스크를 내려주기도 했다.
숨을 쉬려면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해야 되는데 그럴 공간조차 없었다”고 했다.
또 다른 김모(27)씨도 “양옆으로 기절한 사람이 너무 많았고 밀지 말라 소리를 마구 질렀는데도 사람이 많아서 전달도 잘 안 되는 것 같았다”고 했다.

오후 11시쯤 인파를 뚫고 현장에 간신히 도착한 구급대원들이 깔린 사람들을 꺼내며 구조를 시작했다.
하지만 30분 이상 사람들 아래 눌렸던 피해자들은 대부분 의식이 없거나 숨진 상태였던 경우가 많았다.
오후 11시 30분쯤부터는 이태원역 주변 길가에서 구급대원과 경찰, 시민 등 수십명이 길 위에 쓰러진 사람들을 눕혀두고 심폐소생술(CPR)을 하기 시작했다.
모포나 비닐 등으로 얼굴을 가린 시신들이 길가에 놓이기 시작한 것도 그 무렵이다.

30일 오전 1시쯤 열린 소방 브리핑에서 집계된 피해자 수는 사망 2명, 부상 22명으로 총 24명이었다.
그러나 1시간쯤 뒤인 2시 15분 브리핑에서는 사망이 59명으로 늘었다.
부상자도 150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30분 뒤쯤에 열린 브리핑에서는 사망자가 120명으로 늘었고 부상이 100명에 달했다.
오전 4시엔 사망자가 146명, 부상자가 150명으로 늘었다는 발표가 나왔다.
피해자를 구조하고 사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오래 걸렸고,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병원으로 이송되는 사람 중 적지 않은 수가 사망한 탓이었다.

“선 채로 당한 희생자 많다” 증언들... 전문가들이 추정한 사인은

“호흡은 갈비뼈 사이 근육과 횡경막의 ‘흉곽 운동’
그 공간 확보 안 되면 질식… 서나 앉으나 무관”
”인파에 휩쓸렸다면 가장 자리로 가 기둥 잡고 버텨야”

29일 서울 이태원 핼러윈 참사 희생자 상당수는 선 채로 압사(壓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언론은 소방당국을 인용, “희생자들이 밟혀서 압사당한 게 아니라 서 있는 상태에서 짓눌려 압사당했다”고 보도했다. 온라인에도 “선 채로 실신한 사람이 있었다”는 현장 목격담이 올라왔다. 실제로 한 인터넷 방송 운영자가 참사 발생 당시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올린 영상에서는, 한 여성이 선 상태 그대로 사방에서 밀려드는 압력에 고통받으며 비명을 지르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힘을 잃은 듯 늘어지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다.

29                                     TV
29일 밤 서울 이태원에서 압사 사고가 벌어질 당시 현장 상황을 생중계한 영상의 한 장면. 사람들이 사방에서 밀려드는 압력으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오른쪽 맨 아래 모자이크 처리된 여성은 "살려달라"고 비명을 지른 뒤, 맥이 빠진 모습으로 더는 말이 없었다. /아프리카TV

네티즌들은 충격적으로 받아들였다. 믿을 수 없다는 반응도 나왔다. 일반적으로 압사를 생각할 때 ‘넘어져 깔린 상황’을 떠올리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선 채로 압사당하는 것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서중석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은 30일 조선닷컴 통화에서 “사망자 상당수는 ‘압착성 질식사’로 추정되며, 이는 서 있거나 쓰러져 있거나 등 자세와는 무관하게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인간은 갈비뼈와 갈비뼈 사이 근육과 횡경막을 움직여서 호흡을 하는데, 이번 사고 희생자들은 선채 사방에서 밀려든 강력한 압력으로 흉곽운동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숨졌을 것이란 추정이었다.

서 원장은 “물론 부검을 해보기 전엔 단언하기 어렵다. 바닥에 깔린 상태로 충격이 가해져 심장 등 장기 파열이 일어났을 수도 있고, 목뼈가 부러지는 경우도 있을 수는 있다”며 “그러나 당시 상황으로 미뤄봤을 때, 가장 가능성이 높은 사인은 압착성 질식사”라고 했다.

29           1
29일 오후 대규모 압사사고가 벌어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해밀턴호텔 뒷골목의 모습. /뉴스1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도 비슷한 해석을 내놨다. 공 교수는 “서서 껴있는 채로도 압박을 강하게 받을 수 있고, 압사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람이 몸을 가누지 못하는 상황은 최소한 자신의 몸무게의 1.5배 이상 압력이 외부에서 가해졌다는 의미인데, 이번 사고에선 좁은 골목에 한꺼번에 수백명 사람이 몰리면서 그 압력이 급증했다”며 “선채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도 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직장 인증을 통해 운영되는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도 ‘의사’로 인증한 인물이 비슷한 글을 올렸다. 그는 “압사의 주된 사망 원인은 장기파열도 아니고 혈복강도 아닌 단순 호흡부전”이라며 “호흡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호흡근이 이기지 못할 압력으로 눌리면 숨을 못쉬어서 질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공하성 교수는 “가장자리가 그래도 하중이 제일 적은 편이기 때문에 인파에 휩쓸리면 가장자리로 빨리 이동해야 한다”며 “가장자리에 도착했다면 거기서 간판, 벽을 붙잡고 버티는 게 좋다”고 했다.

공 교수는 이어 “넘어지면 그야말로 최악”이라며 “만약 넘어졌다면 빨리 몸을 동그랗게 웅크려 머리와 가슴, 몸을 보호하면서 숨 쉴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태원 사망자 또 늘어 153명... 부상자는 133명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일대에서 발생한 압사 참사로 인한 사망자가 30일 153명으로 늘어났다.

30                     153   24  79   1031
3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압사 사고 현장에 한 시민이 꽃을 놓고 있다. 이태원 압사사고로 발생한 인명피해는 이날 오후 현재 사망 153명이었다.
부상자는 중상 24명, 경상 79명 등으로 총 103명이다./뉴스1

행정안전부와 소방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이태원 핼러윈 참사로 인한 사망자가 153명으로 집계됐다.
앞서 오전 10시에 발표한 사망자 수(151명)보다 2명이 늘었다.
부상자는 중상 37명, 경상 96명 등으로 총 133명이다.

외국인 사망자는 20명, 부상자는 15명으로 외국인 사상자는 총 35명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사망자의 구체적인 국적으로는 중국과 이란,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10월 29일 할로윈 데이 축제를 맞아 서울 이태원에서 일어난 참사

이태원과 관련된
슬프고 아픈 역사에 관한 글을 공유합니다.

이번 참사를 계기로 더 이상의 아픔이
반복되지 않기를 염원하며,
국민 모두 애도와 함께 자숙하는 시간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___________

[슬픈 이태원의 유래]

'이태원'은 한자로 '梨泰院'이라 씁니다.

이태원의 이름은  한자만 3번 변했습니다.
조선 초에는 '오얏나무 李'를 써서  '李泰院'
→임진왜란 이후에 '異胎院'
→효종 이후에는 '梨泰院'으로
글자와 의미가 변합니다.

원래 이태원은 서울을 벗어나 처음 만나는
원(院)이었습니다.

서쪽의 홍제원.
동쪽의 보제원.
남쪽의 이태원과 인덕원은
서울 부근의 중요한 첫번째 원이었습니다.

이태원은 지금의 용산고등학교 자리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이태원의 역사를 살피다 보면
슬픈 이 땅의 역사가 떠오릅니다.

슬픈 역사하면
역시나 조선 시대의 '양대 칠푼이'
선조와 인조가 등장합니다.

아시다시피 임진왜란 때
고니시 유키나카(소서행장)와
가토 기요마사(가등청정) 부대는
경쟁적으로 진격하여
가토 기요마사 부대는 남대문으로
유키나카부대는 동대문으로 입성합니다.

그 결과 이들이 처음 통과한 문이라는
상징성을 바탕으로 조선총독부는
남대문과 동대문을 조선고적 1.2호로 지정했습니다.
결국 이 문들은
오늘날 대한민국 국보 1호와 보물 1호가 되었습니다.
(이런 아픈역사가 있음에도 불에 타버려
졸속 복구한 남대문을 국보 1호라고
전 세계에 자랑하는 나라 꼴이나,
한술 더 떠서 궤변으로 그를 합리화시키는
일부 학자들을 보면 한심스럽습니다.)

한양에 들어온 '가등청정'은
이태원에 주둔을 합니다.

주둔 중에 '가등청정과 부대'는
여자들을 겁탈하기 시작하는데,
대분분의 여자들은 피난을 가버린 상황이라
그 대상은 피난을 가지 못한 여자와
이태원 황학골에 있는 '운정사'의 비구니들이
주대상이었습니다.

천주교 신자이자 반전론자인
상인 출신의 소서행장과
불교신자이자 주전론자인
장수 출신의 가등청정은
일본에서부터 라이벌이었는데,
오히려 불교신자인 가등청정은
여승들을 겁탈하고
운정사까지 불살라 버립니다.
(가등청정 이 놈은 불국사도 불질러 버린 놈입니다.)

문제는 이 비구니들과 여인들이
임신을 하여 아이를 낳게 됩니다.

절이 사라진 상태에서
비구니들의 아이들과
왜놈에게 겁탈당한 부녀자 등이 애를 낳고
기를 보육원을 지어 정착케 하였는데,
당시 왜병들의 피가 많이 섞인 곳이라하여
이태원(異胎圓=다른 민족의 태를 가지고 있는 곳)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후,
임진왜란이 끝나자
일본에 잡혀갔다 돌아온 조선여자와  
왜란 중에 성폭행을 당한 여성과
그들이 낳은 아이들이 사회적 문제로 등장합니다.

선조는 이에 이들과 그 자식들
그리고, 임진왜란 이후 일본으로 돌아가지 못한
포로나 귀화한 일본인들을 한 곳에 몰아서
일종의 이방인 공동체 지역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그곳이 이태원입니다
<출처 : 임하필기(林下筆記) 동국여지비고>

여기에 칠푼이 2호인 인조까지 가세하게 됩니다.
병자호란에 끌려갔던 여인과 그 자식들까지
상당수가 결국은 이곳으로 들어옵니다.

이후,
북벌을 준비하던 효종은 지명이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이곳을 배나무가 많은 곳이라는 이름의 梨泰院이라
고쳐 부르게 하여 오늘날까지 이르렀습니다.

이태원은 우리 역사에서
오랜 기간 '이방인의 땅'으로 인식되기 시작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용산 일대는 군사 관련 시설이 많았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들어 군용지로 이용되면서
조선 주둔 일본군 사령부가 이곳에 머문 이후
이태원은 군사지역으로서 본격적인 정체성을
나타내기 시작합니다.

임오군란을 진압하러 조선에 온 청나라 부대는
1882∼1984년 이태원에 주둔했고,
이후 일본군 조선사령부가 1910∼1945년에
주둔하기 시작합니다.
이때부터 근대식 마을이 본격적으로 형성됩니다.

광복 이후엔 미군이 이곳을 차지했습니다.
6.25전쟁이 끝나고 나서 이태원 상권은
사실상 미군이 주도했습니다.

1957년 미군의 외박과 외출이 허용되면서
기지촌까지 생겨났습니다.
1970년대 미군기지에서 나온 물품들로
상권이 형성된 이태원은
이후 미군을 위한 유흥가로 거듭나
기지촌과 미국식 클럽이 우후죽순 들어섰습니다.

한편으로 정부는 이태원 미군기지 중심으로
서빙고동, 한남동, 동부이촌동 일대에
외국인 전용주택과 아파트는
물론 고급 외국인 주택단지까지 건설합니다.

그러자 1960년대 이후
한국에 들어온 각국의 대사관이
이태원 지역에 대거 입주했고,
그 영향으로 197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고급주택단지도 조성됐습니다

이태원은 1990년대 이후
아프리카인의 유입이 늘면서
현재는 판잣집과 대저택이 공존하는
독특한 경관을 연출합니다

기지촌 단속으로 퇴폐업소가 사라지면서
경리단길과 더블어
한국 속의 외국으로 변화하는 '이태원'

웬지 가까와지지 않는
이방인의 느낌이 드는 도심지 이태원.

그 바탕에는 아픈 역사가 있었습니다.

WSJ “아이들이 사탕 얻는 핼러윈, 한국선 클럽 가는 날 됐다”

각국 외신이 29일 밤 발생한 이태원 압사 사고를 집중 조명 중인 가운데, 한국 내 핼러윈 문화가 변질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9일(현지 시각)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서 벌어진 참사를 자세히 전한 뒤 “한국에서 핼러윈은 아이들이 사탕을 얻으러가는 날이 아니다”라며 “최근 몇 년 간 20대를 중심으로 코스튬을 차려입고 클럽에 가는 행사로 정착됐다”고 전했다.

이어 “이태원 지역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주한미군이 주둔했던 곳으로 세계 각국 요리를 선보이는 바, 클럽, 레스토랑이 즐비한 장소”라며 “사고 전 서울 중심부에 있는 이곳에 약 10만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다”고 했다.

또 “영업시간 제한과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 코로나 관련 규제가 해제된 이후 첫 핼러윈이라는 점 때문에 참여율이 더 높았다”며 “한국의 핼러윈 악몽은 가장 큰 비극 중 하나로 전 세계에서 애도의 뜻을 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축제로 잘 알려진 핼러윈은 고대 켈트족이 새해(11월 1일)에 치르는 사윈(Samhain) 축제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해진다.
켈트족은 이날 사후 세계 경계가 흐릿해지며 악마나 망령이 세상에 나타날 수 있다고 여겼으며, 사자의 혼을 달래고자 모닥불을 피우고 음식을 내놨다.
망령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도록 분장도 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할로윈(Halloween)의 정체 / 10월 31일

글을 시작하면서

매년 10월 31일은 종교개혁의 날이다.
독일의 종교개혁자 루터(Martin Luther, 1484~1546년) 1517년에 독일 비텐베르크대학 교회의 정문에 95개 조항의 반박문을 붙인 것으로 시작으로 종교개혁의 불길이 일어난 날이다.
그러므로 이날은 우리 기독교의 역사에서는 아주 중요한 날이다.
교회에서는 종교개혁자들의 발자취와 역사적 의미를 설교하며 개혁의 정신을 이어가고자 하고 있다.
그런데 오늘날 10월 31일은 종교개혁의 날이기보다는 ‘할로윈 데이(Halloween day)’로 더 많이 알려졌다는 느낌을 받고 있다는 데 있다. 즉 이날이 되면 ‘할로윈 데이(Halloween day)’ 축제로 세상 사람들은 즐기며 지낸다.
그런데 문제는 이날에 일부 교인들마저도 함께 즐기려고 동참한다는 슬픈 소식이 들려지기 때문이다.
귀신 분장을 하며, 호박 등을 들고 마법 모자를 쓰고 아이들이 유치원 등에서 이 귀신의 축제에 동참하는 그리스도인 자녀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물론 영적인 무지 때문일 수도 있으나 그러한 무지에 대해 깨우쳐주지 않는 영적인 지도자들의 책임도 있을 것이라는 자책을 하면서 할로윈에 대한 정체를 알려야 할 필요성을 느끼면서 이 글을 시작한다.

할로윈(Halloween) 용어의 의미

멕시코의 전통명절 중 대표적인 것이 매년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지키는 ‘죽은 자들의 날’이란 것이 있다.
명절 중에 11월 1일‘어린 영혼을 위한 날’이고 2일 ‘어른 영혼을 위한 날’이라 한다.

이 이간에 이 나라 사람들은 집 안에 특별한 제단을 꾸며 죽은 자들을 위한 선물을 올려놓는다.
또 죽은 자의 영혼을 불러들이는 준비과정으로 무덤을 꽃과 선물로 장식한다.
이러한 축제는 죽은 자들이 이승으로 돌아와 사랑하는 사람들 곁에 머문다는 내세관에서 출발하였다.

떠난 이들의 영혼을 기리는 행사로 수 세기 동안 지속되면서 멕시코의 전통 축제로 자리매김한 이 기간에 칼라베라(calavera)라고 불리는 설탕으로 만들어진 해골 모양의 장식을 준비한다.
이것은 매우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으며 이마에는 죽은 사람들의 이름을 적어놓는다.
이러한 명절에 먹는 음식으로는 ‘죽은 자의 빵(pan de muerto)’초콜릿 음료가 대표적이며, 설탕으로 만든 색색깔의 해골 과자를 만들기도 한다.
이렇게 멕시코에서의 ‘죽은 자의 날’이란 귀신과 연관된 날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와 유사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할로윈 데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면 여기에 쓰이는 할로윈(Halloween)이란 단어를 풀어서 쓸 때 첫 단어인 hallow는 고대 앵글로색슨족의 언어로 성인을 뜻한다.
여기에 전야제를 뜻하는 even과 만나 hallow’s even 혹은 hallow’s evening으로 쓰고 있으며, 문자적으로 보면 ‘거룩한 전야’라는 뜻이다. 그리고 정확한 뜻은 만성절 전야제이다.

이것이 한국의 종교용어로 ‘만성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바로 10월 31일은 모든 성인 대축일 전날로,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이승으로 돌아오는 시기로 여겨진다.
그리고 이러한 할로윈(Halloween)이란 ‘모든 성인 대축일 전야제(All Hallows’ Day evening)’의 줄임말이다.

할로윈(Halloween)의 유래

할로윈데이의 기원은 대체로 켈트족의 이교도 풍습과 로마카톨릭 전통의 성인 대축일 전야제가 결합된 혼합 문화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그 유래를 살펴보고자 한다.
‘환락과 유희의 밤’으로 변화된 오늘날의 할로윈은 아일랜드 켈트족의 ‘삼하인’이라 하는 의식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졌다.
삼하인은 죽음의 제왕인 샤먼을 섬기는 신성한 의식이었다.
당시의 사람들은 성인(聖人)의 날 하루 전날인 10월의 마지막 밤을 여기저기에서 온갖 요정들이 세상으로 나오는 날이라고 생각했으며, 인간이 ‘영(靈)의 세계’에 가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날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실상 할로윈 데이는 귀신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됐다.
기원전 500년경 영국과 아일랜드, 프랑스 북서부 지방에 살던 켈트족은 죽은 영혼이 자신의 몸속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귀신 복장을 하고 집안을 차갑게 만들었다.
이들은 열 달을 1년으로 하는 달력을 사용해서 11월 1일은 한 해의 시작이자 겨울이 시작되는 첫날이었다.
당시 한 해의 마지막 날이었던 10월 31일은 저승의 문이 열려 죽은 자의 영혼과 악마들이 이승을 올라와 자신이 머무를 다른 사람을 찾으러 다니는 날이라고 믿었다.
이렇게 할로윈은 고대 브리튼과 아일랜드에 거주했던 켈트족의 문화에서 유래했다.
켈트족은 한 해에 네 번 축제를 열었다.
매년 10월 31일에 열리는 ‘삼하인(Samhain) 축제’가 그중 하나다.
켈트족은 이 축제 때 동물의 머리나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어 분장을 했고, 동물이나 곡식, 사람을 제물로 바쳐 불에 태웠다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삼하인 축제는 로마카톨릭교회가 아일랜드에 전파된 후 6세기 무렵에 로마카톨릭교회에 흡수되었다.
835년경 교황 그레고리오 4세는 모든 성인 대축일을 5월 13일에서 11월 1일로 정식 변경했다.
이후 할로윈은 모든 성인 대축일 전날에 치르는 축제로 굳어졌다.
이렇게 로마카톨릭교회에서 11월은 세상을 떠난 이들의 영혼을 기억하며 기도하는 ‘위령성월’로 전통적인 삼하인 축제와도 연결되는 측면이 있다.
모든 성인 대축일 다음 날인 11월 2일은 ‘위령의 날’로 죽은 이들을 기리며 연옥에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해 기도한다.

이후 1840년대의 대기근을 피해 온 아일랜드계 이주민에 의해서 할로윈은 미국에 전해지게 되었다.
그런데 현재의 할로윈 문화가 정착한 것은 20세기 초반부터다. 이전까지는 미국으로 이주한 소수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출신 이민자들이 벌이는 작은 행사에 불과했다.
1930년대 이후부터는 아이들이 분장하고 집마다 돌아다니며 사탕과 과자를 얻는 풍습도 자리 잡았다.
이렇게 19세기 중반부터 아일랜드 출신의 이민자가 급증하자 전통 축제인 할로윈도 미국 내에서 빠르게 퍼지기 시작하면서 지금은 미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축제가 되어 있다.
이러한 할로윈은 미국 땅에 상륙하여 맘몬(돈의 신)과 결탁한다.
그 이후 할로윈 의상 등 각종 할로윈 상품과 막대한 양의 주류 판매 등으로 거대상권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막을 수 없을 정도로 할로윈 문화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할로윈(Halloween)의 정체

할로윈(Halloween)은 이교적인 풍습이다.

할로윈 데이는 켈트족의 이교도 풍습과 함께 다신교 문화였던 로마를 한 번에 기독교 문화로 바꾸기가 힘들어 점진적인 변화를 위해 로마카톨릭교회에서 채용한 방법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전히 그 축제 속에는 성경적 근거보다는 다신교적 정신이 스며들어 있다. 따라서 성경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이 할로윈 축제는 비성경적이다.
더 나아가 반기독교적인 축제일 뿐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경계하고 단호하게 거부해야 한다.

할로윈(Halloween)은 사탄적인 문화이다.

할로윈의 정점은 바로 귀신 의상을 입고, 귀신 놀이를 하는 것이다.
마귀상, 귀신상, 도깨비 상, 해골상 등 의상으로 변장해서 집집마다 방문하면서 “Trick or treats” 놀이를 한다.
이러한 “트릭 올 트릿”(Trick or Treat!)은 켈트족들이 죽은 조상 영혼들이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방황하며 가을 수확물에 대해 장난(trick)을 일삼으며 저주를 가져다준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들을 저승으로 평안히 보내기 위해서는 술, 음식, 수확한 곡식 등으로 달래주는 일(treat)이 필요한데 이런 의식을 일 년에 한 번 행하는 미신적이고 사탄적인 행위이다.

이렇게 10월 31일에 할로윈(Halloween)을 적극적으로 즐기는 사람들은 기괴한 가면 등의 복장을 하고 있다.
무서운 이빨을 드러낸 모습의 호박 등을 켜고 동네를 누비며 사람을 놀라게 한다.
캔디 구걸 또는 구입을 해 나눠 먹는 관습도 있다.
더 기분을 내느라 아주 섬뜩한(spooky) 장면, 또는 흉갓집(haunted house) 놀이, 공포영화(horror movies) 따위를 즐기기도 한다.
이러한 할로윈은 켈트족의 이교도 풍습이 결합된 사탄적인 것으로 문화라는 광명의 옷을 입고 살며시 사람들에게 스며들고 있다.

옛날 켈트족의 지도자로 동물 희생의 제사장으로 있다가 예수를 믿게 된 탐 생귀네트(Tom Sanguinet)라는 사람은 「할로윈의 어두운 면」(The Dark Side of the Halloween) 이라는 책에서 “할로윈은 사탄이 마음 놓고 활보하는, 사탄이 가장 좋아하는 날”이라고 하였다.

김명도는 할로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할로윈은 어두움과 사단의 소산이다.
어린애들이 재미를 보는 흥겨운 민속놀이가 아닌가?
그게 뭐 그리 대단한가? 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분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겉으로는 어린애들이 놀이를 즐긴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영적으로 애들은 사단의 노예로서 ‘사단 놀이’에 동참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 보면 이는 크리스천으로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임이 틀림없다.”

할로윈(Halloween)은 인신 제사와 관련되어 있다.

할로윈(Halloween)의 기원은 인신(人身) 제사를 지냈던 유럽의 고대 켈트족이 지켜온 이교적 풍습에서 유래한다.
당시 켈트족은 폭력적이고 야만성이 있어서 희생 제사를 바칠 때 사람까지 번제로 바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종교집단이던 드루이드교를 신봉하던 드루이드파들은 검은 옷과 검은 두건 차림으로 횃불을 들고 마을을 돌아다니며 강제로 처녀를 공양받아 사람의 모양으로 지은 목조건물에 가두어두고 불태워 삼하인(Samhain)에게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켈트족들은 마법에 걸린 사후의 인간 영혼은 드루이드가 섬기는 신(神)인 삼하인(Samhain)에 의해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었다.
삼하인은 인간의 죽음과 사후 세계를 관장하는 죽음의 신이었기에 사람들은 당연히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그러므로 이때 드루이드파들은 마을을 방문할 때마다 “(처녀를) 바칠 것인가 아니면 죽을 것인가?”라고 묻고는 처녀를 바치지 않는 마을 전체를 불태워버리는 등 대단히 폭력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켈트족은 정령을 숭배하는 드루이드교를 신봉하였던 그들은 죽은 자의 영혼을 두려워했다고 한다.
무덤 속에서 안식을 누리지 못하는 영혼들이 복수하기 위해서 돌아온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인신 제사를 지냄으로써, 악령으로부터 화를 면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할로윈의 상징은 ‘잭-오-랜턴(Jack-o’Lantern)’으로 불리는 ‘호박 등’이다. 큰 호박의 속을 도려낸 뒤 도깨비 얼굴을 새기고, 그 속에 양초를 켜서 도깨비 눈이 반짝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 호박 등이 바로 ‘잭-오-랜턴’이다. 전설에 의하면 술 잘 먹고, 교활한 잭이라는 사람이 마귀를 속여 골탕 먹인 뒤 죽었다. 앙심을 품은 마귀에 의해 잭의 영혼은 천국도 지옥도 가지 못하고, 아일랜드의 추운 날씨 속에서 암흑 속을 방황하게 되었다. 결국, 추위에 지친 잭은 마귀에게 사정하여 숯을 얻었고, 온기를 유지하기 위해 호박 속을 파내고 이 숯을 넣어 랜턴을 만들었다. 이것이 할로윈을 상징하는 ‘잭-오-랜턴’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인신(人身) 제사를 지내던 고대 이교도의 풍습에 의하면, 이 호박 등에 넣는 기름의 원료는 제물로 희생된 처녀의 몸에서 짜낸 기름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할로윈 때 아이들이 사탕을 얻어내기 위해서 집집마다 떼지어 돌아다니며 외치는 소리도, “제물을 바치지 않으면 화를 당할 것이야!”라고 협박하던 고대의 인신제사 풍습에서 기원한 것이라고 한다.

할로윈(Halloween)에 대한 비판적 견해와 제언

10월 31일은 종교개혁일이다.
이러한 종교개혁일 전인 전야제 행사가 공개적으로 사탄을 찬양하고, 악령들을 초청하는 날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필자에게는 매우 당혹감이 들지만, 현실에서는 오히려 할로윈이 기독교 문화로 포장되어 퍼져감에도 그리스도인들은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에 입장에서 보면 분명 로마카톨릭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종교개혁 기념일인 10월 31일에 귀신과 악마, 좀비 등이 출몰하는 ‘할로윈 데이’는 기독교인들이 즐기기 매우 곤란한 기념일이다.

그런데도 할로윈(Halloween)은 미국이나 한국에서 점점 더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할로윈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도 문제이지만 기독교인들이 할로윈을 하나의 문화로 생각하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본다. 여기에는 할로윈이 재미가 있다고 생각하다 보니 거기에서 어떤 해로운 것도 보지 못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할로윈은 단순한 문화행사가 아니다. 기독교인 시각에서 보면 분명 할로윈(Halloween)은 사탄을 찬양하는 행사이다. 그러므로 멀쩡한 사람들이 마귀로 분장하여 사탄과 놀아나는 것은 철저하게 배격해야 할 사탄문화임을 인식하고 대처해야 한다.

이렇게 문화라는 이유만으로 귀신 분장과 혐오스러운 도구, 소품 등을 활용해 행사를 즐기는 것은 기독교 신앙에 유익이 되지 않는다. 그것은 ‘악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는 일에 불과하거나 사탄을 좋게 만드는 행위이다.

할로윈(Halloween) 데이는 죽음의 영혼들의 모습으로 분장하고 귀신 놀이, 사탄 놀이하는 것은 영적으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여기에 아이들에게 사탕을 안 주면 이 집을 그냥 두지 않겠다는 보복성, 폭력적 심리를 자극할 수 있다. 이것은 재미, 흥미의 놀이가 아니라 아이들에게 욕심을 불러일으키고, 협박에 대한 보상 심리의 쾌감을 얻게 하는 것도 교육적으로 바르지 않다고 정준모는 지적하고 있다.

사탄교 창시자인 안톤 라비(Anton LaVey)는 “나는 크리스천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적어도 1년에 한 번 사탄을 숭배하도록 허락한 것에 대해 기뻐한다”라고 말한 바 있다. 또한 예수의 복음을 영접하기 전 사탄교의 고위 성직자였던 존 라미레즈(John Ramirez)는 할로윈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경고하고 있다.

“우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탄을 숭배하는데 발 빠르게 움직인다. 왜냐하면 그것이 즐겁기 때문이다. 우리는 할로윈 복장을 하며 얼굴에 색칠하고, 심지어 교회까지도 할로윈을 축하하기 위해 호박으로 교회 정문을 장식한다. 이런 행동은 마치 ‘내 교회가 여기 있다. 네가 가져도 좋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존 라미레즈(John Ramirez)는 계속해서 “우리는 사탄의식을 행한다거나 인간 희생의 의식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생각하지만 당신이 할로윈 복장을 하는 순간 사탄이 당신을 소유한다는 사실을 아는가? 그렇게 함으로써 당신은 당신의 법적 권리를 사탄에게 양도하고 당신과 당신의 아이들이 사탄의 휴일을 축하하는 것이다. 당신은 아이들에게 할로윈 복장을 허락함으로써 당신의 아이들을 영적인 희생물로 바치는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러한 할로윈의 가장 큰 위험은 어린이들에게 사탄, 귀신, 그리고 여러 악한 생각을 친구처럼 만들어 버린다는 것에 있다. 그리고 그것을 재미로 즐기는 동안 어린이들은 선과 악에 대한 개념을 혼동하게 한다. 그렇지 않아도 요즘 어린이들은 ‘재미’가 선악의 기준이 되어 버렸다. 재미가 있으면 모든 것이 용납되고 재미가 없으면 아무리 옳은 것이라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부모들은 우리의 자녀들에게 선과 악을 분명히 구별하도록 훈련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고 있다.

또한 정준모는 이러한 할로윈의 정체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

* 할로윈은 일종의 우상 숭배이다.

* 할로윈은 다른 신을 인정하고 혹은 섬기는 행위이다.

* 할로윈은 결국 귀신을 좋게 하고 섬기는 일이다.

* 할로윈은 사탄을 일종 사탄을 섬기는 일이다.

또한 정준모는 할로윈에 대한 성경적 비판과 올바른 방향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 있다.

* 할로윈은 유일신 하나님만을 숭배하는 성경적 진리와 어긋난다. 십계명에 하나님 외 다른 신을 섬기지도 말고, 어떤 형상과 우상을 만들지 말라고 했다. 하나님 절대 신앙을 가진 성도로서 할로윈을 지내는 것을 문화적 행사나 놀이가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영성은 바로 귀신을 섬기고 숭상하는 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 할로윈은 이교적 문화이다. 귀신, 사탄, 우상 숭배의 문화이다. 상업주의, 세속화의 영향이다. 흥미를 유발하는 놀이 행사, 문화 행사가 아니다. 순전한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귀신, 사탄, 해골 흉내를 내는 것은 심각한 영적인 문제요, 교육적 문제이다. 이러한 날을 기점으로 가정적으로 교회적으로 대안적 문화 계발과 행사도 중요하지만, 하나님에 대한 절대 신앙을 교육할 기회로 삼아야 한다.”

* 할로윈 이교 문화에 대하여 수용하고 관용적 입장을 취하는 것은 일종의 종교다원주의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교문화와 기독교 진리와 문화는 마치 석가모니 출생을 기념하기 위해 목사나 신부가 가서 합장하고 축하하는 행위와 같다.

* 이스라엘 민족이 패망한 역사적 현장을 볼 때, 그들은 아침에는 하나님을 찾고 저녁에는 바알과 아세라를 찾는 혼합주의 신앙행태에서 진노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리는 문화라는 탈, 어린아이들의 놀이라는 포용성 때문에 절대 양보할 수 없는 하나님 절대 신앙에 흠결이 생겨서는 안 된다.

* 어떤 한인 교회나 미국 교회에서는 10월 31일 ‘할로윈’(Halloween)을 이날을 ‘홀리윈’(Holyween), ‘추수제’(Harvest Festival), ‘할렐루야 나이트’(Hallelujah Night)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여 가족 중심의 행사로 방향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그것도 신앙적 반사 효과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면에서 할로윈 날에 교회에서 그런 행사를 시도하는 자체가 그날을 인정하는 의미도 있다.

* 이스라엘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쉐마교육을 하였듯이, 이날에 가정에서 혹은 교회에서 특별히 휠로윈의 허구성과 거짓 우상에 대한 성경적 진리를 가르치는 시간이 되어야 하겠다.

이제 여호수아는 출애굽 이후 가나안에 입성한 백성들을 향하여 다음과 같은 말씀을 통하여 분명한 선택을 하라고 경고하였다.

(수24:15)“만일 여호와를 섬기는 것이 너희에게 좋지 않게 보이거든 너희 조상들이 강 저쪽에서 섬기던 신들이든지 또는 너희가 거주하는 땅에 있는 아모리 족속의 신들이든지 너희가 섬길 자를 오늘 택하라 오직 나와 내 집은 여호와를 섬기겠노라 하니”

이제 우리 그리스도인들과 교회는 10월 31일에 대하여 분명히 결단해야 한다. 이날 10월 31일은 종교개혁의 날이다. 그러므로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이날을 귀신과 사탄의 날로 즐기는 할로윈 데이로 지낼 것이 아니다. 중세시대 타락한 로마카톨릭교회의 부패로부터 성경으로 돌아가고자 일어난 종교개혁의 날로 알고 지내야 한다.

하나님을 모르는 세상 사람들은 할로윈을 맞아 즐기며 논다고 해서 교회와 그리스도인이 종교개혁의 날을 뒤로하고 할로윈을 향해 달려간다면 그것은 사탄이 좋아하는 우상을 섬기는 행태가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 그리스도인에게 할로윈은 영적인 싸움에 대상이다. 이에 바울 사도를 통하여 주신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엡6:11-13)“(11)마귀의 간계를 능히 대적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전신 갑주를 입으라 (12)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요 통치자들과 권세들과 이 어둠의 세상 주관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을 상대함이라 (13)그러므로 하나님의 전신 갑주를 취하라 이는 악한 날에 너희가 능히 대적하고 모든 일을 행한 후에 서기 위함이라”

참고문헌

“망자(死者)의 빵”(Pan de muerto - 멕시코 전통명절 “죽은 자들의 날”에 먹는 빵), https://blog.naver.com/myatomgogo/100061017995

“멕시코 죽은 자들의 날”, https://blog.naver.com/ending-note/222029333114

“할로윈 데이(Halloween Day)는 사탄의 날이다.”, http://cafe.daum.net/jrcalvin/LOIV/59

“할로윈, 그리고 모든 성인의 날 만성절”, https://altisimo.tistory.com/54

“할로윈데이 Halloween Day”, http://cafe.daum.net/kcmc91/Pkb8/1163

김명도, “기독교인과 할로윈(Halloween)”, http://cafe.naver.com/solideogloriafaith/1459

김성훈, “할로윈(할로윈)의 정체”, https://cafe.daum.net/kcmc91/Qi6n/60

다음백과, “할로윈 축제”,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42XXXXX00067

다음백과, “할로윈”,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4h3121a

박혜정, “할로윈데이, 크리스천들에게도 ‘축제’일까?”, 「데일리굿뉴스」, 2018. 10. 25.

안석문, “할로윈”, http://cafe.daum.net/kcmc91/Pkb8/1171

우혜란, “할로윈(Halloween) 축제 - 한 수상한 외래 풍속의 한국 정착기”, http://cafe.daum.net/kcmc91/Pkb8/1158

이대웅, “할로윈 데이와 기독교 신앙: Trick or Treat?”, 「크리스천투데이」, 2019. 10. 31.

장길남, “전 사탄숭배자 “크리스천들의 할로윈 축하에 충격”,「뉴스앤넷」, 2017. 10. 7에서 재인용.

정민식, “할로윈(Halloween)을 넘어 ‘할로 윈’(Hallow Win)으로!”, 「기독신문」, 2019. 11. 4.

정준모, “할로윈의 귀신적 세계관 경계해야”, 「뉴스파워」, 2020. 10. 19.

조수경, “그리스도인이 보는 할로윈(Halloween)”, 2008. 10. 26. http://cafe.daum.net/kcmc91/Pkb8/1215

초산나, “할로윈은 마귀 축제 철저하게 배격하라”, http://cafe.daum.net/ilmak/5OwK/811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콜럼버스의 날(Columbus Day)

크리스토퍼 콜럼버스1492년 8월 3일 항해를 시작해 같은 해 10월 12일에 현재의 바하마 제도(諸島)에 있는 산살바도르섬(추정)에 도착함으로써 처음으로 아메리카 대륙에 발을 딛었다. 미국중앙아메리카 일부 국가에서는 이 날을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날이라 하여 매년 10월 12일을 콜럼버스의 날로 정해 기념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10월의 두 번째 월요일을 국경일로 지정해 신대륙 미국의 건국과 번영에 헌신한 이탈리아계(系) 미국인들의 공헌에 감사하고, 이들의 희생을 기리는 행사를 한다.

그러나 베네수엘라를 비롯한 일부 중앙아메리카 국가들은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한 이래 150년 동안 1억 명에 달하던 원주민들이 300만 명으로 줄어들었는데, 이 모두가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상륙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콜럼버스는 인류 역사상 가장 큰 학살을 촉발한 침략자이지 존경할 만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 날을 '원주민 저항의 날'로 바꾸자.'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1]

미국의 기념일

콜럼버스의 날은 1906년콜로라도주의 공식 휴일이었으며 1934년에 연방 휴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미국인들은 콜럼버스의 항해를 식민지 시대부터 기념일로 여겼다.
1792년 뉴욕을 비롯한 미국내 다른 도시에서는 콜럼버스아메리카대륙 상륙 이후 300주년 기념을 자축했다. 1892년 벤자민 해리슨 대통령은 시민들에게 콜럼버스의 날 400주년 기념일을 축하하도록 강조했다.
400주년 기념일에 교사, 성직자, 시인, 정치가들은 콜럼버스의 날 기념일을 통해 사람들에게 애국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애국적 행사는 국가에 대한 충성, 시민권 행사, 사회 발전 축하 등을 위한 방향으로 많이 행해졌다.

19세기 중반 로마 가톨릭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들어오면서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과 같은 이민을 반대하는 단체가 생겨났다. 이민 반대 시위에 대항한 많은 미국 이민자들과 마찬가지로 가톨릭 이민자들은 이민에 대한 차별에 대항 할 수 있도록 조직을 형성하였으며 반이민 시위에 투쟁하는 동료 이민자들을 지원했다. 조직명은 콜럼버스 기사단(Knights of Columbus)이었다. 이러한 이름을 선택하게 된 동기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가톨릭 신자였고 이민자의 시민권을 상징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당.

일부 이탈리아계 미국인은 1866년 10월 12일 뉴욕시에서 콜럼버스의 날을 축제일이라고 주장하였다.처음에 콜럼비아의 날은 덴버(Davner)에서 이탈리아계 이민자 1세 안젤로 노스(Angelo Noce)의 로비 활동을 통해 미국의 공휴일로 유명해졌다. 1905년 콜럼버스의 날은 맥도날드 제시(Jesse F. McDonald) 콜로라도 주지사의 공식 선언으로 공휴일로 지정되었고 1907년에는 토요일 또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샌프란시스코(San Fransico)는 1869년부터 이탈리안계 미국인 들이 기념해왔고 콜럼버스의 날에 대해 두 번째로 기 역사를 갖고 있다. 1934년 콜럼버스 기사단(Knights of Columbus), 민중, 루즈벨트 대통령의 로비 활동을 계기로 같은 해 10월 12일 '콜럼버스의 날'이란 명칭으로 공식 연방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1971년부터 콜럼버스의 날은 10월 둘째 주 월요일로 변경이 되었으며 우연히 캐나다추수 감사절과 같은 날이 되었다. 현재 은행, 채권 시장, 우체국, 연방 조직, 대부분의 정부 사무실, 학교는 콜럼버스의 날에 쉰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기업 및 증권 거래소는 쉬지 않으며 미국내 몇몇 주는 공휴일로 준수 하지 않고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성서고고학 자료 모음



역사를 증언하는 최초의 고고학 발굴 

https://m.cafe.daum.net/kphpi21/HoLI/647

19세기 초만 해도 사람들은 땅 속을 파헤쳐 옛 유물을 찾는다는 생각을 미처 못했다. 19세기 중엽에 이르러서야 고고학자들이 옛 문헌에 비추어 심증이 가는 지역의 땅 속을 파보기 시작했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이렇게 성서에서 실마리를 찾으려는 고고학자들 덕분에 발견됐다.  

1840년 모술에 프랑스 영사관이 들어섰다. 영사로 폴 에밀 보타가 취임했다. 지금은 이라크 땅이 된 모술은 당시 교통의 요지였다. 모술 강 건너 마을에 높다란 둔덕들이 띄엄띄엄 있었다. 보타는 저녁마다 말을 타고 둔덕들을 둘러보며 집집마다 점토판이나 골동품을 수소문했다. 

이미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7년 동안 외교관으로 근무하며 고대 유적에 익숙해진 보타는 모술 시장에서 골동품들을 사들였다. 그의 목적은 유물의 출처를 알아낸 후 유적지 자체를 발굴하는 것이었다. 

예언자 요나의 무덤 사원이 있는 네비 유누스 언덕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이 많은 골동품을 캐내고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보타는 그곳을 발굴하려 했다. 하지만 예언자의 신성을 훼손시킨다는 이유로 마을 사람들의 반대에 부딪쳤다. 보타는 할 수 없이 그곳에서 약간 떨어진 퀸지크(양떼) 언덕을 파 보기로 했다.

 

그는 본디 의사였다. 고고학자가 아니었다. 그런데도 둔덕을 파 보려는 까닭은, 부친이 역사학자로 평소 역사에 관심이 많았던 차에 독일인 아시아학자 줄리우스 몰이 부탁한 말 때문이었다. “대영박물관에 가면 메소포타미아 벽돌들이 전시되어 있는데, 쐐기모양 문자가 새겨져 있소. 아마도 수천 년 간 땅 속에 묻혀 있는 엄청난 문명을 풀 실마리가 될 겁니다. 그러니 모술에 가거든 쐐기문자가 새겨진 벽돌을 찾아보고 가능하면 거기 널린 둔덕들을 파보시오. 아시리아의 수도 니네베가 거기 묻혀 있을지도 모릅니다.”

 

보타는 일꾼을 모아 둔덕을 1년 가까이 팠으나 아무 것도 나오지 않았다. 비록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할 만한 보물들을 찾아낼 수 없어서 실망스러웠다. 하지만 1842년의 니느웨 발굴은 메소포타미아 고고학의 첫 페이지를 장식하는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모술에서 16㎞ 떨어진 코르사바드에서 사람이 찾아왔다. “우리 마을에는 당신이 찾고 있는 점토판들이 얼마든지 있습니다.” 보타는 일꾼 두세 명을 딸려 보냈다. 1주일쯤 지나 일꾼 한 사람이 헐레벌떡 돌아왔다. “삽질을 하자마자 벽이 나타났는데 이상한 그림들이 새겨져 있더군요.” 보타는 허겁지겁 말에 뛰어올라 그곳으로 달렸다.

 

 

* 최초의 발굴품, 사람 얼굴에 날개 달린 짐승

  

 

 

 

 

몇 시간 뒤 그는 그 때까지 누구도 본 적이 없는 유물들을 캐냈다. 턱수염이 무성한 사람 얼굴에 날개 달린 짐승의 몸뚱이였다. 그것은 이집트에서도 보지 못한 새로운 조각 예술이었다. 보타의 가슴은 터질 듯했다. 그리고 발굴현장에 쪼그리고 앉아 조각품들을 모사했다. 너무도 생소한 것이었다. 

      

 

며칠 후 탐사대 전체를 코르사바드로 불렀다. 성벽이 드러났다. 땅을 팔 때마다 새로운 성벽이 나타났다. 마침내 보타는 고대 아시리아 왕궁 가운에 하나를 발견했다고 확신했다. 그는 이 사실을 얼른 파리로 알렸다. 1843년 5월24일이었다. 신문에 아시리아 유적이 발견됐다고 대서특필되었다. 현대 고고학 발굴의 효시가 된 에밀 보타의 ‘땅 파기’에 프랑스는 열광했다.

   

*  전설을 역사의 세계로 끌어내다

 

      

  (백향목이라 불리는 레바논 삼나무를 배로 운반하고 있는 수메르인들) 

 

 

 

그 무렵 이집트가 인류의 발상지라고 알려져 있었다. 에덴동산은 다만 전설일 뿐이었다. 성경에 무려 152차례나 언급된 아시리아 제국 또한 전설에 지나지 않았다. ‘니네베’라는 말은 성경에 20군데, ‘아시리아’라는 말은 132군데나 나온다. 그런데 그 아시리아가 정말 있었다. 메소포타미아에 이집트보다 더 오래된 문명이 있었다. 학자들은 긴장했고, 기독교 신자들은 흥분했다. 

 

* 니네베 근교의 여름궁전

 

           (제사장과 사르곤 2세, 루브르 박물관)

 

프랑스 정부는 거금 14만 프랑을 모아 보내면서 발굴한 유물을 스케치할 화가까지 딸려 보냈다. 아직 사진기가 없을 때였다. 힘을 얻은 보타는 1843년부터 4년 동안 메마른 날씨와 말라리아에 시달리며 발굴에 모든 힘을 쏟았다. 보타가 코르사바드에서 찾아낸 것은 기원전 709년 니네베 근교에 세워진 여름 궁전이었다. 성벽이 잇따라 나오고, 방과 정원들이 속속 모습을 드러냈다. 돌을 깎아 만든 사람이나 짐승 모습의 ‘조상(彫像)’과 편평한 돌 따위에 어떤 모양을 반입체적으로 돋을새김 한 ‘부조(浮彫)’들도 쏟아져 나왔다.

 

* 거대 도시가 5년 만에 건설되다

 

           (사르곤 왕의 청동 두상)

 

이 도시는 기원전 8세기 아시리아 제국의 왕 사르곤 2세가 통치할 때의 수도였다. 도시 중심의 거대한 왕궁으로 700개의 방이 안뜰을 둘러싸고 있는 궁전이었다. 여기 궁전 도서관에서 약 2만 여 개의 고문서를 발견함으로써 아시리아학이 탄생하였다. 왕궁 벽에는 수렵과 전쟁 모습이 채색타일로 묘사되어 있었다. 그리고 거대한 부조로 장식된 성벽의 길이만 사방 1.6 킬로미터에 달하였다. 놀라운 것은 이런 거대 도시가 5년 만에 건설되었다는 사실이다. 3천 년 전 나라가 그토록 짧은 기간에 거대 도시를 완성할 만한 국력을 가졌던 것이다.

 

* 급류가 삼켜버린 인류 유산들

 

           (축복하는 지니 신)

 

보타는 30여 톤에 달하는 거상을 4 조각으로 나누어 뗏목에 실었다. 그런데 뗏목이 티그리스 강 급류에 휘말려 가라앉고 말았다. 어둠 속에서 수천 년 만에 부활한 아시리아의 석조 신과 왕들은 또다시 현실세계로부터 사라졌다. 그러나 보타는 낙심하지 않았다. 새로운 배를 띄워 더 많은 유물을 파리로 실어 보냈다. 2500년 전 역사에서 사라졌던 대제국의 자취들은 이렇게 해서 루브르박물관에 자리 잡게 되었다.

 

보타는 1843년부터 4년 동안 발굴에 힘을 쏟았는데 이 유적지의 발굴은 후임자 빅토르 플라스(1858~65)와 미국의 시카고대학 탐험대(1928~35)에 의해 계속되었다. 성곽의 훌륭한 부조, 상아 조각품, 거대한 날개달린 황소상들이 발견되었지만, 가장 귀중한 발견은 BC 1700년경부터 BC 11세기 중반 무렵까지의 아시리아 왕들에 관한 기록인 '아시리아 왕 명부'이다. 보타의 후임인 빅토르 플라스는 톱질을 하지는 않았지만 강에서 마주치는 재앙을 피해 갈 수는 없었다. 1856년 루브르에 도착한 유물은 이때도 수백 점 가운데 불과 26점 만이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난해(2020년) 성서고고학 '10가지 유적' 발굴 쾌거
- 사해사본 진위, 므낫세, 오므리, 4대 족장, 라오디게아 교회 등 유적 발굴


2021년 1월 15일 크리채니티투데이는 2020년도에 성서 역사에 나타난 10가지 고고학적 위대한 발굴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발굴의 위대한 순서는 10위부터 1위까지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10. 아시리아 신 조각

이탈리아와 쿠르드 고고학자들은 신성한 동물의 등에 서 있는 아시리아 왕과 일곱 아시리아 신을 묘사한 15피트 바위 조각을 발견했다. 이 작품은 이라크 북부 쿠르드 지역의 운하를 따라 절벽에 부조로 조각되었다. 왕은 기원전 722년에서 705년까지 통치하고 이스라엘 북부 왕국을 정복한 사르곤 2세로 여겨진다(왕하17 : 6). 발굴된 운하는 사르곤 2세의 노예가 된 이스라엘 사람들이 파낸 것으로 여겨진다.

9. 단단한 바위 위에 지어진 교회 유적

이스라엘 북부의 바니아스를 발굴한 것으로 일반적인 관행처럼 다른 신의 성지 꼭대기에 지어진 4세기 교회의 유적이다. 바니아스는 판 신의 숭배의 중심지였으며, 이 신사는 그리스 신을 숭배하기 위한 곳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어떤 고고학자는 이곳을 4세기의 기독교인들은 베드로가 예수님에게 “주는 그리스도입니다”라고 고백하였고, 예수님께서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것이다”(마태복음 16: 13-19)라고 말씀하신 빌립보로 추측하기도 한다. 폐허의 한 돌에는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공식 종교가 된 직후 교회를 방문한 순례자들이 남긴 십자가 표시가 되어 있다.

8. 다윗 왕과 동맹을 맺은 요새

고고학자들은 기원전 1,000년경 다윗 왕의 통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골란 고원에서 요새화된 건물을 발견했다. 요새의 큰 현무암 돌에는 팔을 뻗은 두 개의 뿔이 있는 인물이 새겨 져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 건물이 다윗 왕의 동맹인 게슈르 왕국의 전초 기지라고 추측하였다. 압살롬의 어머니인 다윗의 아내 마아가는 바로 이 지역인 그술왕의 딸이었다.

7. 성스러운 연기 잔류물(4대 족장들의 제단)

기원전 8세기 제단의 불에 탄 표면에 있는 유기물에 대한 새로운 테스트에서 마리화나의 잔류 물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대마초가 고대 이스라엘의 모든 형태의 숭배와 관련이 있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마리화나 의식 사용과 관련이 있다는 최초의 증거이다. 제단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하나님께 제사드린 곳이다.

아라드 사막 요새에ㅍ있는 예배당은 1960년대에 처음 발굴되었다. 반세기 전에 실시된 테스트로는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그러나 작년에 새로운 장비와 기술을 사용하여 새로운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현장의 두 번째 제단에는 유향의 흔적이 있었다.

6. 예루살렘에 버금가는 성전

텔아비브 대학 고고학자들은 예루살렘 근처의 이스라엘 1번 고속도로를 재건하는 동안 발견된 사원이 기원전 900년경에 지어졌다고 추정한다. 모차 사원의 크기는 솔로몬이 반세기 전에 지은 사원과 비슷하고 동쪽으로 불과 5마일 떨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예루살렘 성전에 버금가는 이 사원은 이스라엘 사람들을 이집트에서 이끌어낸 하나님을 숭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것 같다고 추정한다.

5. 가나안의 신들

이스라엘의 고고학자 요세프 가르핀켈은 기원전 12세기부터 가나안 사원의 폐허를 발견했다.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구약 도시 중 하나인 라기 쉬에 위치한 발굴 현장은 보석을 포함하여 가나안 숭배에 사용된 유물(단검, 청동 조각상) 등을 발굴했다.

특히, 이곳 사원전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은 은으로 코팅된 청동 홀이다. Garfinkel은 가나안의 신 바알의 인간 크기의 동상이 그것을 가지고 있다고 추측된다. 동상 자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고대 가나안 신의 큰 동상은 발굴하기는 매우 드문 현상이다.

4. 잘 보존된 오므리와 아합 궁전

현대 도시 아풀라 외곽의 이즈르엘 계곡에서 도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고고학자들은 오므리와 아합과 같은 이스라엘 왕을 섬기는 왕실 단지를 발견했다. 이 단지는 아합왕의 또 다른 궁전이 있는 텔 이즈르엘에서 불과 6km 떨어져 있었다. 그들이 발견한 커다란 기둥 건물은 “이스라엘에서 발견된 가장 잘 보존된 오므리 가문 건물”라고 했다. 현장에서 발견된 저장 용기는 중앙 집중식 식품 유통 시스템으로 추측하고 있다.

3. 라오디게아에 한 집에 교회

터키 고고학자 Celal Şimşek은 라오디게아의 한 집을 발굴하면서 기독교 숭배에 사용되는 신성한 물건을 발견했다. 중앙 정원이나 안뜰 주변에 지어진 페리 스타일 하우스는 극장 옆에 있었으며 부유한 사람들이 소유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사도 바울은 라오디게아에 있는 교회에 서신을 보냈는데, 이는 골로새서에 언급되었지만 잃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이 교회는 또한 요한계시록에 예수님께서 “네가 말하기를 나는 부자라 부요하여 부족한 것이 없다 하나 네 곤고한 것과 가련한 것과 가난한 것과 눈 먼 것과 벌거벗은 것을 알지 못하는도다”(계 3장 17절)라고 말씀하신 곳과 연관이 있다.

심섹은 그가 발굴한 종교적 항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교회가 있는 집은 학자들이 “1 세기 중반부터 라오디게아에서 기독교가 전파된 방법”에 대한 잘 이해하게 될 소중한 유물이라고 결론지었다.

2. 성경 사본 및 유물의 진위 여부 확인 및 발견(사해 두루마리 파편은 가짜 판명)

성서 고고학자들이 겪고 있는 한 가지 문제는 그들이 개인적으로 발굴하지 않은 유물, 즉 유물 시장에서 판매되는 품목의 진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2020년도는 최첨단 기술이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사례를 보았다. 한때 모조품으로 여겨졌던 점토 물범 인상은 진품인 것으로 나타 났으며, 한때 진짜라고 믿었던 사해 두루마리의 파편은 가짜로 밝혀졌다.

Ben Gurion 대학의 Yuval Goren 교수와 그의 팀은 포효하는 사자를 묘사한 "불라" 또는 점토 물개 상이 기원전 788-748 년에 통치했던 여로보암 2세의 통치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추측했다.

또한, 예술 위조 탐사 전문 회사는 성경 박물관 컬렉션에 있는 사해 두루마리 조각 16개가 모두 현대 위조품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70개 이상의 다른 가능성 위조 조각 2002년 이후 복음주의 수집가에게 제공되었다고 보고있다.

1. 므낫세 통치의 유적

왕하 21장의 통치자인 므낫세 왕에게 속한 궁전 유적의 발견을 발굴했다. 이 유적은 남쪽에서 템플 마운트와 예루살렘 구시가지를 내려다보는 아르몬 하나 치브 산책로에 위치해 있다. “원시적인” 석조물은 첫 번째 사원 시대의 왕실 건물과 관련이 있다. 그 구조는 그의 아버지 히스기야 왕으로부터 남쪽 왕국을 점령한 므낫세의 55년 통치로 거슬러 올라간다.

새로 지어진 미국 대사관 근처에서 몇 블록 떨어진 고고학자들은 대형 창고의 잔해도 발견했다. 중앙 집중식 식량 유통 시설로 여겨지며 아마도 농업 잉여 저장고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0년 전 고고학자들은 라 마트 레이첼 근처에 있는 궁전과 행정 센터의 유적을 발견하였다. 그런데 2020년의 발굴 보고서와 새로운 발굴 보고서를 통해 학자들은 베들레헴으로 가는 길을 따라 이 지역이 유다 왕국의 후대 통치자들의 주요 활동 중심지였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뉴스파워 해설*

2020년 성서 고고학자들의 노력으로 위대한 발굴의 쾌거를 이룬 한 해였다. 특별히, 구약 성경의 중요한 유물의 발굴과 신약 계시록의 7교회 중 한 곳이 라오디게 교회의 발굴로 성경의 기록이 역사적 사실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해 주었다.
살아계신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된 하나님 말씀의 놀라운 구원역사와 그 위대성에 다시 한번 놀라움과 찬사를 드릴 수 밖에 없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하나님의 산 호렙



하나님의 산 호렙

성경 기록에 의하면 호렙산은 종종 언약의 산으로서, 십계명을 부여받았던 시내산과 혼용되고 있다.
즉 성경은 두 산의 지리적 구별을 엄밀히 하고 있지 않다.
이런 견지에서 두 산의 관계에 대한 몇몇 견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의 총칭은 호렙인데 특별히 정상 부분만을 일컬어 '시내'라 한다.
2. 한 산에 두 봉우리가 있어 하나는 호렙이고 다른 하나는 시내이다.
3. 두 산은 동일한 산으로서 두 가지 이름을 갖는다.

이처럼 각 견해를 종합해 보더라도 두 산의 관계를 엄밀히 구분하기란 어렵다.

한편 유대 전승에 의하면 오늘날 호렙(시내)산은 시내 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해발 2, 291m의 '예벧 무사'(jebel Musa, 모세의산)에 해당한다고 전한다.

그런데 이곳을 특별히 하나님의 산이라고 명명한 것은 혹자의 주장처럼 이곳에 '이드르'의 신전이 있었기 때문(pulpit commentary)도 아니고, 그 이전부터 거룩한 곳으로서 그렇게 불려왔기 때문(Knobel)도 아니다.

그것은 출애굽 직전 모세가 이 산 정상에서 하나님께로부터 거룩한 소명을 부여받았기 때문이고, 나아가 출애굽 직후에 하나님께서 이 산에 현현하사 언약의 증표로 율법을 수여했기 때문이다(Keil).

따라서 이 산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만나시기 위해 자신을 드러내신 현현의 장소로 간주되어 이스라엘 백성에게 거룩한 산으로 성별되어 영영히 기억되었던 것이다.


주여 삼창으로 기도하는 성경적 근거


주여 삼창으로 시작하는 기도 / 성경적 근거

우리들은 간절히 기도할때 “주여” 삼창을 부르짖습니다.
그런데 성경에 있을까요?
성경에는 분명히 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니엘 9:19
주여 들으소서 주여 용서하소서 주여 귀를 기울이시고 행하소서 지체하지 마옵소서 나의 하나님이여 주 자신을 위하여 하시옵소서 이는 주의 성과 주의 백성이 주의 이름으로 일컫는 바 됨이니이다.
O Lord, listen! O Lord, forgive! O Lord, hear and act! For your sake, O my God, do not delay, because your city and your people bear your Name.


“주여” 들으소서,
“주여” 용서하소서,
“주여”들으시고 행하소서 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다니엘이 황폐한 상황을 하나님께 아뢰며
자기의 기도를 들어 달아고 간청할때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첫번째 “주여”는 나의 기도를 들어 달라고 강청하는 “주여”입니다.

두번째 “주여”는 우리의 죄를 용서해 달라고 부르짖는 “주여”입니다.

세번째 “주여”는 나의 기도를 들으시고 주님께서 속히 행동으로 옮겨 달라고 부르짖는 “주여”입니다.

우리가 기도할때 아무런 생각없이
“주여”라고 삼창을 부르짖기 보다는
“들으시고”, “용서하시고”, “행하시 옵소서”라는 간절한 마음을 담아서 “주여” 삼창을 부르짖으면 은혜가 더 충만할 것이며 응답을 기다리는 마음이 더욱 간절하겠습니다.

자료 사용 / 11-27-200(주일) 파트리스교회 주보 칼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여 삼창과 엄마 삼창, 글 김문수


제가 어릴 때 다니던 교회는 예배 분위기가 항상 엄숙하고 조용하며 질서가 있었습니다.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러 나아갈 때에는 항상 깨끗하고 단정한 모습을 해야 한다고 배웠기에, 다들 마음 뿐만
아니라 차림새에도 신경을 많이 썼습니다. 깨끗한 옷, 단정한 머리 모양, 바른 자세는 기본이었고, 아무리
날씨가 더워도 슬리퍼, 초미니스커트, 민소매 옷은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예배 음악을 위해서는 피아노와 오르간만 쓸 수 있었고, 드럼, 기타, 신디싸이저 등은 쓸 수 없었습니다.
회중들이 다 모여서 드리는 공적인 예배시간에는 손뼉을 치면서 찬양하는 것이나 옆사람에게 들릴 정도로
큰 소리로 기도하는 것도 금했습니다.

그러다가 고등학생 시절에 새로 전도사님 한 분이 오셨는데, 그 분과 학생회 수련회에 가서 처음으로 목소리를
높여 크게 외치며 기도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 분은 목소리를 높여서 통성으로 기도를 시작할 때에는 항상
"주여! 주여! 주여~" 라고 주를 크게 세 번 부르고 기도하도록 가르쳤습니다. 그 때에는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별로 생각해 보지도 않고, 그래야 하나보다 생각하고 그대로 따라했습니다. 그 후, 부흥회나 수련회와
같이 교회에서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에는 그렇게 "주여 삼창"을 하면서 기도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왜 기도할 때 "주여 삼창"을 해야 하는지, 이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이해를 못했고,
"주여 삼창"을 가르치는 분들에게 물어봐도 선명한 대답을 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 분들의 답변이라는 게
대부분 "크게 외쳐야 하나님이 잘 들어주신다"는 정도였으니까요.
성경에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나 그 분의 사도들이 혹은 구약시대 믿음의 선배들이 기도하기 전에,
"주여 삼창"을 했다는 기록이 전혀 없습니다. 도대체 한국 교회에만 있는 이 "주여 삼창"이라는 것은
어떤 배경에서 등장한 것인지, 또 이렇게 기도하는 것이 과연 성경의 가르침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1. "주여 삼창"을 가르치는 자들의 주장
"주여 삼창"이란, 기도를 시작하기 전에 "주여! 주여! 주여~" 하고 세 번 외치는 것을 말합니다. 본래
창(唱)이란 "노래하다"라는 뜻이기 때문에, 이 경우 삼창이라고 하기보다는 "연호(連呼): 구호를 연이어 외침"
라고 하는 것이 맞겠지만, 이 글에서는 현재 통용되는 용어 그대로 "주여 삼창"이라고 쓰겠습니다.
"주여 삼창"을 가르치는 자들은 그 근거를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들고 있습니다.
첫째는, 하나님이 삼위일체이시기 때문에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 이렇게 세 분을 부르는 것이라고 합니다.
둘째는, 다니엘 9장 19절을 근거로 이것이 성경적 근거가 있다고 합니다.
(단 9:19, 킹흠정) 오 주여, 들으소서. 오 주여, 용서하소서. 오 주여, 귀를 기울이시고 행하소서. 오 내 하나님이여,
주를 위하여 지체하지 마옵소서. 주의 도시와 주의 백성이 주의 이름으로 불리나이다.
또한 "주여 삼창"을 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목소리를 높여 부르짖을 때 하나님께서 응답하시며(렘 33:3),
크게 외쳐서 우리의 답답하고 억울한 마음을 하나님 앞에 있는 그대로 쏟아놓아야 한다는 등의 이유를
들기도 합니다.
이런 주장들이 과연 성경의 가르침과 일치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기도할 때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을 각각 한 번씩 불러야 하는가?
성경에는 우리가 기도할 때에 성삼위 하나님을 각각 따로 부르고 기도하라는 가르침이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오늘날 신비주의자, 은사주의자들은 "성령이여~ 성령이여~" 하고 성령께 기도하고, 성령께 영광을 돌리기도
하지만 이는 성경의 가르침과는 거리가 멉니다(요 16:14). 성경 어디에도 성도들이 "성령님께" 기도한 사례가
없습니다. 성령은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며 우리를 위해 친히 중보하시는 분입니다.
(롬 8:26, 킹흠정) 이와 같이 성령께서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성령께서 말로 할 수 없는 신음으로 친히 우리를 위해 중보하시느니라.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기도를 가르치시면서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하라고 하셨습니다.
(마 6:6, 킹흠정) 오직 너는 기도할 때에 네 골방으로 들어가 네 문을 닫고 은밀한 중에 계시는 네 아버지께
기도하라. 그리하면 은밀한 중에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네게 드러나게 갚아 주시리라.

(요 15:16, 킹흠정) 너희가 나를 택하지 아니하고 내가 너희를 택하여 세웠나니 이것은 너희가 가서 열매를
맺게 하고 또 너희 열매가 남아 있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가 내 이름으로 아버지께 무엇을
구하든지 그분께서 그것을 너희에게 주게 하려 함이라.
(요 16:23, 킹흠정) 그 날에는 너희가 아무것도 내게 구하지 아니하리라. 진실로 진실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무엇이든지 내 이름으로 아버지께 구하면 그분께서 그것을 너희에게 주시리라.
그러므로, 기도할 때에 삼위일체 하나님을 각각 불러서 기도해야 한다는 것은 성경 말씀에 비추어 볼 때
옳지 않습니다. 우리는 중보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의지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하는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성경에는 "주 너의 하나님", "주 예수 그리스도" 라는 표현은 있지만, 성령님을 가리켜서
주님이라고 부른 예는 없습니다.

둘째로, 다니엘 9:19은 "주여 삼창"의 근거가 될 수 있는가?
다니엘 9:19을 그 앞에 나오는 17, 18절과 같이 비교해 보면, 그들의 주장과는 달리 다니엘은 "주여"를
세 번 연호한 적이 없습니다.
(단 9:17-19, 킹흠정) [17] 오 우리 하나님이여, 그러하온즉 이제 주의 종의 기도와 그의 간구를 들으시고
주를 위하여 주의 얼굴이 황폐한 주의 성소에 빛을 비추게 하옵소서.
[18] 오 나의 하나님이여, 주의 귀를 기울여 들으시며 주의 눈을 여사 우리의 황폐함과
주의 이름으로 불리는 도시를 보시옵소서. 우리가 우리의 의로 인하여 주 앞에서 우리의
간구를 드리지 아니하고 주의 크신 긍휼로 인하여 간구를 드리나이다.
[19] 오 주여, 들으소서. 오 주여, 용서하소서. 오 주여, 귀를 기울이시고 행하소서. 오 내
하나님이여, 주를 위하여 지체하지 마옵소서. 주의 도시와 주의 백성이 주의 이름으로 불리나이다.
다니엘 9:19에 나오는 "오 주여, 들으소서" 이것은 그 자체가 하나의 기도이지 "주여"라는 구호가 아닙니다.
이는 9:17에 나오는 "주의 종의 기도와 간구를 들으소서"라는 내용의 기도입니다. "오 주여, 용서하소서"
이것 역시 그 자체가 하나의 기도입니다. 이는 18절에 나오는 "주의 긍휼로 인하여 간구하오니 그 긍휼로
우리를 용서하소서"라고 용서를 비는 기도입니다. "오 주여, 귀를 기울이시고 행하소서"라는 것도
19절 후반부에 기록된 바와 같이 "주의 도시와 주의 백성이 주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니 주님 자신을 위하여
이 일을 지체하지 말고 행하소서"라고 하는 기도입니다.
따라서, 다니엘 9:19은 "주여 삼창"의 근거가 되지 못하며, "주여 삼창"을 가르치는 자들이 자기들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주여"라는 단어가 세 번 등장하는 구절을 찾아서 갖다 붙인 것에 불과합니다.

2. "주여 삼창"의 기원
"주여 삼창"을 외치는 의식은 성경의 가르침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그 기원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이는 동양의 제사의식과 무속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여 삼창"의 모태가 되는 것은 "만세 삼창"인데, 이 만세 삼창은 중국에서 한무제가 숭산에서 제사를 지낼때
신하와 백성들이 만세를 삼창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고대 중국의 황실을 다룬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신하들이 황제 앞에서 충성을 맹세하거나 은혜에 감사할 때 "만세, 만세, 만만세"라고 외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시는 김소월의 "초혼(招魂)"이라는 시 중 일부입니다.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 허공중(虛空中)에 헤어진 이름이여! / 불러도 주인(主人)없는 이름이여! /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 심중(心中)에 남아 있는 말 한 마디는 /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였구나 /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초혼이란 죽은 이의 혼령(넋)을 불러들이는 의식인데, 사람이 죽으면 죽은 이의 저고리를 왼손에 들고
지붕이나 마당에 서서 북쪽을 향하여 망자(亡者)의 이름을 크게 세 번 부른다고 합니다.
"주여 삼창"이라는 것은 전혀 성경적인 근거가 없는 동양 문화의 산물이며, 동양의 제사의식, 황제 숭배,
초혼의식 등을 혼합하여 만든 종교의식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3. "주여 삼창"을 하고 기도해야 하는가?
(1) 하나님께 부르짖어야 기도를 들으시는가?
(렘 33:3, 개역) 너는 내게 부르짖으라 내가 네게 응답하겠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비밀한 일을 네게 보이리라
(렘 33:3, 킹흠정) 나를 부르라. 그리하면 내가 네게 응답하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능력 있는 일들을 네게 보이리라.
(렘 33:3, KJV) Call unto me, and I will answer thee, and shew thee great and mighty things, which thou knowest not.
개역은 "부르짖으라"라고 번역했지만, 킹제임스성경에 나오는 call 이라는 단어는 목청 터지게 외쳐 부르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귀머거리가 아닙니다. 그 분은 우리의 작은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시는 분입니다.
(사 59:1, 킹흠정) 보라, 주의 손이 짧아져서 구원하지 못하는 것도 아니요, 그분의 귀가 둔하여서 듣지
못하는 것도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의 죄 문제를 해결하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면 우리는 주의 공로를 힘입어
은혜의 왕좌 앞에 담대히 나아가서 은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믿음으로 주의 뜻대로 기도할 때
그 분의 긍휼로 인하여 기도 응답을 받는 것이지, 우리의 목소리 크기가 기도 응답을 결정짓는 것이 아닙니다.

(2) "주여 삼창"으로 마음의 답답함과 억울함을 토로하는가?
피난처이신 하나님 앞에 나아와서 우리의 마음을 솔직하게 털어놓는 것은 필요합니다.
(시 62:8, 킹흠정) 백성들아, 너희는 언제나 그분을 신뢰하고 그분 앞에 너희 마음을 쏟아 놓으라.
하나님은 우리를 위한 피난처시로다. 셀라.

그러나, 기도는 하나님 앞에 쏟아놓는 넋두리나 신세한탄이 아니며, 하나님은 우리의 감정적 화풀이 대상도
아닙니다. 위로자이신 성령님께서 우리를 위로해 주실 때, 참 평안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는 "주여"라는
구호를 세 번 크게 외쳐서 얻는 감정의 발산과는 감히 비교할 수도 없는 크신 위로입니다.
(요 14:26, 킹흠정) 위로자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님 그분께서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내가 너희에게 무엇을 말하였든지 너희가 그 모든 것을 기억하게 하시리라.


(3) "주여 삼창"으로 하나님의 관심과 주목을 끌 수 있는가?
주께서 내 행동과 생각과 말을 다 알고 계시는데, 그 분의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주여"를 외칠
필요가 있을까요?
(시 139:1-4, 킹흠정) [1] (악장에게 준 다윗의 시) 오 주여, 주께서 나를 살피시고 나를 아셨나이다.
[2] 주께서 나의 앉고 일어서는 것을 아시고 멀리서도 나의 생각을 이해하시오며
[3] 나의 행로와 나의 눕는 것을 둘러싸시므로 나의 모든 길을 익히 아시오니
[4] 보소서, 오 주여, 내 혀의 말 중에 주께서 알지 못하는 것이 하나도 없나이다.
만약 여러분이 믿고 있는 하나님이 다른 손님과 만나 이야기하고 있거나, 누군가를 쫓아가고 있거나,
여행 중에 있거나, 자고 있다면 크게 소리 질러서 깨우시기 바랍니다.
(왕상 18:27-28, 킹흠정) [27] 정오에 엘리야가 그들을 조롱하여 이르되, 큰 소리로 부르라. 그는 신이므로
지금 이야기하고 있거나 쫓아가고 있거나 여행 중에 있거나 혹은 자고 있으니 반드시 깨워야
하리라, 하매 [28] 그들이 큰 소리로 부르고 자기들의 규례에 따라 몸에서 피가 철철
흐르기까지 칼과 창으로 자기 몸을 찢었더라.
바알 숭배자들은 큰 소리로 자기 신들의 이름을 부르고, 신의 주목을 끌기 위해서 칼과 창으로 피가 흐르도록
자기 몸을 상하게 하였습니다. 반면, 엘리야는 그렇게 목 놓아 외쳐 부른 것이 아니라 보통 때와 같이
주께 말했습니다. 왕상 18:36에는 "엘리야가 가까이 가서 이르되" 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엘리야는 주의
이름을 크게 외쳐 부르거나, 제단 주변에서 날뛰거나 하면서 주의 관심을 끌고자 하지 않고 그냥 평범하게
주께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그의 기도는 응답되었습니다.

(4) "주여, 주여" 연호한 사례
성경에는 "주여, 주여"라고 주를 연이어 부른 사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이렇게 연이어
"주여, 주여" 라고 부른 구절들은 아래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성경의 용례에 의하면, 주로 주님으로부터 버림받은 자들이 "주여, 주여"하고 외칩니다.
(마 7:21, 킹흠정) 내게, 주여, 주여, 하는 자가 다 하늘의 왕국에 들어가지 아니하고 오직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
(마 7:22, 킹흠정) 그 날에 많은 사람들이 내게 이르기를, 주여, 주여, 우리가 주의 이름으로 대언하지
아니하였나이까? 주의 이름으로 마귀들을 내쫓지 아니하였나이까? 주의 이름으로 많은
놀라운 일을 행하지 아니하였나이까? 하리니
(마 25:11, 킹흠정) 그 뒤에 다른 처녀들도 와서 이르되, 주여, 주여, 우리에게 열어 주소서, 하나
(눅 6:46, 킹흠정) 너희는 나를 불러, 주여, 주여, 하면서도 어찌하여 내가 말하는 것들은 행하지 아니하느냐?

이 글의 취지는, 기도할 때 주님께 "주여~" 라고 부르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진정 갈급하고 간절한 마음으로 주를 찾으시는 분들은 "주여~" 라고 부르며 기도하십시오. 저는 그런 분들을
향하여 비판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근거도 알 수 없는 "주여 삼창"이라는 종교 의식이 마치 성경적인 것처럼
교회 예배에 들어와 있고, 또 그 의미도 모른 채 목회자들이 가르치니까 그렇게 해야 한다고 믿고
무작정 따라 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이런 의미없는 외침이 관습적으로 행해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라는 겁니다.
성경적 근거도 없고, 의미도 없이 통성기도 시작할 때마다 습관을 따라 혹은 기도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주여 삼창"이라는 구호를 외치는 것은 허공에 떠도는 공허한 부르짖음이 될 뿐입니다.
이제는 주여 삼창이 한국교회에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한국 교회에서 외국으로 "주여 삼창"이라는
문화를 전파하여 외국에서도 "주여 삼창"을 외치는 교회가 있다고 합니다.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03784

참고로, 로마카톨릭의 미사에서는 그들이 하늘의 여왕이라고 믿고 숭배하는 마리아에게 "엄마 삼창"을
바친다고 합니다.



주여 삼창(三唱)?

말씀을 바르게 알고 , 바르게 믿고 , 바르게 행하

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에 많은 그리스도인들

이 알면서도 바르게 행하지 못하고 때론 알지 못하여 

바르게 행하지 못하는 부분도 많이 있습니다.


주님의 이름을 세 번 부르는 삼창(三唱?)을 

신학적 의미가 '있다' '없다'의 측면에서 생각해보기 

보다는 “주여!“ 삼창의 의미를 더 자세히 알고 간절

히 기도한다면 은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며 아래의 

글을 올려봅니다..



주여 삼창의 배경은 

성경 다니엘서 9장 19절에

"(주여) 들으소서 (주여) 용서하소서 (주여) 들으시

고 행하소서 지체치 마옵소서 나의 하나님이여 주 자

신을 위하여 하시옵소서 이는 주의 성과 주의 백성이 

주의 이름으로 일컫는 바 됨이니이다" 라는 말씀에서


1. 주여 들으소서 

2. 주여 용서하소서 

3. 주여 들으시고 행하소서


이러한 의미를 품고 주여 삼창을 부르며 기도한다는 

설과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 하나님을 각 위마다 지

칭하여 부른다’는 설과 



중국에서 제사 지낼 때의 "만세(萬歲)!" 삼창(三唱)

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의식에 사용되어 왔으며, 이를 

새벽 기도할 때에 부흥사들이 원용(援用) 하여 "주

여!" 삼창이 이어져 왔다는 가능성을 기록된 곳이 있

으나, 신뢰할 만한 문서 기록으로 남겨진 것은 없습니

다. 




다음은 우주현 목사의 한국인의 기도!(KOREAN 

PRAYER!)에 대한 글인데 많은 공감이 되어 올려봅니

다.


KOREAN PRAYER!

-우주현 목사- 

제발! 주여~주여~주여~ 만세삼창하듯 부르짖지 마십시

오. 이는 무당들이 귀신 부를 때 하는 짓(?)들과 같습

니다. 제발! 교회안에서 기도할 때 큰소리로 부르짖

어 다른 성도의 기도에 방해 되지 않도록 배려하십시

오. 정말로 부르짖고 싶으십니까? 그러면 개인기도방

으로 옮겨 부르짖으십시오. 하나님은 우리의 작은 신

음소리도 들으시고 응답하시는 분이시며 또한 예수님

도 그렇게 부르짖으며 기도하라고 가르치지 않으셨습

니다.


귀 먹지 않으신 하나님

한때 한국교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교회성장

신학’ 의 본산으로 유명한 미국의 풀러신학교 피터 

와그너 교수로 아주 유명한 교수인데, 그는 특히 한국

교회의 성장을 주목하고 자시의 교회성장의 한 모델

로 한국교회를 지목했습니다. 물론 한국에도 여러번 

다녀갔었으며 풀러신학교는 아마 가장 많은 한국학생

이 유학하고 있는 학교일 겁니다.


그런데 그 분의 과목중에 교회성장과 기도에 대한 과

목이 있는데, 그 과목의 수업시간에 피터 와그너 교수

는 자신의 학생들에게 ‘KOREAN PRAYER’ 라는 이름으

로 한국 특유의 기도를 소개하고, 또 학생들에게 실습

도 시켰답니다. 피터 와그너 교수가 교회성장을 위한 

특별한 기도로 소개하고 보급하려 했던 ‘KOREAN 

PRAYER’, 도대체 그게 뭘까요? ‘KOREAN PRAYER’로 

소개된 그 기도는 ‘주여!’ 를 세 번 크게 부르고 이

어서 큰 소리로 통성기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재밌는 

것은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실습을 시키면서, 한국

말 그대로 ‘주여!’ 를 세 번 부르게 했다는 것이지

요. 미국 학생들이 ‘O, Load!' 가 아니라 한국말

로 ’주여를 세 번 큰소리로 부르는 것, 상상해 보십

시오. 재밌지 않습니까? 태권도의 용어에 이어 한국

말 그대로 수출되고 있는 몇 안되는 우리의 문화수출

상품으로 ‘KOREAN PRAYER’ 당당히 자리하고 있습니

다. 



한국교회에 큰 관심을 두었던 피터 와그너 교수의 눈

에는 그 ‘KOREAN PRAYER’가 아주 신기하기도 했으

며 또 한국교회의 성장에 크게 기여한 중요한 부분이

며, 또 아주 특별한 기도의 한 방법 이라고 생각되었

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들리는 소식은, 그 피

터 와그너 교수도 이제 한국교회의 성장은 끝났다고 

진단하고, 한국 모델을 포기하는 대신 요즘엔 자신의 

새로운 모델을 남미의 교회들에서 찾고 있다고 합니

다. ‘KOREAN PRAYER’ 도 이젠 약발(?)이 떨어졌다

고 판단한 것 같은데... 유명한 학자라서 그런지 역

시 판단도 빠릅니다. 


외국 기독교인의 눈에 그 기도는 참으로 신기하고 또 

특별했을 것이 분명합니다. 그렇게 공식적이며 공개적

으로, 열정적이며 시끄럽게 기도하는 경우는 아마 교

회 역사에서도 두 번은 없었을 겁니다. 


주여! 삼창하고 이어서 큰소리로 통성기도 하는 것. 

구태여 기도원이 아니라도 일반적인 한국 교회에서 보

편적으로 지금도 행해지고 있는 평범한 기도회의 모습

입니다. 그리고 개교회에서의 일반적인 기도 시간에 -

특히 새벽기도나 철야기도 때 - 유독 큰 소리로 기도

하는 분들이 꼭 있어서 가끔씩은 감정적인 마찰을 빚

기도 하지요. 그러나 성경에 부르짖어 기도하라고 했

는데 왜? 라고 말하면 또 달리 할 말도 없어서 그냥 

참고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과연 성

경이 그렇게 가르치고 있을까요?

‘너는 내게 부르짖으라. 내가 네가 응답하겠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비밀한 일을 네게 보이리라’(렘 

33:3) 예레미야 29장 12절도 ‘너희는 내게 부르짖으

며 와서 내게 기도하면 내가 너희를 들을 것이요...’

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부르짖으라‘라 말씀

하고 있는 대표적인 이 두 구절의 말씀을 표준 새번역

에서는 어떻게 번역하고 있는지 볼까요?

‘내가 나를 부르면, 내가 너에게 응답하겠고, 네가 

모르면 크고 놀라운 비밀을 너에게 알려 주겠습니

다.’(표준 새번역, 렘 33:3)

‘너희가 나를 부르고, 나에게 와서 기도하면, 내가 

너희의 호소를 들어주겠다’(표전 새번역, 렘 29:12)

개역 성경에서 ‘부르짖으라’고 번역된 부분이 모두 

‘부르라’로 번역된 것을 알수 있습니다.

영어성경을 보아도 ‘Call to me I will 

answer...',you will call upon me and come and 

pray...'모두 ’call'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부르짖으라’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카라’인데 이

는 영어의 Call로서 부르고 찾으라는 의미입니다. 그

리고 ‘부르다(Call)’와 ‘부르짖다(cry out, 

shout)'는 사실 완전히 다른 말이며, 부르짖다’에 해

당하는 히브리어는 ‘자앜’이라는 동사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카라’는 단순히 이름을 부르라는 뜻이

지 부르짖으라는 의미는 분명 아닙니다.


그리고 성경에서 하님의 이름을 부른다는 것은 하나님

의 존재와 성품에 대한 인격적 신뢰와 믿음을 고백하

는 것으로, 결국 기도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이름을 부

르는 - 즉 하나님의 존재와 인격에 대한 믿음을 고백

하는 - 것으로부터 출발한다는 것을 이 두 말씀은 우

리에게 다시 보여 주며 가르치고 있을 뿐입니다. 


이 말씀은 한국교회가 적용하듯 열심히 크게 기도하라

고 가르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기도의 출발은 믿음의 

고백, 즉 하나님을 신뢰하며 그의 이름을, 그의 존재

를, 그의 인격을 부른 것이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주님께서 가르치신 기도의 첫 마디, ‘하늘에 계신 우

리 아버지여’라고 부르는 것, 이것이 바로 ‘카라’

라는 것입니다.


오늘 우리의 문제는 올바른 지식은 없이 열심만 특심

한 것이 사실 문제입니다.


누구보다 성경을 잘 믿는다고 생각하며 성경대로를 주

장하지만 사실은 성경대로가 아니라 성경대로라 착각

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전통을 믿는다고 말해도 크게 

틀리다고는 못할 겁니다. 그리고 그것이 예수님 당시 

바리새인들의 오류였음을 우리는 다시 환기하며 기억

해야 할 것입니다.


기도는 목소리 큰 사람들이 이기는 게임이 아닙니다. 

‘아버지’를 가진 사람들의 특권입니다.


그러면 큰 소리로 기도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까? 물

론 그렇게까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간절함 때문에 

부르짖을 수 밖에 없을 때가 물론 있다고 생각합니

다. 그러나 큰 소리로 부르짖는다고 해서 더 간절하다

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큰 소리로 부르짖는 게 더 

간절하다면 주님께서 ‘네 골방에 들어가서 문을 닫

고 기도하라(마 6:6)’고 가르치신 것이 틀린 것이 됩

니다.

그리고 여럿이 함께 기도드리는 경우에는 더욱 더 자

신의 큰 소리로 인하여 타인들이 방해받지 않게 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제 경험과 관찰로는 큰 소리로 열심

히 기도하시는 분들이 대체로 이기적이었습니다. 그래

서 그들의 이기적인 본성이 기도에도 그대로 반영되

어 큰 소리로 기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제가 

판단한다면 지나친 편견일까요? 아무튼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자신보다는 타인에 대한 배려가 우선되어야 한

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상식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성경속의 인물 중 간절히 기도한 사람의 경우로 어떤 

분들이 주로 떠오르십니까?

저는 먼저 한나가 떠오릅니다. 사무엘서 1장에는 한나

의 기도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 

보십시오. 1장 10절에 보면, 한나는 마음이 괴로워서 

여호와께 기도하고 통곡했다고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

러나 13절을 보시면 한나가 어떻게 통곡(?)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녀의 통곡은 속으로만 말하여서 입술

만 동하였고 소리는 들리지 않는 이상한 통곡(?)이었

습니다. 이런걸 우리는 통곡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그

러나 개역성경은 통곡했다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부르짖다’, ‘통곡하다’ 이런 단어들은 우리의 종

교문화에서 비롯된 기도가 번역자의 선입견으로 영향

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무튼 그녀는 자신의 

표현 그대로 ‘마음이 슬픈 여자(15절)’였습니다. 그

러나 그 슬픔을 안고 기도할 때에 그녀는 통곡하거나 

큰 소리로 부르짖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철저

하게 절제하면서 오히려 핀 눈물을 삼키면서 기도했습

니다. 참으로 마음이 슬펐던 여자, 한나의 기도는 한

바탕 울음과 곡성으로 한을 푸는 기도가 분명 아니었

습니다.

이어서 제게 떠오르는 인물은 당연히 엘리야입니다. 

그의 상황도 처절했음이 분명했는데... 그는 어떻게 

기도했습니까? 열왕기상 18장이 그 유명한 갈멜산의 

결투 장면인데, 특히 바알 선지자들의 기도와 엘리야

의 기도를 비교해 보십시오. 28절을 보시면 열받고 흥

분한 바알 선지자들의 기도 모습이 묘사되어 있습니

다. ‘저희가 큰 소리로 부르고...’ 참 알 수 없습니

다. 오리혀 여기는 ‘큰 소리로 부르짖고...’라고 번

역해야 하는데... 그러나 역시 표준 새 번역은 ‘더 

큰 소리로 부르짖으면서...’라고 번역해야 하는데...

그러나 역시 표준 새 번역은 ‘더 큰 소리로 부르짖으

면서...’라고 번역해 놓고 있습니다. 제가 표준 새 

번역을 좋아하는 이유, 더욱 분명하지 않습니까? 


이 바알 선지자들의 기도 모습이 바로 히브리어로 

‘자앜’하는 -부르짖는, 울부짖는- 모습입니다. 반

면 엘리야는, “아브라함과 이삭과 이스라엘의 하나

님 여호와여!(36절)”, 이렇게 하나님의 이름을 부름

으로 기도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도의 사람 엘리

야의 기도 역시 기도는 열심의 문제가 아니라 바른 관

계의 문제임을 다시 확인해 주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기도는 관계의 확인이며 믿음의 확인이지 나

의 열심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며, 내 감정을 쏟아놓

는 시간도 아닙니다.


사실 예수께서 가르치신 기도의 자세는 꼭꼭 숨어서 

은밀하게 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주님께서 기도를 가르

치실 때에 먼저 지적하신 것은 알다시피 기도하는 자

세였습니다. 기도를 가르치신 마태복음 6장 6절에 의

하면 ‘너는 기도할 때에 네 골방에 들어가 문을 닫

고 은밀한 중에 계신 네 아버지께 기도하라’고 말씀

하고 계십니다.



자세히 보면, 기도의 가르침인 6장 5~15절의 그 문단 

속에서 오직 6절 말씀만 ‘너(you)'가 단수로 쓰여지

고 있습니다. 즉, 너의 기도는 너 혼자서 너의 골방에

서 문가지 걸어 잠그고 오직 너의 아버지께만 은밀하

게 기도하라고 가르치신 것입니다. 이 말씀을 문자 그

대로 지켜서 자신의 골방에서 자신의 아버지를 부르

며 은밀하게 기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합

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런 개인 기도 시간과 공간

을 갖기가 우리의 주거문화와 생활여건상 사실은 쉽

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교회에서 함께 하는 기도라도 그 기도가 궁

극적으로는 각 개인들의 골방기도가 될 수 있도록 도

와야 하지 않겠습니까? 결국 이같은 골방의 기도에 실

패하면 자연히 ‘회당과 큰 거리 어귀에 서서 큰 소리

로 사람에게 보이려고(마 6:5)’ 기도하게 되고, 그래

서 결국 중언부언하게 되고, 큰 소리로 말만 많이 하

는 기도가 됩니다(마 6:7). 그리고 그런 기도는 성경

에서 이방인의 기도라고 하지 하나님 자녀들의 기도라

고 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혼자만의 골방에서 기도를 한다면, 때로 감정이 

격해져서 부르짖는다고 해서 무슨 문제가 되겠습니

까? 삼상 15:11 에 보면, 하나님께서 사울을 왕 삼으

신 것을 후회하신다고 말씀하시자 그 밤에 사무엘이 

근심하여 온 밤을 여호와께 ‘부르짖었다’고 기록하

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분명히 ‘자앜’으로 표현되

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방에서 온 밤을 사울을 위

하여 부르짖어 기도하였습니다. 때로는 부르짖어 기도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사울을 위하여, 이스

라엘 민족을 위하여 이렇게 기도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기도는 자신만의 공간에서 혼자 드리는 기도였으

며 그가 흘린 눈물은 타인과 민족을 향한 사랑의 눈물

이었습니다.


오늘 우리에게 조금은 문제가 되고 있는 공적 기도시

간에 부르짖어 기도하는 것과는 사실 차원을 달리하

는 기도이지요. 바울 사도의 말씀처럼 ‘우리의 선한 

것이 비방을 받지 않게(롬 14:16)’하는 것이 성숙한 

성도의 지혜입니다.

열심히 기도한다는 그 선한 일이 왜 비방과 시비가 되

어야 합니까? 우리는 기도에서도 먼저 타인을 배려해

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열심히 부르짖어 기도했던 

대부분의 기도들이 사실은 ‘개인의 정욕에서 비롯된 

기도(약 4:3)’였음도 인정해야 할 겁니다. 그리고 때

로는 우리의 감정을 시원케하는 -심하게 말하면 스트

레스를 푸는- 기도일 때가 많았음도...


어제 성경을 읽다보니 전도서 말씀(전 5:2)에 이런 말

씀이 있더군요. ‘너는 하나님 앞에서 함부로 입을 열

지 말며 급한 마음으로 말을 내지 말라. 하나님은 하

늘에 계시고 너는 땅에 있음이니라. 그런즉 마땅히 말

을 적게 할 것이니라.’ 말을 적게 그리고 작은 소리

로 하는 기도를 추구해 보신 적이 있습니까?

기독교의 오랜 전통 가운데 있었던, ‘고요함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하며 하나님의 음성을 들으며 묵

상하는 기도’이지요. 현대 개신교회에서는, 특히 한

국교회에서는 거의 모르고 있는 기도이기도 합니다. 

관심을 가지고 추구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우리 아

버지는 당신의 자녀들을 향한 사랑 때문에 눈 멀기는 

하셨지만 귀 먹진 않으셨습니다. 오히려 그는 우리의 

신음조차 들으실 만큼 그 귀를 우리에게로 향하여 세

우시고 계십니다. 그리고 “네가 나를 부르면 내가 너

에게 응답하겠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이 부끄러

운 아들은 오늘도 가장 작고 낮은 목소리로 아버지의 

이름을 가만히 불러봅니다.

귀 밝으신 나의 아버지.